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혼합연구
초록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상호보완을 목적으로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아동패널」을 활용하여 양적연구를 실시하고,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순차설명설계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혼합 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지역아동센터 교사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질적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 중요성은 강조되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내 프로그램화된 서비스만이 아닌 대상, 공간, 구조, 시스템 등을 통해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순기능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질적 강화와 교사의 전문성 강화 등 현장과 학계, 유관기관들을 통한 증거기반 결과물을 누적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 증진을 위해 다 체계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mixed Methods study was conducted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and school adaptation of vulnerable adolescent. This research was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It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n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Data and a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have yielded various and complex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apta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and showed the indirect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other hand, supports for teachers of community child cent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importance of teachers of supports was emphasized in qualitative research. In addition, The objects, spaces, structures, and systems of community child center centers are a positive function as a school adaption for vulnerable adolescent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to the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evidence-based results through field, academia and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strengthening the quality of services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Keywords: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school adaptation, mixed methods study, vulnerable adolescents키워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학교적응, 혼합연구, 취약계층 청소년Ⅰ. 서 론
빈곤은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숙고의 문제이며,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끊임없이 고려되고 있는 부분이다. 빈곤을 단순히 소득 결핍 또는 부족이라는 경제적 열악함이나 불리함으로만 설명하기엔 빈곤과 연계된 다양한 이슈들은 청소년의 전인적인 발달에 상당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은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전적으로 부모의 경제적 지위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적, 정서적 다양한 어려움이 결국 일상 및 학교생활 전반과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Brooks-Gunn & Duncan, 1997; McLoyd, 1998; Wilkinson et al., 2004). 결국 빈곤이라는 경제적 조건의 문제는 계층 간 불평등과 계층 이동 기회 차단, 가족해체 및 구조 갈등·불화, 물리적 자원 부족, 정신건강 위협, 낮은 지역사회의 지지, 공동체의식 및 사회기술 약화, 인지 능력과 학업성취 및 진로의식 부족, 미래사회에 대한 희망 부재 등 다양한 위험요소와 연쇄적으로 결합하여 청소년의 발달에 지대한 부정적 결과를 낳는다(김서현 외, 2015; 선미정, 전종설, 2018). 더하여 빈곤 문제는 청소년 스스로 해결의 주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성인보다 그 영향력은 더 고통스러울 수 있다는 점에서(노혁, 2009) 보다 이들을 위한 관심과 안전망을 세밀하게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취약계층 청소년과 미취약 계층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통된 공간에서 활동하더라도 이들의 경험적 차이는 확연히 들어난다. 취약계층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더 호소하고, 실제 적응 수준이 낮으며, 학교 중퇴율도 높다(오승환, 2007; 노혁, 2009). 이는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과 비중이 높을 뿐 아니라 청소년 시기의 적응으로 말미암아 사회 활동 진입에도 차이를 나타내고 빈곤으로 인한 대물림이 지속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이른 시기에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방안 모색의 하나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보호요인과 지지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호요인과 지지체계에 대한 연구들에서 강조되는 부분은 모든 취약계층 청소년이 반드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니며, 공통된 빈곤의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며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보이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것이다(박현선, 1998; Fergus & Zimmerman, 2005). 이러한 지지체계와 보호요인으로 설명되는 것 중 취약계층 청소년의 방과 후 활동 기관인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와 그 서비스로 인해 형성되는 보호요인 중 자아탄력성과 교사지지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김수린, 유조안, 2014; 김지은 외, 2017).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청소년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 연계 등 아동·청소년의 건전한 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아동복지법 제52조 제11항 제8호)하는 곳으로 특히,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서 쉽게 접근하고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공계순, 서인해, 2009) 개인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부분에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박태정, 박형원, 이희연, 2010). 지역아동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는 매우 다양한데, 전반적인 권리보장, 안전한 보호, 급 간식 서비스, 학교적응력 강화와 교육서비스 지원, 심리 정서적 지지, 문화체험 활동 등을 제공한다(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8). 다수연구들은 지역아동센터에서 서비스의 괄목할 만한 성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심리 정서 서비스는 아동·청소년의 우울감과 공격성을 낮게 하고, 자아존중감 증진, 자아 탄력성 강화 등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학습 및 진로 영역의 도움으로 학교적응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임춘희, 이선형, 이경림, 2010; 이은수, 이수용, 홍세희. 2016; 황윤미, 2017; 김현숙, 서윤, 2017; 한아름, 2017). 즉,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서비스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중 학교적응에 중요한 고려 요인인 자아 탄력성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대언하고 있다. 자아 탄력성(Ego-Resilience)은 일시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다시 그 이전의 자아통제의 수준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되돌아갈 수 있는 역동적인 능력으로(Block, 1982), 개인의 내적 자원이며,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 정서, 인지 조절능력이라 설명하였다(임선희, 명재신. 2016). 자아 탄력성이 높은 청소년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자아 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에 유연하고 학교에 대한 만족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하현주 외, 2008; 박순주, 심혜원, 2012). 뿐만 아니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통해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이 증진된다는 보고도 있다(김민화, 2014; 조경애, 강경선, 2014).
