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초록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C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여고생 432명이었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만족도의 신체강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친구지지의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만족도의 신체강도, 신체매력 변인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친구지지의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high school girls’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er support affect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surveyed for this purpose are 432 high school girls in their 1st or 2nd year who attend three high schools in C City, Gyeongsangnam-do.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appearance satisfaction, physical fitness of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in regard of peer support, informational peer support and emotional peer support, in or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both variables,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in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hile inform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in peer support, in order,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Keywords:
High School Girl, Appearance Satisfaction Peer Support, School Life Satisfaction키워드:
여고생, 외모만족도, 친구지지, 학교생활만족도Ⅰ. 서 론
우리는 일상생활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이러한 만남의 과정에서 외모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가운데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속성으로 타인을 판단하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 김은경(2005), 김성희(2005) 등은 사람들은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때 무의식적으로 외모를 통해 상대방을 평가하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는 달리 개인의 차원에서 외모는 자신을 외부로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각종 정보매체의 발달로 인해 청소년들 사이에 이상적인 외모의 전형이 구체적으로 전달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과거에 비해 더욱 커지고 있다. 심경옥(2006)은 과거에 비해 현대 사회의 청소년들이 외모를 더욱 중요시하게 여김과 동시에 외모에 보다 높은 가치를 두는 경향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한편, 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외모에 관심이 높은 만큼 외모에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도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들은 급격히 변해가는 신체적 특징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면서 자신의 외모에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장선철ㆍ송미현, 2004). 이와 같이 청소년들의 외모와 관련된 문제들은 학교성적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관심이자 고민거리이다. 일반적으로, 외모에 자신감이 없는 청소년들은 친구들 앞에 나서기를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며 학교생활의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곤 한다(김은경, 2005). 그리고 청소년의 중요한 고민거리가 되는 이러한 외모에 대한 만족도는 객관적인 수치보다는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인지되는 경향이 많다(김성희, 2005). 이와 관련하여 이규옥(2009)은 청소년기들이 지각하는 신체적 외모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자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느냐 혹은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느냐 여부가 결정되며, 이러한 결정은 학교적응 및 부적응 행동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본다. 특히, 성인에 비해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기는 외모를 통해 상대를 평가하려는 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외모가 매력적이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청소년은 또래들로부터 무반응과 거부를 당하기도 하고, 이로 인해 본인 스스로 비관적인 성향을 가지기도 한다(서윤경, 2003).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성인으로의 성장과정에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에 타인의 관심과 시선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강하다. 장휘숙(1999)은 여고생들은 남학생들보다 외모를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고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자신의 외모에 대해 더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청소년의 외모만족에 따른 학교생활 관련 선행연구들(송미현, 2004; 송연수, 2009; 임지혜, 2011)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외모를 포함한 신체에 대한 만족의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환경, 학교수업,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교사와 친구들과의 대인관계도 적극적이고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양진(1992), 이언숙(2007), 이윤정, 정찬주(2009) 등의 연구결과에서도 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만족 정도는 학교생활 전반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춘기에서 중기 청소년기로 이동하는 시기에 놓인 청소년들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감소하는 반면 친구와의지지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송경아(2008)는 청소년들은 우정, 가치 확인, 친밀감 등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부모보다는 친구들에게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친구와의 긍정적지지 관계는 정서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며,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친구의 지지는 친구관계 형성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바람직한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친구와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중요시 여기며, 서로의 의견을 존중해 주고 의사소통의 기회를 많이 가지려는 특징이 있다. 신재은(2000)은 성별에 따라 친구의 질과 양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주장하는데, 그는 여고생이 남학생에 비해 친구의 수는 적으나, 친하게 느끼는 친구의 수는 더 많다고 주장한다.
한편, 청소년들은 신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더불어 여러 가지 불안을 경험하면서 자신들만의 세계를 구축해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내면 그리고 친구들과 대화를 통해 소통하고 공감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청소년들은 부모나 형제보다는 평등한 관계에 있는 친구에게 자신의 고민, 미래에 대한 희망, 불안 등을 이야기하며 성장해 간다(임수경, 2007). 청소년 시기에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다양한 사회·정서적 발달을 경험하게 된다. 더불어 친구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강조되며, 이 시기에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그 영향력이 높으며 친구지지를 중요한 지지의 원천이다(김인숙ㆍ이경님, 2004). 이와 같이, 친구와의 관계는 부모나 형제 등의 혈연적인 관계와는 달리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며, 친구의 지지는 가족으로부터 받는 지지와는 다른 성질의 중요한 사회적 지지원이다(최지은, 2009).
