청소년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은 청소년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활동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 청소년들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에 첫 단계의 활동을 시작하여 최종단계인 금장활동까지 활동을 마무리한 청소년으로 선정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5월~12월중 서울 1명, 경기 6명, 충남 5명, 충북 4명, 부산 1명, 제주 3명 등 총 2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진술을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적극성’, ‘도전의식’, ‘봉사의식’, ‘진로자신감’, ‘또래관계 향상’, 자기관리’, ‘자기성장’, ‘자기통제력’, ‘자아성숙’, ‘자신감’, ‘자존감’, ‘경쟁심’ 등 총 12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youth experience from the activities of Korea Achievement Awar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May to December, 2015 through in-depth interviews. Twenty gold award holders of the Korea Achievement Award who are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an MP3 recorder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tilizing Colaizzi-style method of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The results showed 12 categories and 41 themes of what youth experienced from the activities through the Korea Achievement Award.
Keywords:
Youth Activities, Qualitative research, Colaizzi키워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청소년활동, 현상학, 질적 연구, 성장, 변화Ⅰ. 서 론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이란 일반적으로 만 13 ~18세 사이의 사람을 의미하며, 학제상으로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되는 시기를 의미한다(천정웅 외, 2013). 또한 「청소년기본법」에서도 9~24세 사이의 이들을 청소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청소년관련 정책들도 청소년 참여, 청소년의 권리증진, 역량강화 등 주요 대상이 13~18세의 청소년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청소년정책 뿐만 아니라 청소년활동 분야에서도 중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의 대상을 다양한 활동사업의 주요대상으로 삼고 있다. 현대사회는 사회문제로써의 저연령화, 신체발달과 성장발달의 조기화, 빠른 발달특성의 시작이 특징임을 고려해 볼 때, 청소년관련 영역에서 그 대상에 대한 폭을 좀 더 넓힐 필요가 있다.
청소년활동에서도 참여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청소년활동이란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활동과 이러한 활동을 소재로 하는 수련활동·교류활동·문화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의미한다(청소년기본법 제3조 제3호). 뿐만 아니라 청소년학 관련 전문가들도 청소년활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청소년활동이란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의지에 의해 발현되는 자율적 활동(김진호, 2008), 교육을 보완하여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돕는 것(이교봉, 2009), 사실적 정보를 교환하고 습득할 뿐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과 내면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다양한 성과를 경험하는 활동(조남억·이광호, 2009) 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며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켜 자신의 변화 및 도움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가정과 사회 및 국가의 효율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힘을 키우는 것(권일남·김태균, 2010), 청소년기에 필요한 개인 및 사회적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일련의 체험활동(문성호·문호영, 2010)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청소년활동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전인적 발전과 성장을 위해 필요한 활동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소년활동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이외의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이다.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는 참여연령이 만 14세부터 25세까지로 제한을 두고 있어서 만 14세 미만의 청소년들은 참여가 불가하다. 이는 청소년기본법상의 청소년 연령이 만 9세부터 24세까지로 규정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성취포상제에 참여할 수 없는 만 14세 미만의 청소년을 위해 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정재민, 2014).
한국청소년진흥원은 9세부터 13세 청소년을 위해 한국형 포상제 활동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활동을 2011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자기적성을 개발’하고 ‘청소년활동의 전문화’를 추구하는 국제성취포상제와 차별화하여 ‘자기적성을 발견’하고 ‘다양한 청소년활동을 체험’하는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9~13세 청소년을 위한 활동이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2011년부터 활동을 실시하며 활동의 부족한 점을 수정ㆍ보완하여 2014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실시했다. 이를 통해 2011년부터 2015년 11월 현재까지 총 2,089명의 청소년이 참여하였고 등급별로는 금장 103명, 은장 385명, 동장 1,524명의 청소년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신규로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은 2011년 190명, 2012년 581명, 2013년 1, 062명, 2014년 1,291명, 2015년 1,370명으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청소년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는 실제 청소년이 경험하는 내용을 청소년의 소리로 직접 들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청소년활동 연구에서 조사되었던 청소년활동의 의미성과 효과성을 질적 연구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한 청소년활동의 가치와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검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향후 이 연구를 기반으로 청소년활동의 척도를 개발하고 종단적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활동의 의미와 정의를 과학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문성호·문호영(2010)는 청소년활동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였는데 단기적 효과성만 조사하는 틀에서 벗어나 장기적 효과를 밝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나 조사의 편리함과 비용의 효율성으로 인해 양적 조사만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얻게 되는 삶의 변화와 내면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서는 양적 연구와 더불어 질적 연구도 필요하다. 질적 연구는 대량의 인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지 못하고,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청소년들 개개인의 삶과 환경에 대한 이해, 그리고 활동이 실질적으로 청소년에게 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심도 깊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에 참여하는 9~13세 청소년들이 이 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여 동장→은장→금장까지 모든 활동과정을 수료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Ⅱ. 이론적 배경
2008년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실시되었으나 참가자의 연령을 만 14세 이상 25세 미만으로 제한을 두고 있다. 9세 이상 14세 미만의 어린 연령대의 청소년들이 포상제활동에 참여가 불가능하여 이들을 위한 한국형 포상제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백혜정 외(2010)는 『7∼13세 아동․청소년을 위한 한국형 성취포상제 운영모형 개발』연구를 통해 청소년활동에서 초기 청소년들의 제한적 활동참여를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적 모형으로 한국형 성취포상제 운영모형을 개발했다. 우선, 외국의 청소년성취포상제 사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에딘버러공 포상제의 특성 및 운영 모형과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의 특성 및 운영 모형, 영국의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성취포상제의 특성 및 운영 모형을 분석하여 외국 청소년성취포상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형 저연령 아동ㆍ청소년 성취포상제의 모형을 제시했다. 제시된 모형은 아동 및 청소년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고 포상제 모형의 기본 방향을 만 7~9세 아동을 위한 ‘0709포상제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0709 포상제는 신체단련활동, 자기개발활동, 자원봉사활동, 탐험활동 영역에서 금장, 은장, 동장의 세 수준에 따라 최소 8주~12주(총 20~32시간) 동안 활동을 수행하여야 하며, 탐험활동을 제외한 세 가지 영역 중 최소 한 영역의 활동은 또래집단 활동이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만 10~13세 청소년을 위한 ‘1013 포상제 모형’을 제시했다. 1013 포상제는 신체단련활동, 자기개발활동, 자원봉사활동, 탐험활동 영역에서 금장, 은장, 동장의 세 수준에 따라 최소 16주~24주(총 30~52시간) 동안 활동을 수행하여야 하며, 탐험활동을 제외한 세 가지 영역 중 최소 한 영역의 활동은 또래집단 활동으로 제시했다.