또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교사지지에 대한 역할이다. 부모의 부재나 가족구조의 결핍을 최소화하고 가정의 대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할은 모든 서비스의 연결 통로로 서비스 질을 담보하는 중요 영향 요인이며(정익중, 이경림, 이정은. 2010), 학교적응을 조절하는 지지체계로 예측된다. 다수의 청소년 학교적응 연구에서 학교체계 내의 교사지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조절 역할을 하는 중요한 지지 요인으로 설명되어지고 있으나(김현주, 2010; 유봉애, 옥경희, 2013),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주된 상호작용 역할자인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할 뿐 아니라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 인식도 부족하다. 최근 배은경(2016) 또는 구혜완, 권소일, 이수진(2016)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에 대한 교사의 역할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이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으로 영향에 대한 매커니즘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혼합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자아탄력성, 지역아동센터 교사 지지로 인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 경험을 보다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혼합연구를 시행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보완 목적으로 혼합연구를 실행하여 양적 연구를 통해 각 변인들 의 통계적 규칙성과 인과관계를 밝히고, 질적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학교적응에 있어 취약계층 청소년이 스스로 느끼는 상황적 맥락과 경험, 정서적 결론을 드러내어 결국 취약계층 청소년의 지지체계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발전 방안과 이들의 학교적응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Ⅱ. 문 헌 고 찰
1.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
학교적응은 학업성취로 측정하는 인지적 측면과 학교에 대한 애착이나 참여도, 만족감 같은 비인지적 측면까지 포함된다(Birch & Ladd, 1997). 학교에 잘 적응한 이들은 학업 성취가 높고, 학교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친구, 교사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긍정적 태도를 보인다. 이는 궁극적으로 교육적 진보와 생활 적응, 전반적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후 더 나은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이은수, 이수용, 홍세희. 2016;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7).
이처럼 학령기의 청소년들에게 학교적응은 현재를 넘어 미래의 삶과 방향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학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모든 청소년에게 학교는 보다 안전하고 다양하며 차별 없는 자원의 통로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 중 특별히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 적응은 사회 내에서 민감하고 안전하게 배려되어 다각적인 기회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기존 결과에서 일관되게 보고되는 것이 빈곤가정의 취약계층 청소년일수록 전반적 수행능력이 낮고 부정적 변화양상이 보이며, 특히 중학교 시기부터 문제행동은 급격하게 증가하며 학교적응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김광혁, 최성만, 2013; 이지언, 정익중 2015). 즉, 취약계층 청소년의 개인적 문제가 아닌 이들이 선택할 수 없이 태어나면서 부터 그냥 주어진 가족구조와 환경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열악함과 구조 문제만으로도 이들이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면 이들을 위한 보호 체계는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2.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지역아동센터는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 및 청소년의 건전 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8), 1960년대부터 도시 빈민 가정의 저소득 아동을 보호하는 비 제도권의 공부방 형태로 시작하여 그 후 취약계층 아동과 청소년의 당면 문제를 개인의 국한된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사회의 문제 현상으로 받아들여 국가의 아동 청소년복지정책 일환으로 2004년에 법제화 되었다.
지역사회 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는 자신의 가정과 가장 가까운 지역사회 기관으로 가장 쉽고 근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아동 청소년의 생존권・보호권・발달권・참여권을 보장하며, 이들을 위한 아동권리교육과 보호・교육・문화・정서지원, 지역사회 및 아동 청소년의 특수성을 고려한 특성화 프로그램 등이 실시되고 있다. 세부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보호 영역은 아동 청소년을 위한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위생관리, 급식 지도, 안전교육 등이 진행되고, 교육영역은 학습(교과지도 및 숙제지도), 특기 적성(미술, 음악, 체육 등 예체능교과 지도), 인성교육, 사회성 교육, 자치회의 및 동아리 지도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화 영역은 체험과 참여 프로그램(캠프, 여행, 견학, 관람 등의 외부 활동), 정서 지원영역은 상담과 가족지원을 통한 아동 관리, 다양한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연계하여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선미정, 정원미 2018). 이렇게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이나 도움 받은 정도를 높게 평가할수록 학교적응이 증가하고, 문제해결 능력과 또래 신뢰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을 도모하는 것으로 타나났다(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7). 특별히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습지원, 상담, 친구관계 서비스는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되어졌다(이은수, 이수용, 홍세희, 2016).
3.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학교적응, 자아 탄력성과 교사지지의 관계
지역아동센터의 구체적인 사업내용은 돌봄이 필요한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 및 학교 교육을 보충하는 교육적 서비스의 제공뿐만 아니라 급식제공, 보건 지도와 같은 보호 서비스, 놀이 활동 및 문화체험과 같은 문화서비스, 아동과 가족에 대한 상담 및 지원과 같은 복지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심경순, 박영준, 2010). 지역아동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주목해 보아야 할 요인으로는 자아 탄력성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자아 탄력성(ego-resilience)은 좁게는 개인의 감정을 조절하고 상황과 환경에 대하여 인식을 변화시키는 개인의 적응적인 측면이라면, 넓게는 불확실성, 갈등, 변화와 같은 외적・내적 스트레스에 대한 융통성을 발휘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다(Block & Kremen,1996). 지역아동센터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 증진이 이루어지고(이혜진, 장석진, 2012; 김민화, 2014; 조경애, 강경선, 2014), 자아 탄력성은 학교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알려졌다(하현주 외, 2008; 곽민경, 김영민, 임영식, 2013). 더하여 정민회, 홍성원, 유서구(2016)의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 탄력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와 이용 청소년들의 협력적인 관계에서 추구되어지는 결과물로 서비스의 전달과 상호작용에 있어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 지역아동센터 교사(종사자)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소진을 중심으로 이뤄졌고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이 높을수록 이용 아동이 인식하는 서비스 성과가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정익중, 이경림, 이정은, 2010).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하자면 지역아동센터 교사(종사자)의 역할을 통해 서비스의 질이나 성과가 결정 되어 지는 주요 요인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 역할이 긍정적이거나 만족하면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강화하고, 부정적이거나 불만족하면 학교적응을 약화시킬 것으로 확장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가 직접적으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현주, 2010; 조은정 2012)와 이유신과 김한성(2014)의 연구에서 교사지지가 학교적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도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조절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상관관계에서 관계에서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은 매개의 역할을 하며,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완충하는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Ⅲ. 연구방법
1. 혼합연구
혼합연구는 실증주의와 구성주의 사이에서 한 가지 철학적 방법만을 고수하는 것 보다 두 가지 관점을 모두 포괄함으로 실용주의적이며, 실천적, 응용적 방법으로 발달하고 있는 과정이다.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동시에 고려함으로 하나의 현상에 대하여 다각 도로 탐색할 수 있고, 연구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며 다양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Tashakkori & Teddlie, 2003).