친구지지와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두환, 김지혜(2011)는 부모와 맺는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그리고 친구와의 공통된 성향이 강할수록 학교생활만족이 높다고 본다. 이와는 반대로 친구의 지지를 적게 받은 청소년은 친구의 지지를 많이 받은 청소년 보다 학업성적이 낮으며, 교사와 같은 반 친구와의 긍정적지지 관계는 학교생활의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윤소정ㆍ주자현ㆍ이은영, 2013; 송연수, 2009; 이규옥, 2009; 임인숙, 2011)도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고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정도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운데 특히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와 친구로부터의 지지가 학교생활의 만족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Ⅱ. 선행연구의 고찰
1. 청소년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만족
김형미(2011)는 외모만족도를 신체의 부분에 대한 만족여부가 아닌 외모에 대한 포괄적이고 직관적인 이미지, 즉 용모와 관련된 겉모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라고 정의한다. 외모는 얼굴, 몸매, 헤어스타일, 화장, 옷차림 등을 포함한 것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총체적인 모습을 의미하며, 자기개념의 형성과 대인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외모는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송연수, 2009). 외모만족도의 개념에 대한 해석 및 정의는 다양한데, 조미라(2011)는 외모는 얼굴과 몸매는 물론 풍기는 분위기까지 포함하며, 다른 사람이 자기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으로써 얼굴과 겉모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를 외모만족도라고 본다. 심경옥(2006)은 신체만족도(body cathexis)란‘신체 여러 부분의 생김새와 신체 기능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를 의미하며, 신체상(body image)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외모만족은‘용모와 관련된 겉모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외모에 대한 이미지와 다른 사람이 자기의 외모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이고 포괄적인 이미지이다(김미옥, 1996). 그리고 외모만족은 자신의 신체 이미지가 외부로 표출되어 다른 사람에게 매력적인 모습과 좋은 인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인정받는 지각의 긍정적 태도라 할 수 있으며, 외모만족도란 외모에 대해 만족하거나 불만족하는 느낌의 정도를 말한다. 한마디로 겉모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를 의미한다(최민호, 2006). 외모만족도는 객관적인 수치보다는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인지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타인들과 자신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를 인식하게 된다(김경아, 2003). 외모만족도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주관적인 이미지, 신체의 전반적인 외모에 대한 평가, 태도 등의 주관적인 요인들이다. 외모에 대한 지각은 타인과 문화적 가치의 영향을 받게 된다(이주아, 2005).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장면에서 다른 사람의 평가에 의한 자기인지의 영향을 받아 스스로 자신에게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도구가 된다(임인숙, 2010).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변화로 자신의 신체와 외모에 많은 관심을 지니며, 자신의 변화된 신체를 지각하고 새로운 신체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시기이다(송인섭, 1998). 이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외적으로 드러나는 신체적 매력을 주시하게 되어 지나치게 외모에 신경을 쓰게 된다(남궁정은, 2012).
청소년기의 특성 상 청소년들이 자신의 외모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공미혜ㆍ이영숙, 2009).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됨에 따라 일생 중 자신의 신체변화와 외모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심경옥, 2006). 청소년들은 자신이 그들의 또래 집단과 유사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가를 근심하며 체중과 얼굴 모습에 과도한 관심을 갖는다. 또한 청소년기의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외모를 더 중요시하고, 가능하다면 외모를 변화시키기를 원한다(서윤경, 2003). 김성희(2005)의 조사에서는 가장 부러운 학교 친구로 응답자가‘외모가 뛰어난 친구’를 꼽아 공부 잘하는 친구나 성격 좋은 친구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이 외모에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에게 외모는 자신을 나타내는 척도로 매우 중요하며 외모를 보다 매력적으로 보이게 함으로 또래관계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려는 욕구가 강하다(송미현, 2004). 여고생들이 남학생들 보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에 외모만족도는 여고생들이 낮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정선철ㆍ송미현, 2004).
한편, 송인섭(1998)은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만족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급격한 신체적 성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와 심리간의 불균형의 정도로 본다. 이와 관련하여 장선철ㆍ송미현(2004)은 청소년들은 심리적 불안과 불균형적인 신체 발달로 인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기 힘들고, 이는 외모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아울러 청소년들에게 신체적 특징은 또래집단에 수용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여학생들은 대체로 자신의 체격에 대해 비판적이고 자신이 덜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외모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남학생보다 외모에 더 많은 가치를 두는 경향이 강하다(서윤경, 2003).