김영기 외(2012)는 『2012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만족도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3개 분야(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청소년 및 포상지도자의 인지도 조사 및 분석,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분석,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 제시)로 구성하였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대한 인지도는 참여청소년 및 포상지도자 모두를 대상으로 인지도를 통해 동 제도의 홍보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청소년 및 포상지도자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참여만족도, 포상제영역별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자기도전포상제 운영에 대한 진단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초점을 두었다.
장근영ㆍ김용대ㆍ김태우(2011)는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효과성분석연구 Ⅱ』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OECD DeSeCo에서 제안한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을 적용, 3대 핵심역량 중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및 자율적 행동역량의 지표를 선택하여 검증 지표를 구성하였다.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참여자 패널조사 조사 설계에서는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참가자들 모집단에서 2012년 기준 만 14세에서 부터 19세까지 6개의 코호트에서 모두 36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장기종단 패널로 선정, 최소 5년에서 최대 10년간 추적 조사하는 단기종단패널조사모형을 설계하였다.
김영기 외(2013)는 『2013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자기주도성에 대한 효과성 연구』를 통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연구했다. 연구내용은 크게 4개 분야(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청소년 자기주도성 척도개발, 인지도 효과, 만족도 효과, 자기주도성 효과를 통한 시사점 및 제언)로 구성하였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대한 인지도는 참여청소년을 대상으로 인지도를 통해 동 제도의 홍보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정재민 외(2014)는 2011년부터 2013년 동안 실시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의 시범사업기간 동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참여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시범사업 기간 동안 참여한 청소년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2014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연도별 동향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방법은 2012부터 2014년까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3년간의 활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활동참여 정도, 만족도(신체단련활동, 자기개발활동, 탐험활동, 봉사활동), 그리고 다음단계 참여여부 등에 관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도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4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 청소년에 대한 질적 연구』는 청소년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시범사업기간 2011년 ~ 2013년 3년 동안 처음 단계인 동장에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단계 금장까지 모든 과정을 꾸준하게 참여하여 포상을 받은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포상제에 참여한 청소년은 자신에게 나타나는 변화와 성장을 경험했다. 이러한 변화와 성장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첫째, 각각의 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가치와 의미가 참여하는 청소년들에게 습관화되었고, 둘째, 이 습관이 청소년의 일상생활에서 실천되면서 자신에게 <5가지 변화>와 <6가지 성장>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와 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로 먼저, 양적연구를 살펴보면 임순선·조정운·한상철(2010)의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과 시민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활동경험이 있고 적극적일수록 시민성 발달에 긍정적인 형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책임감과 의사결정능력은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김우철·임순선·한상철(2011)의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과 적극적으로 참여한 청소년들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김진호(2013)의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이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활동경험은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성(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자로서의 자기 확신, 도전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호기심, 자기이해,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에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성의 하위영역 중 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자로서의 자기 확신, 도전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에서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자기이해에 대해서는 영향력을 갖지 않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내용 및 참여자
본 연구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에서 2011년 ~ 2013년 총 3년 동안 처음 단계인 동장에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단계 금장까지 모든 과정을 꾸준하게 참여하여 포상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무엇(What)을 경험하는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인터뷰는 2014년 6월 ~ 9월까지 총 4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인터뷰 대상자)는 동장에서 시작하여 금장까지 마치고 포상을 받은 청소년 20명이었다. 인터뷰는 서울, 경기, 충북, 충남, 부산, 제주 등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했다. 소요시간은 약 60분 ~ 90분 정도였다.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명단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본 연구는 연구윤리를 위해 심층 면접 전에 참여청소년의 부모님들을 직접 혹은 유선상으로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성실하게 소개하였고, 설명 후 연구 참여 동의서를 부모님과 참여청소년에게 각각 1부씩 설명 후 서명을 받고 진행하였다. 연구 동의서에 제시된 내용(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면담내용의 녹음, 면담중지의 권리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 후 동의여부를 확인하고 진행하여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보호와 권리를 보호하고자 노력하였다.
2.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본 연구자들은 Lincoln과 Guba (1985)이 제시한 질적 연 구의 평가기준에 부합하도록 연구를 진행하고자 노력하였다. 현상을 생생하고 충실하게 해석하고자 면담 즉시 자료를 듣고 여러 번 읽어 본질적 의미를 추출하여 신뢰성(credibility)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적용성(applicability)을 가 질 수 있도록 본 연구 참여자만의 특별한 경험이 아닌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일관성(consistency)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 심층 면담의 방법, 과정, 자료수집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자 하여 추후 반복연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립성(neutrality)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들은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문헌고찰을 하지 않았으며 의미와 본질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편견을 배재하고 판단중지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연구가 진행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자간 토론 중에도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보도록 강조하면서 토론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 연구자의 선이해가 신뢰성을 대표하는 주요 기준이다. 본 연구의 책임연구자는 2009년부터 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와 한국질적연구학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 근거이론적 연구방법, 그리고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연구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원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이해’ 등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강의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를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자료 분석
자료의 분석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분석 가운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중 청소년이 경험하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활동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기위해 가장 적합한 Colaizzi(1978)의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참여자로부터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진술을 만들어 의미를 구성하여 주제묶음으로 범주화한 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분석방법 중 Colaizzi(1978)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Colaizzi의 연구방법을 선택한 것은 주제에 대해 연구 참여자가 표현한 언어를 빌어서 기술하는 특성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자기포상제의 활동 경험에 대해 보다 생생한 기술하기 위함이다.
Colaizzi의 분석방법은 참여자로부터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진술을 만들어 의미를 구성하여 주제묶음으로 범주화한 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험의 본질적 구조의 타당성을 참여자로부터 다시 확인하는데, 이러한 전후과정은 주제에 그 의미가 반영되어 주제를 편견 없이 받아들이게 한다.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 6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연구현상과 관련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선택하여 의미 있는 진술을 추출해낸다. 2단계는 의미 있는 진술들을 주의 깊게 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은 배제하고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재 진술한다. 3단계는 의미 있는 진술과 재 진술로 부터 의미를 구성한다. 4단계는 구성된 의미로부터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s)으로 범주화한다. 5단계는 지금까지 분석된 자료를 주제에 따라 총체적으로 철저하게 기술한다. 6단계는 선행 단계에서 확인된 경험 현상의 공통적인 요소를 통합하여 본질적 구조를 진술한다(신경림 외, 2008).