본 연구의 혼합연구 진행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대한 풍부한 탐색과 적응 방안을 다각 도로 모색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각각에서 강점으로 도출되는 결과를 결합하여 상호 보완하기 위함이며(Greene, 2007), 설계방식으로는 Creswell(2017)이 제시한 양적 연구방법 이후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는 순차 설명 계(sequential explanatory)를 활용하며 구체적 단계는 <표 1>에 제시하였다(Ivankova, Creswell & Stick, 2006).
이와 같은 혼합연구 시도를 통해 양적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과 이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영향요인들의 매개 및 조절 효과에 대한 측면을 확인할 수 있고, 질적 연구에서 취약계층 청소년 그들의 목소리로 표출하는 구체적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에 대한 맥락과 과정, 요소 등의 상세 내용을 그대로 드러낼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결국 양적 연구데이터에서 설명할 수 있는 통계적 강점과 더불어 질적 연구에서 드러낼 수 있는 내용의 구체성과 세심함 및 취약계층 청소년이 경험하는 맥락을 고려하여 이 두 가지 방법의 결합이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특히, 선미정 외(2018)에서 제언하였듯이 국내 사회복지 분야 혼합연구에서는 양적 및 질적 연구결과만을 서술하는 것에 국한된 경향이 있다. 이에 두 결과를 바탕으로 화학적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장점을 극대화하고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통찰력 있는 해석을 제시되도록 두 연구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혼합 결과를 제시함으로, 보다 혼합 연구의 강점을 발현하고자 하였다.
2. 양적연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취약 계층 아동・청소년 종단조사의 일환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 패널」을 구축하여 조사한 바 있다. 또한 2013년부터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위탁을 받아 동 패널에 대한 조사를 지속해 왔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2기 패널이 구축되었다. 즉,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은 2011년부터 조사한 1기 패널과 2014년에 새롭게 추가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중 다 패널설계(Multiple Panel Design)를 하였고, 대상자 선정은 무작위 추출을 원칙으로 층화집락표집 방식으로 지역별 비례 배분하여 표본이 할당되어 현재까지 7년간 누적된 종단 연구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기 4차년 도 자료인 2017년에 중학교로 입학한 1학년 중 지역아동센터를 1년 이상 이용한(이용 시작일 2016년 6월 이전) 청소년을 대상으로 결측 사례를 제외한 총 301명을 분석하였다.
(1) 학교적응
학교적응은 문선모(1977), 이상필(1990)의 척도를 참고하여 민병수(1991)가 제작한 학교생활 적응 척도를 활용하였고, ‘학교 수업시간이 재미있다’, ‘학교 숙제를 빠트리지 않고 한다’, ‘반에서 맡은 일들을 열심히 한다’ 등의 총 8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의 4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있으며 역 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의 학교적응 신뢰도(Cronbach's α)는 .852이다.
(2)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청소년 정책연구원, 보건복지부 및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이 개발한 척도로‘국·영·수·과학 등 주요 과목을 배우는 것’, ‘놀이나 문화, 취미활동을 하는 것’, ‘센터 선생님과 일상적인 상담이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 등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도움 정도를 측정한 것으로 총 9문항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있고 역 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의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 신뢰도(Cronbach's α)는 .902이다.
(3) 자아탄력성
자아 탄력성은 Block과 Kreman(1996)의 자아 탄력성 척도를 수정·보완한 유성경, 심혜원(2002)의 척도를 활용하였고 ‘갑자기 놀라는 일을 당해도 금방 괜찮아지고 그것을 잘 이겨 낸다’, ‘다른 사람들보다 호기심이 많다’, ‘내 생활은 매일 흥미로운 일들로 가득하다’등의 10문항으로‘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의 4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있으며, 역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의 자아 탄력성 신뢰도(Cronbach's α)는 .872이다.
(4)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
센터교사 지지는 청소년 정책연구원, 보건복지부 및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이 개발한 척도로 ‘선생님들은 고민이 있을 때 잘 들어 주신다’,‘선생님들을 우리 집 사정을 잘 알고 계신다’등의 센터교사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만족을 측정한 총 5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역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센터교사지지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의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 신뢰도(Cronbach's α)는 .896이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지역아동센터서비스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조절로 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및 Aiken, West와 Reno(1991)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한 상호작용항의 유의성을 살펴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3. 질적연구
본 연구의 참여자는 ① 2018년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② 센터 지속 이용 경험이 최소 3년 이상 ③ 중학교 1학년 대상으로 모집되었다. N시의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회의에서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각 기관 시설장으로부터 추천 받았다. 이후 해당 청소년에게 설명하고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5명을 의도적 표집 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기초 사항은 아래 <표 2>와 같다.