실제로 여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여학생은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다(임인숙, 2010). 또한 외모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기주장도 잘하고 타인과의 관계도 잘 맺으며 학교생활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장선철ㆍ송미현, 2004). 여고생의 외모만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의 차이에서 외모만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외모만족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교우관계와 학교규칙, 학교수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임지혜, 2011). 학교유형에 따른 외모에 대한 관심과 외모만족도의 차이에서 여학교의 학생들이 남녀 공학의 여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해 관심이 더 높고 외모만족도가 더 낮았다. 이는 다른 의미에서는 여학생들만 모여 있는 여학교가 남녀공학의 여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한 더 많은 지식과 정보에 노출되어 있고, 자신들의 외모를 더 많이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송연수, 2009).
한편,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외모만족도는 학교 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한혜령ㆍ김현숙, 2010). 외향적인 여고생, 학교성적과 학급 내 인기도에 따라 신체만족도는 높게 인식하였다(김정애ㆍ김용숙, 2003). 외모관심이 외모만족도에 역방향으로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외모만족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경희ㆍ안귀여루, 2013). 외모의 한 분야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은 모든 외모 관련 특성에 대하여 관심이 높았고, 외모만족도는 학교생활만족 및 일상생활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어,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 만족도가 높았다(이명희, 2009).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었다(송미현, 2004; 임지혜, 2011). 구체적으로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환경, 학교수업,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며, 교사와 친구들과의 대인관계도 원만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심경옥, 2006; 임지혜, 2011; 정선철ㆍ송미현, 2004; 하정혜, 2011). 이언숙(2007)의 연구에서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보다 교사나 친구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신의 외모에 만족하는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수준도 높을 뿐만 아니라, 학교활동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들은 궁극적으로 학교생활만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학교유형에 다른 외모에 대한 관심과 외모만족도의 차이에서 여학교의 학생들이 남녀 공학의 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더 높고 외모만족도가 더 낮았다(송연수, 2009; 장선철ㆍ송미현, 2004). 송연수(2009)는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어떤 의미에서 여학생들만 모여 있는 여학교가 남녀공학의 여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해 더 많은 지식과 정보에 노출되어 있고, 자신들의 신체를 더 많이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외모만족도는 학교생활만족에 여러 가지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러 선행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송미현, 2004; 심경옥, 2006; 이규옥, 2009; 이언숙, 2007). 이 가운데 송미현(2004)의 연에서는 학교환경과 학교수업, 학교생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경옥(2006)의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인숙(2010)의 연구에서도 여학생들은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미라(2005)의 연구에서는 신체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은 공부나 친구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윤정, 정찬주(2009)의 연구에서 외모만족은 친구, 학교환경, 수업, 등의 적응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교사적응에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등학교의 유형에 따른 연구에서는 실업계학생들이 인문계 학생들보다 외모에 관심이 많으나 외모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송미현, 2004; 송연수, 2009). 또한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더불어 청소년의 하루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학교생활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언숙, 2007; 송연수, 2009; 이규옥, 2009; 임인숙, 2011).
이규옥(2009)의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외모에 만족하는 청소년들은 만족하지 않는 청소년들보다 교사와 친구들과의 대인관계도 긍정적인 경험을 하며, 학교생활에 더 적극적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신의 신체나 외모에 만족하면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사회활동에 적극적이며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는 심경옥(20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한편, 여자고등학생들에게 친구관계란 마음을 터놓고 비밀을 공유하면서 더 두터운 관계로 발전하기도 하고 학교성적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최지은, 2009). 그 만큼 친구의 중요성이 인식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요즈음 청소년들은 친구를 사귀는 형태가 집단화 되어 가는 경향이 있으며, 소수의 친구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보다는 다수의 친구들과 어울리는 경향이 있다. 남학생의 경우가 여학생의 경우보다 그렇다(최정미ㆍ김미란, 2003).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친구와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중요시 여기며, 서로의 의견을 존중해 주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준다고 해석 된다(홍승화, 2013).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친구지지, 가족의 지지, 교사의 지지 순으로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지은, 2009).