Ⅳ.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수집된 자료(Protocols)로부터 도출된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을 통해 도출된 구성된 의미(Formulating meanings)는 172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원 자료(Protocols)와의 관련성을 재확인 하면서 41 주제(themes)를 정하였고, 주제 가운데 통합 할 수 있는 것끼리 모아 32개의 주제묶음(themes cluster)과 12개의 범주(categories)로 나타났다. 자료의 결과 내용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범주 1. 자기관리4)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목표를 설정하거나, 학업이나 공부생활에서도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게 되었고 해야 할 일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하게 되는 습관을 가지게 되고 효율적인 시간사용에 대한 의식을 갖는 자기관리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은 청소년활동을 통해 ‘계획을 세워 공부한다.’, ‘일을 체계적으로 하게 된다.’, ‘목표를 세우기 시작한다.’등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 - 금장때는 좀 더 길게 잡아서 내가 맞춰서 계획을 짜서 공부할때도 내가 이렇게 계획을 짜가지고 공부를 하면 나중에도 계획을 짜서 하면 도움이 되겠다 해가지고 ...(참여자 4).
- - 생활습관 같은거 공부 같은거 할 때 이게 최종목표가 ...오늘은 여기까지 달성하면 잘한거다 생각하게 된 그런 습관을 가지게 됐어요(참여자 13)
- - 내가 혼자서 내가 하고싶은 양을 정해서. 계획표 짜고 그냥 해볼수 있는 거라서 ...그게 제일 재밌었던거 같은데...(참여자 14)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게 되었다. 이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하면서 자신이 세운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시간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이 확립되기 시작했다.
- - 아, 아무래도 좀 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자 라는 개념이 잡힌 것 같아요. 그전에는 그냥 막 맨날 시간이 남는 것처럼 했었는데 좀더 그런 거에 대해서 개념이 잡힌 것 같았었고,(참여자 5)
범주 2. 자기성장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성적이 오르거나 수행평가에서 A를 받게 되었고, 실력이 향상되었으며 목표달성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고 있었고 활동 후 자신이 더욱 성장한 것 같다고 진술하는 자기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학교 수행평가를 위한 활동이나 부족한 학과의 성적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활동을 선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그 결과 활동을 통해서 학업성적의 향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성취경험은 다른 분야에서도 최선을 다하거나, 열심히 하려는 태도로 나타났다.
- - 제가 그 포상제를 하면서 ... 제가 성적이 많이 좋아졌고, (참여자 1)
- - 보통 학교에서 체육 수행평가를 보잖아요. ...어느 순간 보면은 내가 좀 더 가뿐하게 하고 있는 그런 것들을 하고 있는게 느껴져요.(참여자 5)
- - 그 신체단련 킥복싱에서 거의 갈 때마다 줄넘기도 했는데 ...줄넘기 수행평가에서 A를 맞았어요 (참여자 13)
- - 은장 포상제 하면서 공부도 뭔가 해야겠다고 해서 열심히 했거든요. 성적이 많이 올라가지고 선생님 물어보신적이 있어요....제가 하는 활동 때문에 제가 많이 달라진 것 같다고...(참여자 17)
청소년은 다양한 청소년활동을 통해 실력이 향상되거나 좋아졌고, 체력적으로 이전보다 더 잘하게 되었다고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활동이 스포츠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수영이라든지 축구는 제가 하면서 대회도 나가고....이 포상제 하니까 그 여러 대회에 도움이 되는 거예요..처음에는 제가 (수영이나 축구)좀 실력이 있었는데 그냥 더 실력이 좋아졌어요.(참여자 1)
- - 그냥 머지? 머였지? 아...줄넘기도 동장때 했던 줄넘기도 학교 수행평가...그런데 나오잖아요 그래서 그냥 A받을 수 있고 또 농구도 여자의 여자끼리 막 수행평가도 하거든요?...근데 그거 하였을떄 도움이 되고 또 요리 실습할때 제가 했던 그 칼질이나 그런 그 그런거 익히는 그런거도 도움이 많이 된 것같아요...(참여자 2)
- - 조금씩이라도 내가 이걸 하면서 어느 순간 아, 내가 이렇게 해서 좀 많이 체력이 좋았졌네. 이런 느끼는 부분들이 있어요.(참여자 5)
- - 지금은 글을 좀 더 자세하게 써요. 초등학교 때는 글을 대충대충 쓰고 그랬는데...(활동하면서ㅕ) 글 쓰는 솜씨도 점점 늘어나고...(참여자 17)
성취감은 청소년활동을 통해 자신이 계획한 목표를 성취하거나 선택한 활동의 목적을 달성할 경우, 내가 해냈다는 것에 되게 좋았고, 힘든데 하고나면 뿌듯하고,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취감을 느끼는 것 때문에 (포상제가) 좋았다고 조사되었다.
- - 그때도 뿌듯하기도 하고 힘들게 걸었는데 시간이 한 한 시간 좀 일찍 도착했더라고요 한두 시간? 그 때도 왠지 뿌듯하고 그랬어요...(참여자 7)
- - 그리고 초등학교 때부터 동장을 시작해서 지금까지 했다는 게 금장까지 했다는 게 뿌듯하고...동장 끝냈을 때 딱 더 은장까지 하기 더 힘들었으니까 딱 끝내고 나니까 뿌듯하고 좀 더 얻은 게 많은 것 같단 느낌 받았어요(참여자 13)
- - 뭔가 보람 있고 뿌듯했어요...이 힘든 길을 내가 다 걸었구나 그런 거?...아 뿌듯하다...일 년 동안 열심히 해서 받은 거니까 더 뿌듯했어요(참여자 3)
- - 제가 좋아하는 걸로 해가지고 내가 좀도 부족한걸 그걸 달성할려고 하고 연습해서 내가 원하고 싶은걸 얻게 되가지고 뿌듯함... 받게 됐어요.(참여자 4)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활동 후 성장한 것 같다고 표현했으며, 못하는 것을 배움은 원래 할 수 없었던 활동을 포상제를 통해 배움으로써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나타났다.