연구자와 참여자 간에 연구의 목적 및 과정을 공유하면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학교적응에 대하여 반구조화 형식의 개방 질문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강화 부분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인터뷰 과정에서 참여자와 의사소통의 흐름에 따라 내용의 확장이나 구체화 내용에 따라 상세 질문을 추가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는 특정 현상에 대한 공통적 주제 의미를 밝히고자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을 활용한다. 이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과정 속에서 자료 내의 패턴화 된 반응이나 의미수준을 기술할 수 있으며 주어진 자료를 반영하는 제한된 수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전반적인 과정은 전체적 그림을 얻기 위해 전체 자료를 반복하여 읽고, 초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주요관심 현상의 의미를 찾아 유의미한 진술을 추출해 코드화한 후, 주제와 하위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주제가 코드화된 자료와 전체적으로 부합 하는지 파악하고 주제를 명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앞서 연구 참여자의 자발적 참여, 비밀보장, 녹음과 축어록 사용, 중도 참여 철회가 가능하고 참여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이익과 불이익, 자료보관 등에 대하여 사전 설명하였다.
개별 심층 인터뷰는 사회복지사 1급, 아동복지 경력 10년 이상, 개별 상담에 대한 교육을 받은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고, 공동 연구자와 함께 녹취내용을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자간 지속적인 토의와 합의의 과정을 거쳐 코딩과 검토의 시간을 가졌고, 이를 통해 내용의 적절성 및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수차례 교차 확인 하여 최대한 정교한 분석 절차를 갖고자 노력했다.
Ⅳ. 연구결과
1. 양적 연구
지역아동센터 2기 4차년도 아동패널 중 중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청소년 중 최소 지역아동센터를 1년 이상 이용하였고, 결측치가 없는 총 3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 응답자 중 남학생이 142명(47.2%), 여학생 159명(52.8%)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연령은 14세가 292명 97%를 차지하였고, 중학교 1학년임에도 유급이나 월반으로 인한 15세 7명, 13세 2명으로 총 9명의 연령 분포가 확인되었다. 성적 만족을 분석한 결과 ‘매우만족 하지 않는다’가 41명(13.6%), ‘만족하지 않는 편이다’가 176명(58.5%), ‘만족하는 편이다’가 81명(26.9%), 매우 만족 한다’가 3명(1.0%)이며 평균은 2.85(SD=.65)로 나타났다. 가정경제수준은 ‘기초생활 수급자’가 44명(14.6%), ‘차상위 계층’이 57명(18.9%), ‘사각지대’가 58명(19.3%), ‘보통 수준’이 119명(39.5%), ‘보통 이상’이 18명(6.0%), ‘잘산다’가 3명(1.0%), ‘매우 잘산다’가 2명(0.7%)으로 나타났다.
(1) 기술통계
본 연구의 주요변수 간 기술통계량 결과는 <표 4>와 같다. 학교적응력 평균은 26.65(SD=3.79)에 있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평균은 37.31(SD=5.50), 자아탄력성 평균은 29.90(SD=4.85),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 평균은 21.21(SD=3.24)로 나타났고, 각 변수의 왜도, 첨도는 절대값이 2이하로 정규분포 가정에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2) 상관관계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인 종속변수의 학교적응과 독립변수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 간의(r=.374, p<. 01), 매개변수 자아 탄력성(r=.559, p<. 01), 조절변수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r=.360, p<. 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과 자아 탄력성(r=.301, p<. 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r=.501, p<. 01), 자아 탄력성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 (r=.355, p<. 01)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든 변수 간의 상관계수 값이 .301 ~ .559 사이의 상관 값이 확인되었고 이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제시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 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매개 효과 검증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와 매개변수에 각각 유의미하여야 하며, 그 후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매개 효과의 유의성과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의 수준은 Sobel-Test로 확인하게 된다. 본 연구도 상기 절차에 따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R²= .140, B = .258(β=.374), SE=.037, p<.001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더하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R²= .091, B = .266(β=.301), SE=.049, p<.001로 유의하였다. 이에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자아 탄력성을 동시에 투입하여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R²= .359이며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학교적응에 B = .156(β=.226), SE=.034, p<.001로 유의하였고, 자아 탄력성은 B = .384(β=.491), SE=.038, p<.001로 유의미한 값을 가졌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고, 동시에 매개변수인 자아 탄력성도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자아 탄력성을 투입하였을 때 감소(β=.374, p<.001 → β=.226, p<.001)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 탄력성의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자아 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 효과 경로는 <그림 1>과 같다.
Sobel-Test의 z 절대값이 ︱z > ±1.96︱을 만족하는 경우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효과분해에 대한 경로계수 및 유의성은 다음 <표 6>과 같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자아 탄력성을 매개한 경로는 Z = 5.547, p< .001 수준에서 유의미하여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학교적응에 직접 효과가 .226, 자아 탄력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는 . 147로 총 효과 .373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학교적응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iken, West와 Reno(1991)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1단계에 독립변인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를 투입하고, 2단계에 조절 변인인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를 투입하고, 3단계에 독립변인과 조절 변인의 상호작용 항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를 투입한다. 상호작용 항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중공선성 문제를 고려하여 평균 중심화(mean centering)처치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표 7>에 제시하였다.