2. 친구지지와 학교생활만족
청소년은 학교에서 학급 친구들을 포함한 친한 친구들과 대인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신의 사회적 세계를 넓혀 나간다. 청소년기는 친구와의 관계가 증가하는 시기로서, 청소년기에 친구가 제공하는 지지는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김지혜, 1998; 송명자, 1995). 친구와의 관계는 부모나 형제 등의 혈연적인 관계와는 달리 자발적이며, 상호 의존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친구의 지지는 가족원으로부터 제공받는 지지와는 다른 성질의 중요한 사회적지지원으로서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최지은, 2009). 친구지지는 친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긍정적인 지원을 의미한다. Cobb(1976)가 사회적 지지란 자신이 사랑받고 존중받고 보호받으며 의사소통 망에 속해 있다는 정보이며, 청소년기가 되면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점차 감소되는데 친한 친구로부터의 지지는 가족과 사회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친구와의 밀접한 지지는 청소년기의 불안정한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고 친구가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
사회적 지지는 한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을 통해 개인이 타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으로서 사랑, 존중, 인정, 상징적 또는 물질적 도움을 말한다(정성인, 1998). 청소년 시기에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다양한 사회·정서적 발달을 경험하게 되면서 친구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게 되고, 이 시기에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그 영향력이 크다(김인숙ㆍ이경님, 2004). 박지원(1985)은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면서 여러 학자들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정의를 분석하여 지지적 행위의 속성을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정서적 지지로 이해, 애정, 신뢰, 관심, 사랑 등 정서적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것, 둘째 정보적 지지는 사건해결과 관계된 여러 가지 방법이나 정보제공이며, 셋째 물질적 지지는 일을 대신 해주거나 시간, 돈이나 물건을 제공하여 직접적으로 돕는 행위를 포함한다. 넷째 평가적 지지는 칭찬이나 인정, 존중 등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주거나 부정하는 자기평가와 관련된 지지이다.
한편, 친구지지란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친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랑, 인정, 정보, 물질적 제공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긍정적 지원을 의미하는데, 청소년시기에 친구지지가 중요한 이유는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벗어나 자율성과 독립성을 획득하려고 하는데, 이 때 친구로부터의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김인숙ㆍ이경님, 2004). 또한 청소년에게 친구관계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학교생활의 적응 또는 만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학교생활을 보내는 가운데 청소년들은 친구를 통하여 여러 가지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주고받는다(김세환, 2005).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학교생활만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구자은(2000), 김지혜(1998), 최지은(2009) 등의 연구에서는 학교환경적응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잘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수경(2006)의 연구에서는 친구와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의 경우 친구관계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부모나 친구들의 애착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았다(송경아, 2008; 홍승화, 2013). 조진만ㆍ강정한ㆍ이병규( 2012)의 연구에서 반 친구들로부터 친한 친구로 많이 지목 당할수록, 그리고 반 내 인기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는 더 높았다. 특히, 학창시절에는 친구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보다 많은 관계로 친구와의 관계는 이들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최지은, 2009). 즉, 청소년들의 친구관계는 부모와 형제관계와는 또 다른 형태의 사회성을 발달하도록 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하도록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친구지지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청소년기는 친구와의 관계가 증가하는 시기로서, 청소년기에 친구가 제공하는 지지는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김지혜, 1998). 친한 친구의 수에서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친한 친구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최정미ㆍ김미란, 2003),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친구에 대한 친밀감의 욕구가 증가하고 또한 많은 경험을 통하여 친구관계에서 필요한 사회적 기술 능력을 획득하게 됨에 따라 친한 친구수가 많아지게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학교유형별로는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집단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반면,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집단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성선진, 2010). 그리고 송연수(2009)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외모에 대한 관심도와 신체만족도, 사회적 지지의 지각정도는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중 또래에게 지지를 많이 받은 청소년은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임수경, 2006; 한진리, 2002). 청소년기는 친구를 필요로 하며 친구가 많고 관계가 기능적일수록 대인관계에 있어 유능감을 느끼게 되고 관계에 대한 만족의 정도도 높아진다(구자은, 2000).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C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여고생이다. 총 3개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그 가운데 1, 2학년 여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시기는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이다. 회수된 설문지 총 450부 가운데 부실하게 기재된 18부를 제외한 43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2. 측정도구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endelson과 White(1993)의 신체존중감 척도(Body Esteem Scale)를 이주아(2005)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신체존중감 척도는 아동 청소년의 신체와 외모에 대한 태도와 감정을 측정하기 위한 2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별문항은 Likert 5점 척도이며, 검사점수는 최저 20점에서 최고 100점까지의 범위를 지닌다. 점수가 20점에 가까울수록 외모만족도는 부정적이고, 100점에 가까울수록 외모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이주아(2005)의 연구에서는 신뢰도(Cronbach's α)는 .86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외모만족도의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8이다.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표 2>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친구간의 지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이계원(2001)의 질문지를 참고하여 심란희(2004)가 재구성한 25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4개의 하위 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서적 지지는 사랑, 이해, 신뢰, 관심, 공감적 경청에 관한 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평가적 지지는 칭찬, 소질인정, 인격존중, 공정한 평가에 관한 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보적 지지는 문제해결, 의사결정, 위기상황에서 제공되는 충고, 조언, 지식 제공 등의 6개 문항이며, 물질적 지지는 필요시 돈, 물건, 시간 등의 제공에 관한 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혀 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1점에서 5점까지의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25점~12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으며, 친구관계가 원만하다고 보았다. 심란희(2004)의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α)는 .91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Cronbach'α)는 .96이었다.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표 3>과 같다.