- - 다 이거덕분에 제가 성장할 수 있었고(참여자 15)
- - 그냥 좀 더 전에 보다 나아진거 같다고 생각해서...어리광 그런거요..(활동이후)별로 안부려요.(참여자 14)
범주 3. 자기통제력.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하고 하기 싫은 일은 하지 않던 이전의 모습과는 달리 싫은 일도 하게 되며, 세워진 목표달성 때까지 힘든 환경을 참는 습관을 경험했다. 또한 자신의 나쁜 습관이 변했다는 주변의 칭찬을 듣기도 했고 나쁜 습관을 스스로 고치려는 노력이 나타나기도 했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포지하지 않고 하기 싫은 일도 하게 되는 인내력이 나타났다.
- - 전에는 되게 체육하는 것도 싫어하고 막 더운거 되게 싫어해서 그러거 되게 힘들어 했었는데 조금 내가 이것들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보니까 더 괜찮아진거 같아요.(참여자 5)
- - 활동을 할 때는 힘들고 언제 끝나나 싶기도 하고 좀 그래도 참고 끝까지 했는데 이걸 하고 난 다음에는 끈기가 필요한 활동을 할 때 음...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이뤘던게....(참여자 13)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계획한 목표를 이루기 위하거나, 다양한 활동의 완주를 위해 참을성이 발휘되었다고 나타났다.
- - 좀 욕심생기고 질투나니까 그래서 근데 그것(청소년활동) 때문에 참을성이 좀 생기는 것 같아요....(참여자 8)
- - 탐험 활동 같은 거 할 때 엄청 더워가지고 엄청 더운데도 해야 되니까 꾹 참고 했었는데 ... (참여자 13)
- - 탐험활동할 때 이케 걷는 거나 할 때 제가 걷다가 갑자기 이케 하기 싫다고 하면서 .....그런데 그런 걸 포기 안하고 어.. 아! 달성 할때까진 참았던 거 같애요...(참여자 6)
청소년은 활동을 꾸준히 참여하면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나쁜 습관이 줄어들거나 변했다고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스스로 나쁜 습관을 고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 예전보다 예전에는 너 말투 갑자기 변했다고 그러고 (참여자 8)
- - 하면서 힘들어서 짜증이 나는 것...힘들어서 짜증내고 화내는 성격이 약간 준거(참여자 10)
- - 제가 이케 못했다고 해서 막 뭐라하고 그러면은 다 분위기 안 좋아지잖아요?...그래서 그런 거 큼 최대한 안하려고 노력하고...(참여자 6)
범주 4 : 자아성숙.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스스로 뭔가를 해 보려는 힘이 생겼고 귀찮아서 안하던 것들에 대해 점점 부지런해 지는 성실함을 경함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귀찮음과 게으름이 조금씩 사라져서 어떤 일을 미루지 않고 꾸준히 하려 노력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활동참여에 대한 책임감이 생겼으며, 활동을 통해 집중력이 높아지거나 생기는 자아성숙을 경험하고 있었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스스로 뭔가를 해보려는 힘이 생겼다고 진술한다. 즉, 청소년활동을 통해 자발성이 생겨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자기 스스로 할라고 하는거...옛날에는 엄마한테 이거 해달라고 그랬는데 .. 지금은 혼자서 해보고..그런식으로...그냥 스스로 할 수있다는...그냥 스스로 하게 된게 많아져서...(14)
- - 일단 스스로 뭔가를 하려는 힘이 가장 많이 는 것 같고...그 전에는 엄마가 시키면 공부도 하고 심부름도 하고 그랬었는데 지금은 제가 공부도 하고 심부름도 제가 다녀오고...(17)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부지런해지기 시작하고, 성실해지고, 어떤 일에 대해 꾸준하게 하려는 성실성이 생겨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 성실해졌죠... 옛날에는 그냥 안하고 안한다고 해야 하나 해야 되는 것도 안하고 말았는데 이걸 하고나니까 책임감도 생기고 그니까 좀 성실해 진 것 같아요(참여자 7)
- - 저는 전에는 제가 할 일을 맨날 미루고 미루고 일지도 맨날 그렇게 미루고 했는데 금장가서는 거의 안 밀리고 했거든요..아빠가 엄청 대젼해 하시더라구요..(참여자 17)
- - 음.........성격이 약간 변한 거 같아요....귀찮은게 약간 조금 사라지고(참여자 10)
- - 그러니까 제가 포상제 활동을 하다보니까 그게 입력이 되어있어서 해야 된다 이렇게 해야 한다 이런 게으름 피우지 않아서 좋은 것 같아요.(참여자 17)
청소년은 활동 참여를 통해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책임감이 이전보다 강해지거나 새롭게 생겨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 - 이걸 나와야 한다는 책임감 이거하고 공부하고 섞여가지고 힘들었어요...가야된다는 책임감이요(참여자 7)
- - 옛날에는 그냥 안하고 안한다고 해야 하나 해야 되는 것도 안하고 말았는데 이걸 하고나니까 책임감도 생기고 그니까 좀 성실해 진 것 같아요(참여자 7)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집중력이 높아졌거나 몰랐던 혹은 없었던 집중력이 생겼다고 조사되었다.
- - 뭐 봉사활동 같은 데 라든지 뭐...수업할 때..집중해서 하는 거 이.. 공부 쪽 관련된 게 있으니까..(참여자 1)
- - 제가 좀 산만하기도 했는데 집중력이 정말 집중을 하게 되니까, 붓 하나 하나에 집중을 하게 되니까 너무재밌죠....음~ 대개 집중력이 높아진거 같대요 (참여자 15)
범주 5 : 자신감.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문제나 어려움 앞에서 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마음과 어떤 것도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경험했다. 이를 통해 나타는 진술은 ‘이 정도는 할 수 있구나’, ‘이정도 쯤이야..’, ‘자신감이 생겼다’이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마음과 어떤 것도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경험했다.