1단계의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학교적응에 14%(F=48.695, p<.001)의 설명력을 갖고, β=.374, p<.00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지닌다. 2단계의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를 투입한 결과 R2변화량은 .040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18%(F=32.622, p<.001)의 설명력을 갖고 지역아동센터 서비스(β=.179)와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β=.269)는 p<.001수준에서 통계적 유의하였다. 3단계에 투입한 상호작용 항은 β=.031, p=.571로 유의하지 않아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질적 연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학교적응 관계에 대한 취약계층 청소년의 경험에 대한 주제는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다양한 능력 증진 기회, 어울림의 기회, 안전감의 초석, 지지의 경험’ 총 3가지 주제와 6가지 하위주제로 분석되었고 아래 <표 8>과 같다.
참여자들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중 가장 빈번히 언급한 내용은 다양한 교육의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곳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에 대하여 3가지의 하위주제 ‘주요 과목의 학습능력 증진 기회, 예체능 및 기타 체험 능력 증진 기회, 정서함양 및 자아 능력 증진 기회’로 제시하였고, 이는 결국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취약계층 청소년 능력을 확장하고 배양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1) 주요 과목의 학습능력 증진 기회
참여자들이 가장 빈번하고 자주 언급한 단어가 ‘학습’ 혹은 ‘공부’였고, 주로 주요교과목인 영어나 수학, 과학 등을 배워 학교 성적에 도움을 받았고 학교적응의 긍정 요인으로 꼽았다.
“센터에서 영어 선생님이랑 수학 선생님이 계시거든요. 영어랑 수학을 배우면서 부족한 점을 채우니까 좀 더 학교 수업을 들을 때 집중할 수 있고 모르는 부분을 채워서 이해할 수 있어요. 또 그 토요수업 때마다 한 과학발명 프로그램이 있는데 거기서 배운 것들이 중학교 수업에 더 깊이 있게 연결되고 어느 정도 배경지식이 되어서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참여자 1)
“공부는 원래 힘들다고 생각했는데 센터에서 하는 공부는 학교랑 연관이 되어서 재미있게 하는 편 이예요.”(참여자 3)
“더 좋아진 거는 공부 실력이 늘어 난 게 제일 좋았어요. (제가 실력이 좋아지니) 공부 잘하는 애들이 저한테 와서 먼저 친해지고 같이 공부하고 그러니까 좋아요.”(참여자 5)
(2) 예체능 및 기타 체험 능력 증진 기회
학습에만 제한된 것이 아닌 예체능 중 음악이나 미술, 무용 등을 배워 발표함으로 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다양한 체험 등을 통해 자신의 교육적 재능을 향상 시켜 자연스럽게 학교적응에 도움이 되는 요인임을 설명하였다.
“센터에서 저는 나의 하루도 쓰고, 감사일기도 쓰고, 놀러가기도 하고 다양하게 할 수 있어서 그게 학교에서도 (저절로 영향을 미쳐) 좋았다.” (참여자 2)
“퍼포먼스 미술이요. 이것을 통해 친구들과 같이 활동해서 애들이 이걸 특이하게 생각해요(학교에서 잘한다고 추천을 해줘요).” (참여자 4)
“여러 군데 발표를 하면서 자신감이 늘어나고, 무대 앞에 서니까. 센터에서 배운 오카리나로 다른 사람 앞에 발표하니 학교에서도 (앞에 나가 발표가) 쉬워요.” (참여자 5)
(3) 정서함양과 자아 능력 증진 기회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기능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정서함양과 자아 인식, 자아 탄력성이 증진된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었고, 참여자들은 오랜 시간 센터에서 활동하면서 스스로 자신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싶은지 도전하고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격도 긍정적으로 바뀌게 된 거 같고, 좀 더 밝아진 것 같아요. 자신감도 많이 생기고..”.(참여자 1)
“힘들어도 (다시) 긍정적으로 생각하라고 하는 게 도움이 되어서 그렇게....(노력해요).”(참여자3)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나를) 바꾸도록 (노력)해요.”(참여자4)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중 학교적응에 도움이 되는 긍정 요인 중 하나는 다양한 대상과의 관계 맺음을 먼저 배워 선후배 관계나 친구와 관계 형성기술을 쉽게 증진하여 관계와 어울림의 확장이 된 것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1가지의 하위주제 ‘다양한 대상과 어울림을 통한 단체 생활의 선행 기회’로 나타내었다. 지역아동센터에서의 활동 경험은 한 학년이나 제한된 연령 에 국한되지 않고,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다양한 연령 과 성별, 대상자별 특성인 다문화, 장애 혹은 특수 가족 구조나 형태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인 활동을 지향한다. 이렇게 함께 어울려 단체 활동을 함으로 단체 활동에서 배워야 하는 상호 간 태도와 규칙 등을 경험적으로 선행하게 되고 이는 보다 학교생활 에서 다양한 대상들과 어울림에 있어 자신감을 가지거나 높은 사회성을 미리 획득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1) 다양한 대상과 어울림이 통한 단체 생활의 선행 기회
지역아동센터 특성상 다양한 대상이 함께 어울려 기본적인 활동과 기초적인 생활을 공동체 속에서 함께 실천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만나게 되는 새로운 사람들과 단체 활동에서 지켜야 하는 태도와 규칙을 미리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 특정 연령, 성별, 혹은 다문화, 장애와 같은 특별 대상과 일상에서 함께 놀고 생활함이 외부적응에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었다. 즉 청소년들에게 자연스러운 단체 활동의 태도와 자세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와 같은 단체 생활을 시도할 때 자신감을 가지거나 관계형성에 대한 긍정적 기능을 돕고 있었다.