이 연구에서 조사대상지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오경애(2007)의 논문에서 적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검사는 학생들이 느낀 대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학교생활전반에 대한 만족, 학습활동에 대한 만족, 교사에 대한 만족,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에 대한 만족의 6개 하위영역으로 각 영역 당 6개 문항씩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5단계 평점 척도이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자의 반응은 1점(매우 아니다)에서 5점(매우 그렇다)으로 총 점수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진다. 오경애(2007)의 연구에서 보고한 문항의 내적일치도(Crobach's ɑ)는 .93이다. 본 연구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신뢰도(Cronbach'α)는 .91이다. 하위영역별 신뢰도계수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3. 자료분석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그들의 학교생활 만족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여고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여고생의 외모만족도, 친구지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외모만족도, 친구 지지, 학교생활만족도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한 변수들의 평균, 표준편차는 위의 <표 5>와 같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여고생의 외모만족도, 친구지지, 학교생활만족도 변수의 기술 통계치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외모만족도는 평균 2.79점(5점 만점)으로,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친구지지는 평균 3.8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만족도는 평균 3.13점(5점 만점)으로 인식하고 있어 조사대상자의 학교생활만족도는 보통 수준임을 알 수 있다.
2. 외모만족도, 친구지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변인인 여고생의 외모만족도, 친구지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표 6>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먼저,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두 변인 간에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16)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두 변인 간에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3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구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인 간에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35)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여고생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고생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8>과 같다.
여고생의 외모에 대한 만족 정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6.745, p<.001), 선형회귀모형의 설명력(R제곱)은 15.8% 정도이다.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하는 베타계수(β)를 살펴보면, 외모만족도의 신체강도(β=.301, p<.001) 변인이 여고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고생의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고생들의 친구지지 하위요인이 그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의 <표 9>와 같다.
여고생이 지각하는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8.075, p<.001), 선형회귀모형의 설명력(R제곱)은 약 14.5% 정도이다. 특히, 친구지지 가운데 정보적지지(β=.309, p<.001), 정서적지지(β=.228, p<.01)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의 <표 10>과 같다.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0.654, p<.001), 선형회귀모형의 설명력(R제곱)은 약 25.4%이다.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하는 베타계수를 살펴보면, 외모만족도의 신체강도(β=.182, p<.01), 신체매력(β=.112, p<.05)과 친구지지의 정보적지지(β=.252, p<.01), 정서적지지(β=.224, p<.01)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여고생의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몇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들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외모만족도의 신체강도가 여고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학생들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학교생활도 잘 적응한다는 임인숙(20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중학생의 신체에 대한 만족이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신미라(2005), 임지혜(2011), (정선철ㆍ송미현, 200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외모만족을 구성하는 세 가지 구성요소, 즉 신체매력, 신체강도, 신체조건 가운데 자신의 외모에 대한 비교우위성을 의미하는 신체조건을 제외한 몸매, 체중, 체형에 대한 본인의 만족 정도를 의미하는 신체매력과 외모에 대한 또래친구들의 긍정적 평가를 의미하는 신체강도가 여고생들의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추론해 볼 수 있는 점은 여고생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에 있어 타인과의 비교보다는 스스로의 만족, 또래친구들의 평가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친구관계, 교사관계 그리고 학습활동 등 학교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검토되지 않았으나, 여고생들의 외모만족은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로, 이러한 주장과 관련하여 송선미, 권군용(2014)은 청소년들의 외모만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여고생들의 친구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친구지지를 구성하는 세 가지 하위요소인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가운데 정서적지지와 정보적지지가 여고생들의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박미숙(2011)의 연구결과, 그리고 또래들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김세환(2005) 등의 연구결과와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친구들로부터의 지지 가운데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만이 그들의 학교생활만족에 유의미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고생들이 자신에게 애정을 주고, 고민의 상대가 되어 준다거나 그리고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걱정을 해주는 등의 정서적지지와 자신이 학교생활에서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할 때 충고와 조언을 해거나, 학교안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정보와 지식을 제공해주는 정보적지지를 원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이는 학교생활만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여고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또래친구들과의 정서적 유대와 협력적 관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본 연구가 가지고 내포하고 있는 한계 및 제한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C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한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역별로(여고)를 구분하여 좀 더 포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학교생활만족에 외모만족도와 친구지지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박선애의 석사학위 논문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임.