- - 할 때는 힘들었는데 그 다음에는 힘들면 다음에 또 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에 하고 싶었어요...네.. 할 땐 힘들었어요(참여자 3)
- - 스스로 정해서 이 정도는 할 수 있구나...(참여자 4)
- - 우선 걷는 거에 진짜 많이 자신감이 생겼고...요리 하는거..축구 할 때 하여튼 저를 좀 더 쌔게? 쌔다고 해야 하나 뭐든지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 같아요(참여자 7)
- - 배운 점은 내가 이런 것도 할 수 있구나(참여자 10)
- - 하고나서 학교에서 운동장 뛰기 같은 거 할 때도 덜 힘들고 내가 그때 엄청 많이 뛰었는데 이것쯤이야 하고 할 수 있었구요 (참여자 13)
- - 아까 말했듯이 .... 이거 하면서 이제 나도 할 수있다. 이제 악기 같은 것도 정말 제가 못 했는데, 나도 이제 뭘 하든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겠구나 그런 마음이 (참여자 15)
- - 봉사활동을 통해서 그렇게 장애를 가지고 있더라도 자신이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노력하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걸 보면서 저도 뭔가 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참여자 18)
범주 6 : 자존감.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친구들은 할 수 없는 일을 자신은 해냈다는 자부심을 갖게 되었고, 봉사활동(환경보호)이후에 달라진 주변을 볼 때마다 자부심이 생기는 경험을 했다. 또한 스스로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었고 활동의 과정을 끝까지 완주한 자신이 뿌듯하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랑스러움을 경험했다. 자존감은 ‘자부심’, ‘자랑스러움’ 등의 주제모음을 통해 자기 자신을 대견스럽게 여기거나 존귀하게 여기게 되는 자존감이라는 범주가 구성되었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목표하거나 계획한 것들을 이루면서 친구들은 할 수 없는 일을 자신은 해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자부심을 느낀다, 봉사활동 후 변화된 주변을 볼 때마다 자부심을 느낀다 등 자기 자신에 대해 뿌듯하거나 자랑스러워하는 자부심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아...난 이런 것도 해내니까 이런 자부심이 생겨요 진짜로...(참여자 12)
- -음...여러 가지 체험을 해서...많은 경험을 해서..그냥 애들은 못해 봤는데 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해봤다 이런식으로 할 수 있다는...(참여자 14)
- -네 쓰레기 청소를 하면요 ... 쓰레기는 있긴 있지만 저번 주보단 덜하거든요 그니까 뿌듯하기도 하고 네 그리고 사람들이 저희 쓰레기 줍는 거 쳐다볼 때 괜히 뿌듯하고(참여자 7)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활동과정을 끝까지 완주한 자신이 뿌듯해 하거나 활동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완주하여 포상을 받고나면 자신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기는 마음이 생겨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다 끝내고 내가 포상을 받고 나면은 그 성취감은 되게 커요... 내가 이 기간 동안 이걸 다 끝냈다라는 그 기분이 되게 커요.(참여자 5)
- - 그리고 제가 동장 은장 금장 다 탔잖아요 처음인가 하여튼 그렇잖아요 그래가지고 내가 대한민국 최초구나 라는 생각도 들고..(참여자 7)
- - 얼마 안되는데..이거를..전국에서 몇 명 안되는데 내가 이걸 끝냈다는게 말할 수 없는...(참여자 11)
- - 세 개의 활동 기록지를 보면은 이걸 다 하고 다 했다는게 스스로 대견스럽고(참여자 13)
범주 7 : 진로자신감.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서 적성을 확인하는 경험을 했고, 진로를 찾아보는 기회를 얻었고, 활동을 통해 알지 못했던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고, 경험해 보지 않은 새로운 것을 배워 보고거나 경험해 보는 것들을 통해 자신의 미래에 대해 자신감이 생기는 진로 자신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작성을 찾기 위한 경험을 많이 하게 되었고 꿈이나 진로를 정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전에 가지고 있던 자신의 진로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게 되었다고 나타났다.
- - 저는 되게 제 장래희망에 대한 갈망이랄까 그런 게 있었어요. 한번도 뭔가 내가 제 꿈을 확실하게 정해본적이 없는 거 같거든요. 제 기억 속에. .....근데 이런 활동을 한 가지씩 해볼 수 있잖아요. .... 뭐 꿈을 정하는 것은, 자기 적성을 찾는 것은 많은 것을 경험해봐서 알 수 있다 잖아요. 그래서 그런 것들을 내가 하나씩 해볼 수 있었던 거니까 그래서 내가 되게 좋아서 또 시작하는 것 같아요.(참여자 5)
- - 그러니까 정말 제 미래가 밝아, 밝아 오는 것 같아요.... 그러면서 제 미래가 좀 많이 밝아졌어요.(참여자 1)
- - 작문활동 다음으로 신문NIE를 했어요. 신문을 보게 되니까 좋은 일, 나쁜 일을 보게 되었는데 ...내가 이런 걸 해결 할 수 있는 그런 건 없는 건가 뭐 그런 생각도 하고 이게 계기가 됐어요. 신문 NIE하면서 제 꿈을 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됐어요.(참여자 2)
- - 포상제가 없었으면 저는 그냥 평범한 사람으로 갔을 텐데 포상제가 나와 가지고 또 다른 제 인생을 만들고 꿈도 좀 더 키워줄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참여자 4)
- - 저한테는 꿈을 찾는 활동 이라는 게 의미가 큰 거 같아요. ... (참여자 5)
- - ... 되고 싶다 이거였지 확실하게 정해지진 않았어요 그 전에는 ..그런데 지금은 이 활동을 하면서 확실해졌어요(참여자 8)
- - 로봇 과학자였는데...(포상제활동)하면서 바뀌었어요. 이거 하면서 기타리스트로 바뀌었다가... 이거 하면서 진로가 좀 더 정확해지는 거 같고...(참여자 11)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몰랐던 자신의 흥미를 발견하거나 새로운 자신에 대해 알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아무래도 저는 악기를 제가 뭔가 잡아보고 싶다는 게 많았어요. 그래서 피아노나 드럼을 치면서 그런 경험들을 통해서 아, 이런 것도 재밌구나 라고 생각도 하게 됐고.... 또, 뭐랄까? 그 탐험활동도 내가 평소에는 내 정신력이 이만큼, 체력이 이만큼 인거를 알 수 없잖아요. 그런 것도 알게 되고.(참여자 5)
- - 새로운 그런걸 알게 되고 ...제가 악기를 저와 안 맞는다고 했잖아요. 성공하긴 했는데 여전히 힘들고 그랬는데, 이거는 정말 저한테 너무 잘 맞는 거예요... 정말 이걸 하면서 알게 된 거죠(참여자 15)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경험해 보지 않은 것을 경험해 보거나 새로운 것들을 배워보거나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것들을 체험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 - 그리고 자전거 잘 원래 못 탔었는데 그걸 계기로 자전거도 배우고 그래서(참여자 9)