“지금 제가 00중 다니는데 새로 생긴 학교이기도 한데.. □□초랑 △△초 애들이 여기 오는데 저는 (센터 때문에) 대부분 친구들을 미리 알아서 다 친해서 스스럼없이 지내고 있어요.”(참여자 1)
“(학교에서도) 센터에서 만난 같은 나이 친구는 없지만, 동생이랑 언니들이 있어 잘 지낼 수 있어요.”(참여자 3)
“옛날에 (센터에) 혼자 왔는데 여기 와서 단체생활을 배우면서 중학교에 가니 ◇◇친구들과(다문화 친구) 더 잘 지내고 (피하지 않고, 눈치 보지 않고, 잘 지내는데) 자신감이 생겨요.”(참여자 5)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호 핵심적인 소통을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담당하고 있다. 참여자와 지역아동센터 교사 관계가 지지적 이고 옹호적이며 자율적일수록 심리적 보호와 안전감을 갖고 이는 학교 적응에도 중요한 안전망이 되고 있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공간 역시 편안함과 더불어 외부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완충하는 것으로 이야기 되었다. 이에 대한 하위주제를‘부족했던 공감과 경청, 지지’, ‘공간이 주는 안정감’ 2가지로 제시하였다.
(1) 부족했던 공감과 경청, 지지
지역아동센터 교사는 가족의 부재와 결핍과 같은 가족 구조상의 문제에서 대리 적 역할로 기능하곤 한다. 특별히 취약계층 청소년을 초등학교 시절부터 중학교 시절까지 돌보며 오랜 기간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 형성을 이루어왔고, 부모나 지지체계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부족하지만 유일한 공감과 경청의 대상자가 되어 개인의 비밀을 이야기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 기회를 제공하고 결국 학교에서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집에서 못하는 이야기를)여기서 몰래 비밀도 이야기 하고 고민도 털어놓고..”(참여자 1)
“오랫동안 다녀서 서로 알고..(선생님이)엄마 보다 더 경청해주고 공감해줘요.”(참여자 2)
“고민도 이야기 하고...도움도 되고.... 비밀도....잘 지켜지고...적극적으로...일단..믿으니까..(안심되서) 그게 (학교에서도) 도움이 되요”(참여자 4)
(2) 공간이 주는 안정감
지역아동센터는 소규모기관으로 집과 같은 공간을 연출하며, 편하게 쉬고 밥과 간식을 먹거나 TV도 보면서 스트레스를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는 공간이 주는 특별한 안정감이 외부에서 오는 자극을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기능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결국 지역아동센터 내에 작동하는 구조, 시스템 등이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긍정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저런걸 선택해서 하니깐... 자율적으로, 여기 와서 쉬면서 (외부에서 받는) 스트레스 없애고... 그래서 좋죠(참여자 2)
“센터는 놀이터 같아요. 또...집 같아요.”(참여자 3)
“센터 와서 밥도 먹고, 간식도 먹고, (다른 곳에서는) 눈치 보는데, 눈치 안보고 더 달라고 하고..먹는거요.”.(참여자 4)
3. 양적 및 질적 연구의 혼합 결과
본 연구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보호 체계인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와 이들의 학교적응 관계 에 대하여 혼합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직접 효과 와 자아 탄력성의 매개 효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고, 질적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학교적응에 대한 취약계층 청소년 그들의 경험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혼합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양적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가 나타났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서비스의 구체적인 도움 내용이 드러났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취약계층 청소년에게는 학습과 공부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을 뿐 아니라 예체능 과목 신장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교적응과 학업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어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장민회, 홍성원, 유서구(2016)의 연구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또한, 질적 연구에서도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정서함양과 자아 탄력성을 증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취약계층 청소년이 학교적응 하는 데 있어 정서적 함양과 자아 능력 증진에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반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점은 다음의 몇 가지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양적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는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질적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경청과 공감, 지지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감의 초석이 되어 학교생활에 든든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약계층 청소년들은 부득이하게 부모의 부재나 결손으로 인한 기본적 지지체계가 결여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응하는 대리 적 기능을 오랜 기간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질적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의 보고처럼 은밀한 자신의 개인적인 비밀을 이야기하고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성인 대상을 지역아동센터 교사로 꼽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기능과 역할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되는 서비스 이용 도움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폭넓은 적응과 순기능의 대부분은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예견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상반된 결과는 기존 학교적응 연구에서 학교 교사지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조은정(2012) 및 김유신과 김한성(2014)의 연구결과와도 상반된다. 상기 연구들은 보통 학교라는 배경을 주체로 학교 교사의 역할만을 고려하여 탐색 되었지만 교사지지에 대한 기능의 중요성이 강조된 만큼 취약계층 청소년의 주요 활동 공간인 지역아동센터 배경의 지역아동센터 교사에 대한 기능과 역할이 보다 비중 있게 탐색 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 연구결과에서만 나타난 부분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도움은 비단 프로그램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지역아동센터 내의 구조, 공간, 시스템적 특성이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양한 특성을 가진 아동, 청소년들이 제한되지 않고 어울려 관계함으로 청소년들에게 공동체와 단체생활에 대한 자세와 태도, 규칙들을 선행할 수 있는 긍정 경험으로 보다 학교 활동에서 다양한 대상들과 적응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Ⅴ. 결론 및 함의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혼합연구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상호보완을 목적으로 순차 설명 설계(sequential explanatory) 절차에 따라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혼합연구방법에서 양적 연구는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면 질적 연구를 통해 취약계층 청소년이 경험하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들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형태와 현상으로 관여하고 있는지 내용적 맥락을 풍부하게 반영할 수 있었고, 각각 연구를 바탕으로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드러내어 보다 혼합연구가 추구하는 연구의 통합적 결과를 제시하려고 노력 하였다.