References
-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기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p667-681.
- 공미혜, 이영숙, (2009),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외모인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1(2), p23-42.
- 구자명, 이명희, (1994), 남·여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사회성 및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5), p153-163.
-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아, (2003), 아동과 청소년의 외모 및 신체만족과 심리적 특성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두환, 김지혜, (2011),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사회학, 45(4), p128-168.
- 김미경, (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그 결정요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란, (2002),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옥, (1996), 외모, 성격, 학업성적이 아동의 대인매력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희, (2005),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자기주장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세환, (2005),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양진, (1992),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경, (2005), 아동의 외모만족도, 신체만족도와 지아존중감, 학교생활부적응간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인숙, 이경님, (2004), 중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친구지지와 행동문제, 한국가정과학회지, 7(2), p97-113.
- 김정애, (1999),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애, 김용숙, (2003), 여고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4(1), p55-73.
- 김지은, (2006), 청소년의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12(1), p53-78.
- 김지혜, (1998),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형미, (2011), 외모만족도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궁정은, (2012),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성의 조절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금화, (2006), 청소년이 지각한 학교 스트레스, 교사, 친구지지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숙, (2011),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윤경, (2003), 청소년의 외모 만족도와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선진, (2010),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경아, (200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의사소통,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명자, (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 송미현, (2004),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선미, 권순용, (2014), 청소년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1(1), p93-115.
- 송연수, (2009),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인섭, (1998),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양서원.
- 신미라, (2005), 중학생의 신체만족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재은, (2000), 초기 청소년의 우정관계와 또래공격성 및 또래에 의한 괴롭힘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p154-165.
- 심경옥, (2006),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심란희, (2004), 인터넷중독과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관련성,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경애, (2007),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소정, 주자현, 이은영, (2013),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체계와 학급응집력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21(2), p185-207.
- 이경희, 안귀여루, (2013), 청소년의 외모관심과 외모만족도가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5(1), p73-83.
-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규옥, (2009), 청소년기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라, (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명희, (2003), 청소년의 외모관련 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명희, (2009), 청소년의 외모관심, 외모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 59(8), p97-109.
- 이언숙, (2007), 초등학생의 외모만족과 성이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윤정, 정찬주, (2009),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 외모관리 행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실과교육연구, 15(4), p85-104.
- 이주아, (2005), 아동기의 외모만족도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아동연구, 11, p77-97.
- 임수경, (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인숙, (2011), 여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의 차이 분석,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지혜, (2011), 여고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선철, 송미현, (2004),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p115-133.
- 장휘숙, (1999), 청년심리학, 학지사.
- 정성인, (1998),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미라, (2011),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 자존감의 차이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병남, (2008),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선명, (2000),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해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진만, 강정한, 이병규, (2012), 가족구조와 친구연결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논집, 43(1), p47-65.
- 주현정, (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민호, (2006),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비합리적 신념 및 외모만족도간의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미, 김미란, (2003), 청소년의 친구관계 특성과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p373-394.
- 최지은, (2009), 가족·친구·교사의 지지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해읍, (2007),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하정혜, (2011),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진리, (2002), 아동의 친구관계 개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혜령, 김현숙, (201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및 외모의식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8(2), p61-76.
- 홍승화, (2013),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ash, T, F., & Pruzinsky, T., (1990), Body Image: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The Guilford Press.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p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 Mendelson, B. K., & White, . R., (1993), Manual for the body-esteem scale for children, Concordia University Research Bulletin, 12(2), p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