- - 요리에서요...그냥 집에서는 제가 직접 못 만들어 보는거 그냥 기회가 되서 만들어 보니까 재미있었어요.(참여자 12)
- - 피아노를 예전에 배웠다가 안 배워서 그걸 다시 피아노를 배우고 싶은 마음이 들었는데 이 포상제 통해서 배웠는데 피아노를 그 까먹었던 감각들을 다시 되 살릴 수 있었고 (참여자 13)
- - 그냥 하나씩 배워가지고 오늘은 이거든, 그리고 다른 거 배워가지고 재밌었어요...그것도 있고 그냥 이런 것도 배워보는구나 이렇게 느끼게 되는 거...(참여자 14)
- - 일단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것들을 이렇게 체험할 수도 있고...(참여자 17)
범주 8 : 적극성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었고 성격이 적극적으로 바뀌어 자신이 좀 더 적극적으로 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적극성은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와 ‘적극적인 성격으로 바뀌었다’로 진술했다. ‘적극적으로 행동한다’의 진술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소극적이거나 소심한 행동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었고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는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처음에는 이렇게 너무 소극적이여 가지고 친구들이랑 대화도 못 했는데/이 포상제를 하니까 제가 좀 많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게..(참여자 1)
- - 애들 말에 그냥 따라가기만 했어요....어색하게 그냥 가만 있는것보단 친구해서 말 좀더 많게 해서 하는게 나겠다 해서....제가 먼저 권유를 해가지고 이렇게 하자 이렇게 하자해가지고 애들이 따라주고(참여자 4)
- - 네 그렇죠 김치를 만지는 것도 싫어했을걸요? ...은장일 때 제가 막 김치냉장고에서 꺼내서 먹는거 갖고 오면 엄마가 막 신기하다고 하고...(참여자 7)
- - 낯선 환경도 만약에 원래 보통 다른 사람들 같은 경우에는 남의 집이나 그런 데서 잠 잘 못자잖아요 ...네 성격 좀 많이 바뀌는 것 같아요(참여자 8)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소극적이거나 소심한 자신의 성격이 적극적으로 바뀌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근데 제가 그래서 포상제에서 느낀 점이 ...어..적극적으로 하게 되었고 또 성격이 좀 변해진거 같아요.전 처음에 많이 소극적이었는데...적극적으로...(참여자 1)
- - 네 원래 낯을 많이 가렸거든요 근데 지금 처음에 중학교 들어왔을 때 애들한테 먼저 말 걸고 모르는 애들이잖아요 전부 다 근데 저 사교성 좋다는 얘기 많이 듣고...(참여자 8)
- - 처음에는 그냥 되게 소극적이고 말도 없고 그랬는데요. 조금씩 이걸 하면서 자신감도 조금씩 생기고, 뭐랄까 말하는 것도 조금 유창해졌다 해야 하나 그런 것들도 가지게 되었고, 그리고 좀 더 좀 적극적인 성격 같은 게 생긴 것 같아요.(참여자 5)
범주 9 : 또래관계 향상.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게 되어 친구들과 더 잘 어울리게 되었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더 돈독해지는 또래관계 향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래관계 향상은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게 되었다’, ‘친구관계가 좋아진다.’ 와 ‘친구관계가 더 단단해 졌다’로 진술했다.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함께 활동하는 친구들을 도와주거나 미션을 완주 할 때까지 어울리게 되면서 친해지거나 관계가 좋아는 경험을 했고, 학교나 주변의 친구들과도 활동하기 이전보다 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 변화요? 학교에서 그 쫌.... 네 친구들이랑 사이가 더 좋아진거..(참여자 6)
- - 그거 하면서 막 도와주고 그렇게 하다보니까 더 친해지고(참여자 9)
- - 친구 관계는 더 좋아졌던 거 같아요.(참여자 10)
- - 또래활동 뭐 신체 단련 같은 거를 하면 또 친구들과 또래 친구들과 하면은 힘들 수도 있는 거를 하다가 운동하다가 조금 얘기도 하고 서로 알려 주기도 하고 서로 같이 운동 하기도 하면서 친구들 간에 그런 우정 같은 것도 더 단단해졌고..(참여자 13)
- - 대개, 더 친해져, 제가 원래 대개 소심하고 그러기도 했는데 애들이랑 더 친해지고 또 대개 우정도 쌓을 수 있고 다같이..(참여자 15)
범주 10 : 봉사의식.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버리게 되었고 장애인을 배려하게 되었으며 환경보호를 스스로 실천하게 되는 ‘봉사의식’을 경험하고 있었다. 봉사의식은 ‘차별과 편견이 사라진다’, ‘ 장애인을 배려한다’, ‘환경보호를 실천한다’의 주제묶음으로 구성되었다.
청소년은 활동에서 장애인시설이나 단체에서 봉사활동을 하면서 그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사라졌다고 조사되었다. 청소년은 봉사활동을 통해 여러 장애인을 만나면서 장애인에 대해 편견을 가지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하거나 장애인을 차별하지 말자, 장애인을 놀리지 말자라고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진술을 했다.
- -세상에는 여러 가지 사람들이 있구나 우리같이 정상인 말고 따른 능력이..따른 능력이 아니라 따른 그런 것..따른 무슨 질병이 있는 사람도 많이 만나봤고, 정신적인 문제 있는 사람도 만나봤고, 여러 가지 사람 만나면서 편견을 가지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예를 들어, 장애인을 차별하지 말자거나. 장애인을 놀리지 말자(참여자 10)
청소년은 봉사활동을 통해 장애인을 만나게 되었고 이 경험은 학교에서 장애인친구에 대한 배려를 실천하게 되었다. 즉 청소년은 봉사활동을 통해 장애인을 돕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 제가 봉사활동을 6학년 때, 우리 친구들 가운데 장애인 친구 왔을 때, 그 장애인 친구 좀 많이 보살펴 줘야 겠다 하면서 제가 많이 보살펴 줬는데, 자발적으로 도와주고 이런 건데 저희랑 너무 다른 점이 많으니까 최대한 장애인 좀 기분 좋게 하려고 많이 따라 다니면서 대화도 많이 나누고 제가 수업시간에 공부도 같이 하고 하니까....그 장애인 친구는 제 옆에 있으면 좀 많이 웃어요....그래가지고 제가 많이 따라 다니니까 그 친구가 저를 많이 좋아하는 거예요. 그래서 그 친구랑, 그 친구는 내가 없으면 좀 우울해 해가지고 내가 많이 도와주고 그래서.....(참여자 1)
청소년은 활동 가운데 환경보호와 관련된 봉사활동 경험이후 쓰레기를 줍는 생활습관이 생겼고,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게 되었다는 등의 생활 속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생활..생활습관은 아마도..그 ..어..괜찮은 생활은 어..쓰레기 줍고 하는 일을 많이 된 것 같아요. 어..내가 사소한 것에도 어..적극적으로 하기..하게 된 거 같아요(참여자 1).