양적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아동패널」 2기 4차년도(2017년) 중학교 1학년 중 지역아동센터를 1년 이상 이용(이용시작일 2016년 6월 이전) 경험이 있는 사례 총 301명을 대상으로 SPSS를 활용하여 매개 및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224 p<.01), 자아 탄력성을 매개한 간접효과(.217 p<.01)도 유의미하여 선행연구들(정민회, 홍성원, 유서구, 2016;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7; 이은수, 이수용, 홍세희, 2017)과 맥을 같이 한다. 질적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3년 이상 지속 이용하고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는 ‘다양한 능력 증진 기회, 어울림의 기회, 안정감의 초석, 지지의 경험’ 총 3가지 주제와 6가지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혼합연구의 결과,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보호, 교육, 문화, 심리정서 프로그램은 개별 혹은 복합적으로 통합되어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이고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었다. 보건복지부(2018)에서 발간한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 안내에서 제시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영역 각각이 실제적으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증명한다. 이는 양적 연구의 통계적 유의미함과 더불어 질적 연구에서 드러난 결과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 내의 학습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학업과 공부 능력을 증진하고, 문화 및 기타 체험 활동은 예체능과 외부 활동 능력을 신장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호 와 심리 정서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서함양과 자아 능력, 자아 탄력성, 정서적 안정에 기여 한다고 볼 수 있다. 비단 한 가지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한 가지 능력이나 기능을 증진한다고 예단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고 그 안에 발생하는 복합적인 반응들이 역동적으로 혼합되어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보다 취약 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다양화와 구체화, 서비스 질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별히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자아 탄력성이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자아 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지금껏 실시된 우수프로그램들을 체계화하고 매뉴얼 하여 보급하고, 다각도로 이루어진 현장의 노력과 실천들이 문서화 되어 연구물도 누적되어 향후 증거기반 실천이 확대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내용 전달의 가교 주체인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할은 질적 연구결과 나타난 중요한 기능과 역할에도 불구하고 양적 연구결과는 이를 지지하지 못하였다. 이는 양적 연구 대상자는 지역아동센터를 1년 이상 이용한 청소년을 중심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아동센터의 열악함 때문에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이 경험하는 소진, 이직, 센터 종사 연수를 충분히 고려되지 못한 점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와 이용 아동과의 관계 형성 기간과 깊이 등이 고려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양적 연구결과가 갖는 의미는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질적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생까지 적어도 3년 이상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였고 지역아동센터 교사와 오랜 기간 상호작용함으로 그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할과 기능과 중요성에 대한 부분이 취약계층 청소년의 보호와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심도 있게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하게 된다. 더불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역할에 따라 이용자들의 서비스 성과가 달라진다는 선행연구(정익중, 이경림, 이정은, 2010) 결과를 비추어 볼 때도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는 통계적 유의성을 넘어 실증적 유의성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 측정 도구가 지역아동센터 교사 역할과 활동에 대한 만족을 평가하는 것에 그쳐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를 충분히 해석하기에 역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척도 타당도에 한계를 고려하여 향후 연구들은 보다 심도 있는 접근이 요청된다. 더하여, 질적 연구에서만 드러난 지역아동센터의 구조, 특성, 시스템의 기능들도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는 학교적응에 대한 중요 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기획된 프로그램이나 대상에 대한 관심을 넘어 다양한 지역아동센터 공간과 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무엇보다도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질적 강화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증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질을 담보하기 위하여 누군가가 제공하거나 기획된 어떠한 서비스로 국한되는 것이 아닌 청소년 스스로 기획하고 주도하는 프로그램과 실천이 확대되고, 모든 과정에서 협력적 주인의식을 통해 서비스의 확장과 개선을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운영위원에 청소년 대표가 참여하며 자치 회의와 기능을 증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현재 지역아동센터 이용규정에 있어 연령 과 소득 제한으로 낙인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어 이용자 스스로에게 선택권과 보편성이 침해되는 경향이 있어 지침 변경도 제고되어야 한다. 청소년이 하교 후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방과 후 시간은 늦은 오후에서 저녁시간일 가능성이 높아 지역아동센터 야간 운영에 적절한 시간과 인력확보도 요청된다. 선미정과 정원미(2018) 연구에서 문제 제기가 되었듯, 현재 2~3명의 법정 종사자와 매년 교체되는 시간제 아동복지교사, 후원 사업으로 연계된 야간교사들로는 서비스의 연속성과 전문성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해 일회성, 보조적 인력지원이 아닌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인력 재배치와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복지사의 동일 업무와 역할을 이행하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종사자)에게도 동일임금과 보수 등 처우에 관한 개선을 통해 사회복지사간 형평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더불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질을 고려하기 위해 각 지역적 특성이나 대상자의 특성이 고려된 특성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특성화 지역아동센터 설립도 시도해 볼 필요성이 제고된다. 이로 인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및 구성, 인력, 시스템 등의 강화는 결국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 패널을 활용한 양적 데이터와 이용 당사자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통합하는 혼합연구의 시도함으로 보다 연구목적 달성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기에 향후 후속 연구들은 이를 보완하여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먼저 패널 데이터 활용 변수가 본 연구의 개념을 충분히 담은 타당성이 확보된 척도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역아동센터 교사 지지 척도 혹은 방과 후 종사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척도 개발이 요청되며 지역아동센터 관련 연구에 있어 다양한 틀과 구조, 특성,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질적 연구 대상자의 의도적 표집과 심층 인터뷰를 포화상태까지 충분히 고려하여 연구 되어져야 한다. 취약계층 청소년마다 취약 상황과 어려움 고민에 차이가 있고, 각자가 경험하는 학교적응에 내용은 다를 수 있어 이들의 심도 있는 연구도 요청된다. 이에 향후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장점들을 살려 복합적인 메커니즘과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길 기대한다.