- - 우선 바닥에다 쓰레기를 함부로 안 버려요. 네 막 다 닦였다고 했는데도 바닷가에 기름기가 안 떠다니는 것도 아니고 기름이 좀 있긴 있었어요. ...그래서 환경을 아껴야겠다(참여자 7).
범주 11 : 도전정신.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정신과 더 큰 활동에 대한 의욕이 넘쳐났고 무엇이든지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도전정신을 경험하고 있었다. 도전정신은 ‘도전의식’과 ‘긍정적 사고’의 주제묶음으로 구성되었다.
청소년 활동을 통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을 하게 되었고 더 큰 활동에 대한 의욕을 갖게 되는 도전의식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그러면은 이제 뭔가 좀 더 내가 더 성장해서 더 큰 곳에서 활동들을 한다 라는 그런 것들이 있어서 되게 의욕이 생겨요.(참여자 5)
- - 네 옛날에는 도전 자체를 안했죠. ... 근데 지금은 해보면 되지 실패하면 두려우면 뭐 그런 생각...기타를 칠 줄 아는 게 맨 날 똑같은 거만 연습하니까 그것만 칠 줄 알았는데 도전을 안 했어요. 한마디로 근데 여기서 어려운곡에도 도전해보라고 하니까 괜찮아 졌어요. (참여자 7)
- - 네. 그때는 뭘 해도 잘 안 될 거란 생각이 많았었거든요. 뭐 계속 뭘 하면 실패 하고 실패 하고 했었거든요. 지금은 성공하든 실패하든 어째튼 제가 해야 되는 일이기 때문에 일단은 맞닥뜨리고 보는 거죠(참여자 18)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무엇이든지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 - 그냥...과정을 즐기면서 하면 되니까...지금은 그냥 힘들면 그냥 나중에 뭐 또 좋은 게 오겠지 그냥...그런 식으로(참여자 14)
- - 뭐든지 되게 긍정적으로 바뀌었어요(참여자 15)
- - 그러니까 원래 생각이 부정적이었는데 하면서 봉사도 하고 하면서 뭔가 남들을 도울 수 있다는 생각이 드니까 긍정적으로 좀 된 것 같아요..(참여자 17)
범주 12 : 경쟁의식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친구들보다 잘하려는 경쟁심을 경험했고 친구들과 자신을 비교하기도 했고 자신이 친구들보다 부족하거나 못하다고 생각하는 타인 주도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타인주도성은 ‘경쟁심’, ‘ 열등감’, ‘ 비교’ 등의 주제묶음으로 구성되었다.
청소년은 활동과정에서 친구들을 따라 잡겠다는 마음과 저 친구는 다음 단계를 하는데 ...여기서 머물 수 없다는 등 친구보다 더 잘하려고 했으며 동장에서 은장, 은장에서 금장으로의 다음단계 참여에 대한 동기가 친구와의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서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 - 연습하겠다거나 아니면 내가 이걸 잘할 수 있을 때까지 친구들한테 배운다거나....친구들을 따라 잡겠다거나(참여자 10)
- - 같이 하는 친구들도 다음 단계에 도전 하겠다고 하는 모습을 보면 저 친구는 다음 단계를 하는데 저는 그 전의 단계만 하고 머물 수 없다는...(참여자 13)
청소년은 활동을 통해 나만 못하는 것 같고, 자신은 늘 허접하다고 생각하는 열등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다 처음 해 보는 거고 친구들은 다 잘 하는 거 같은데 나만 못하는 거 같고 그랬어요....저는 대개 뭘 만들어도 대개 허접해보였는데, 마지막에 애들이랑 다 작품을 그림을 그린 애들도 그림을 대개 예쁘게 그렸고 만든 애들도 대개 잘 만든 것 같았는데 저만 허접한 것 같고..(참여자 15)
청소년은 활동을 하면서 쟤도 하는데 나도 해야지 라고 생각하거나 나는 쟤보다 잘할 수 있다고 여기는 비교의식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 은근 애들이랑 나를 비교하게 되고..경쟁력을, 경쟁심을 자극해 주죠. 나도, 쟤도 하는데 나도 해야지, 나는 쟤보다 잘할 수 있어...(참여자 15)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의 결과,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총 12가지의 의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자기관리 능력을 향상시킨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목표를 설정하거나, 학업이나 공부생활에서도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스스로 해야 할 일들에 대해 계획하게 되는 습관을 가지게 되고 효율적인 시간사용에 대한 의식을 갖는 자기관리를 경험하게 되었다. 둘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자기성장을 경험하게 한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성적이 오르거나 수행평가에서 A를 받게 되었고, 실력이 향상되었으며 목표달성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고 있었고 활동 후 자신이 더욱 성장한 것 같다고 진술을 하는 자기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자아통제력을 향상시킨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하고 하기 싫은 일은 하지 않던 이전의 모습과는 달리 싫은 일도 하게 되며, 세워진 목표달성 때까지 힘든 환경을 참는 습관을 경험했다. 또한 자신의 나쁜 습관이 변했다는 주변의 칭찬을 듣기도 했고 나쁜 습관을 스스로 고치려는 노력이 나타나기도 했다. 넷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자아성숙을 이루게 한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스스로 뭔가를 해 보려는 힘이 생겼고 귀찮아서 안하던 것들에 대해 점점 부지런해지는 성실함을 경함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귀찮음과 게으름이 조금씩 사라져서 어떤 일을 미루지 않고 꾸준히 하려 노력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활동참여에 대한 책임감이 생겼으며, 활동을 통해 집중력이 높아지거나 생기는 자아성숙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자신감을 심어준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마음과 어떤 것도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경험했다. 여섯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자존감을 높여준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친구들은 할 수 없는 일을 자신은 해냈다는 자부심을 갖게 되었고, 봉사활동(환경보호)이후에 달라진 주변을 볼 때마다 자부심이 생기는 경험을 했다. 또한 스스로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었고 활동의 과정을 끝까지 완주한 자신이 뿌듯하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랑스러움을 느꼈다. 일곱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진로자신감을 갖게 해 준다. 청소년은 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서 적성을 확인하는 경험을 했고, 진로를 찾아보는 기회를 얻었고, 활동을 통해 알지 못했던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고, 경험해 보지 않은 새로운 것을 배워 보고거나 경험해 보는 것들을 통해 자신의 미래에 대해 자신감이 생기는 진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여덟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적극성을 갖게 한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었고 성격이 적극적으로 변했다는 적극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아홉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킨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게 되어 친구들과 더 잘 어울리게 되었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더 돈독해졌다. 열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봉사의식을 함양한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버리게 되었고 장애인을 배려하게 되었으며 환경보호를 스스로 실천하게 되었다. 열한 번째,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도전의식을 함양한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정신과 더 큰 활동에 대한 의욕이 넘쳐났고 무엇이든지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열두 번째, 청소년은 청소년활동을 통해 경쟁의식을 경험한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친구들보다 잘하려는 경쟁심을 경험했고 친구들과 자신을 비교하기도 했고 자신이 친구들보다 부족하거나 못하다고 생각하는 경쟁심이 나타났다.
하지만 경쟁의식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의 철학과 반대되는 내용이다. 그럼에도 경쟁의식을 포함한 것은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진술이 많았기 때문이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은 비경쟁의 철학을 담고 있지만, 활동을 참여하는 청소년은 비경쟁의 활동에서도 또래친구와의 경쟁의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향후 프로그램 지도자교육이나 지도 매뉴얼에서 비경쟁의 철학을 교육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은 <습관화>를 통해 청소년활동에서 나타나는 12가지의 의미를 경험한다. 특히 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효과는 일회성 혹은 단발성으로 체험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그대로 드러나는 습관화 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활동일지의 효과 때문이다. 활동일지의 작성은 청소년이 가장 힘들어 하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반복적인 작성을 통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의 가치와 철학이 학습되었다.
둘째, 청소년은 청소년활동을 통해 경험한 것들을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실천력>이 나타났다. 봉사활동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청소년은 환경보호활동이나 장애인 봉사와 같은 활동이후 지역사회나 주변의 환경에 대한 환경보호 혹은 봉사활동의 행동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있었고,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버리거나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나 도움의 행동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또한 신체단련 활동에서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통해 향상되고 성장된 신체단련은 학교나 생활 속에서 그 효과를 경험하고 있었고, 이를 통해 얻은 자신감은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은 청소년활동을 통해 <변화>와 <성장>을 경험한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활동의 과정은 힘들거나 어려웠던 시절이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극복하거나 도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달라졌다는 점을 확인하게 되었고, 그러한 경험을 통해 스스로가 조금 더 성장했다고 고백했다. 청소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를 시작하면서 태도와 행동이 적극적으로 변하였고, 도전의식이 생겨서 삶이 의욕적으로 변하였고, 봉사정신과 봉사의 실천을 하게 되거나 자신의 미래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또래관계가 활동 이전보다 더욱 돈독해 지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청소년은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시간을 관리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활동을 통해 성적과 취미생활의 실력이 향상되는 성장을 경험하였다. 이전의 나쁜 습관이나 잘못된 태도를 스스로 고치려고 노력하게 되었고 자기 자신에 대한 자랑스러움과 삶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되면서 자신이 한 단계 성장했다고 느끼거나 부모님이나 친구들로부터 조금 성장한 것 같다는 소리를 자주 듣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청소년활동의 본질적인 의미를 확인하고 청소년이 경험한 의미를 통해 청소년활동의 실제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탐구하는데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5년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사업 임.
Notes
References
- 김소희, (2007), 수련활동 체험이 청소년의 생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기, 외 , (2012), 2012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김영기, 외 , (2013), 2013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자기주도성에 대한 효과성 연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김우철, 임순선, 한상철, (2011),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교육학논총, 32(1), p21-39.
- 김진호, (2008), 청소년활동프로그램 참여자의 몰입경험 결정요인 구조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5(4), p1-25.
- 김진호, (2013), 국체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이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1), p1-18.
- 김창현, (2008), 청소년 수련활동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일남, 김태균, (2010),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활동역량진단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8(4), p45-61.
- 도종수, (2011),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4), p21-45.
- 문성호, 문호영, (2009),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1(1), p101-120.
- 문성호, 문호영, 김용대, (2009), 2008년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공모사업 만족도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 백혜정, (2010), 한국형 포상제 모형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 (2004),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오세비, 문성호, (2012),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참여청소년의 활동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1), p249-270.
- 이광호, 변윤언, (2007), 한국사회에서의 청소년활동 의미와 제도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학회. 청소년시설환경, 5(3), p49-62.
- 이교봉, (2009),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0, p172-210.
- 이동성, 김영천, (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0(2), p1-26.
- 이종원, 장근영, 김호순, (2007), 2007년 청소년활동 참가실태 조사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임순선, 조정운, 한상철, (2010),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과 시민성과의 관계, 교육학논총, 31(1), p107-125.
- 임영식, 문성호, 정경은, (2009), 인증수련활동 참여 청소년 활동영역별 효과성 측정 연구, 보건복지가족부․한국청소년진흥센터.
- 임영식, 문성호, 정경은, 강태신, 고혜연, 문호영, 박옥식, 조규필, 진은설, (2009), 청소년인증수련활동 영역별 효과성 척도 개발, 한국청소년학회, 16(5), p75-97.
- 장근영, 김용대, 김태우, (2011),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효과성분석연구 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정건희, 김웅수, 김경휘, (2013), 청소년활동이 시민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0(4), p179-198.
- 장근영, 김기헌, (2006), 청소년 활동참가실태조사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 정재민, (2010), 청소년 팬덤 현상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청소년연구, 21(3), p91-119.
- 정재민, (2012),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예방을 위한 실천전략 개발 질적연구, 청소년문화포럼, 30, p65-81.
- 정재민, 외 , (2014),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조남억, 이광호, (2009),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7(2), p39-51.
- 진은설, 임영식, (2009), 청소년활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6(4), p211-234.
- 천정웅, 이지민, 성윤숙, (2013), 청소년문화와 보호, 서울, 양서원.
-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Sage,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200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 Max van Manen, M., (1998),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Ontario, The Althouse Press, 신경림 역, (2000),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현문사.
- Michael, Crotty, (1996), Phenomenology and nursing research Publisher: Churchill and livingstone in Melbourne, 신경림, 공병혜 역, (2000),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