References
- 공계순, 서인해 (2009).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155-178.
- 곽민경, 서보준 (2011).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21(1), 75-112.
- 구혜완, 권소일, 이수진 (2016).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빈곤아동 개입 경험에 대한 연구 -엄마의 마음과 촉진자의 마음 사이의 외줄타기. 한국가족복지학, 21(2), 251-276
- 김광혁, 최성만 (2013). 빈곤, 비빈곤 아동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논총, 28(2), 145-161.
- 김민화 (2014). 숲 체험 활동이 소외계층 아동의 정서, 생활만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연구. 아동학회지, 35(4), 223-247.
- 김서현, 구혜완, 백수정, 정익중 (2015). 빈곤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1, 225-251.
-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7).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만족이 학습습관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37, 119-146
- 김수린, 유조안 (2014). 빈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 궤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9, 153-175.
- 김영민, 임영식 (2013).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 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2), 343-366.
- 김지은, 정혜린, 박혜준, 이순형 (2017).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8(5), 19-32.
- 김현숙, 서윤 (2017).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한부모와 양부모 자녀의 다집단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9(4), 1-24.
- 김현주 (2010). 사회적 지지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빈곤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12), 211-233.
- 노혁 (2009). 빈곤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청소년복지정책의 방향. 미래청소년학회지, 6(3), 23-43.
-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순주, 심혜원 (2012).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이 빈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2), 113-135.
- 박태정, 박형원, 이희연 (2010). 지역아동센터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한국아동복지학, 33, 75-109.
- 박현선 (1998). 빈곤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연성 (Resilience) 발달메커니즘. 청소년학연구, 5(3), 147-165.
- 배은경 (2016).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청소년정신건강 문제 대처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56, 33-68.
- 선미정, 전종설 (2018). 생태체계 요인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가구소득수준별 집단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1, 175-194.
- 선미정, 정원미 (2018). 지역아동센터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3(2), 263-282.
- 선미정, 정원미, 장정은, 전종설 (2018).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 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0(2), 275-298.
- 심경순, 박영준 (2010).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및 문제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3, 165-191.
- 오승환 (2007).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 23(1), 73-91.
- 유봉애, 옥경희 (2013).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4), 511-538.
-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 이경혜 (2014). 청소년의 빈곤지각에 따른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자기인식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와 아버지의 의사소통에 따른 비교분석. 아동교육, 23(4), 63-78.
- 이유신, 김한성 (2014). 중도입국 아동·청소년의 차별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263-282
- 이은수, 이수용, 홍세희 (2016).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만족도가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59-85.
- 이지언, 정익중 (2016).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 발달궤적의 예측요인. 한국아동복지학, 54, 173-197.
- 이혜진, 장석진 (201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 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미술치료연구, 19, 837-858.
- 임선희, 명재신 (2016).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 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2), 327-347.
- 임춘희, 이선형, 이경림 (2010). 아동이 지각하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고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71-98.
- 정민회, 홍성원, 유서구 (2016).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모형.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9, 99-127.
- 정익중, 이경림, 이정은 (2010).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소진이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1, 205-234.
- 정익중, 이경림, 이정은 (2010). 종사자 소진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3, 23-46.
- 조경애, 강경선 (2014). 집단음악심리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교육연구, 12(1), 85-103.
- 조은정 (2012).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청소년문화포럼, 29(1), 138-164.
-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8). 지역아동센터 운영매뉴얼. 보건복지부.
- 하현주, 박원모, 박명숙, 천성문 (2008).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 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실천연구, 7(1), 1-19.
- 한아름 (2017). 부모의 방임과 학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저소득 가정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7), 29-54.
- 황윤미 (2017). 아동의 우울이 공격성과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의 조절 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14(1), 51-70.
-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29-5]
-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 Brooks-Gunn, J., & Duncan, G. J. 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The Future of Children. 7(2), 55-71. [https://doi.org/10.2307/1602387]
- Fergus, S., & Zimmerman, M. A. (2005). Adolescent resilien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ealthy development in the face of risk. Annu. Rev. Public Health, 26, 399-419. [https://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6.021304.144357]
- Ivankova, N. V., Creswell, J. W., & Stick, S. L. (2006). Using mixed-methods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From theory to practice. Field methods, 18(1), 3-20. [https://doi.org/10.1177/1525822X05282260]
- McLoyd, V. C., (1998).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child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53(2), 185-204. [https://doi.org/10.1037/0003-066X.53.2.185]
- Tashakkori, A., & Teddlie, C., (2003). Issues and dilemmas in teaching research methods course in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U.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6(1), 61-77. [https://doi.org/10.1080/13645570305055]
- Wilkins, A. J., O'Callaghan, M. J., Najman, J. M., Bor, W., Williams, G. M., & Shuttlewood, G. (2004). Early childhood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at 13 years.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0(3), 102-109. [https://doi.org/10.1111/j.1440-1754.2004.0030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