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Center for Korean Youth Culture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51, pp.147-173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8
Received 01 Dec 2017 Revised 17 Dec 2017 Accepted 26 Dec 2017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8.01.53.147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와 프로그램 내용요인, 프로그램 진행방법요인이 활동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칠화2) ; 김진호3)
2)경기대학교 대학원 청소년학과 박사과정
3)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The Effects of Parent Support, Program Contents,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of Youth worker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Youth in Korea Achievement Awar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Jung, Chilhwa2) ; Kim, Jinho3)
2)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Youth Studies
3)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

Correspondence to: 3)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

초록

이 논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가정하고,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이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와 활동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97매의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 3매를 제외한 194매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프로그램내용요인과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반면, 부모지지요인은 직접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과 프로그램내용요인은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반면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활동참여도에 직접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부모지지, 프로그램내용, 프로그램진행방법이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내용요인과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는 반면, 부모지지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parent support, program contents,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of youth worker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youth in Korea Achievement Awar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resented to describe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the model,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in Korea Achievement Award program was assumed as a mediate variable. 220 youth participating in Korea Achievement Award program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ceived to obtain the measured of five latent variables(parent support, program contents, instructional techniques,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degree of participation). After screening the data, 194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AMO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youth in Korea Achievement Award. Second, program contents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of youth worker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Third, parent support and program contents had the direct effe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youth in Korea Achievement Award. Fourth, program contents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of youth workers had th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by mediating the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Lastly, all this findings were discussed for youth workers and research.

Keywords:

degree of participation, parent support, program contents, instructional techniques of youth workers, attachment with youth workers, Korea Achievement Award

키워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참여도,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

I. 서 론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한국사회에서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청소년활동 정책 중 하나로써,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를 근간으로 하여 새롭게 개발된 한국형 청소년성취포상제 프로그램이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청소년활동 정책 중 하나로써, 만 9세~13세의 청소년이 자기개발·신체단련·봉사·탐험활동의 4가지 활동영역에 일정기간동안 참여하여 자기 스스로 세운 목표를 성취해 나가는 자기성장형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4).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2010년에 연구개발이 시작된 이후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청소년현장에서 단계별 시범운영을 통해 운영모형이 체계화되었으며, 2014년부터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청소년교육현장에서 운영되어 오면서 청소년과 보호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영기 외, 2012, 2013; 경상북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2013;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1, 2014).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청소년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김진호, 2008; 진은설, 2012).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단순한 만족도 조사에 집중되어 있으며,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파악하거나 분석하려는 연구들은 거의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활동참여는 자연발생적으로 발현되지 않으며,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김진호, 2008; 한국청소년개발원편, 2004, 200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편, 2007).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활동참여도는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내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진호, 2008). 즉, 프로그램의 내용이 청소년들에게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을수록, 그리고 개인적 흥미에 부합될수록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진행방법도 청소년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2007). 따라서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들을 지도할 때 청소년들의 특성과 활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지도방법과 기법을 활용하여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은 저연령대 청소년이기 때문에 부모의 적극적인 지지가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세비와 문성호(2012)는 부모의 적극적인 지지가 청소년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중도포기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의 장면에서 애착관계 형성은 교육에 대한 참여도와 교육의 효과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로 언급되고 있다(문은식, 2002; 박은민, 2010; 조은영, 2008; 최지은·신용주, 2003).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도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는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는 진공상태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박성희, 2005; 임윤택, 2004; 황윤미, 2010; Wlodkowski, 1999). 즉 애착관계는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진행된 다양한 상호작용과 이를 통한 신뢰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소년과 지도자와의 관계는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이와 동시에 프로그램의 내용요인이나 프로그램 진행방법 요인 등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부모지지와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이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과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지지요인과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이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가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할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목적을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청소년의 활동 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가?

둘째, 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가?

셋째, 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가?

넷째, 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 프로그램내용,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들이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경우,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매개변인으로서 그 효과를 유의하게 매개하는가?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와 활동참여도

우리나라에서 청소년활동의 본래 취지를 살리고, 청소년활동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2008년부터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장근영 외, 2011). 하지만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는 만 14세에서 25세 사이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만 14세 미만의 청소년들은 참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14세 미만 청소년들의 포상제 활동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이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저연령 청소년들을 타겟으로 하는 한국형 청소년포상제활동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만 9세-13세의 청소년이 자기개발·신체단련·봉사·탐험활동의 4가지 활동영역에서 일정 기간 동안 참여하여 자기 스스로 세운 목표를 성취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성장시키고 꿈을 찾도록 하는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4).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와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는 영역별 활동방법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연계성을 가지고 순차적·지속적으로 포상활동이 전개해 나가도록 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2011년에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2017년 7월 기준으로 현재까지 총 9,849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하여 4,172명의 청소년들이 포상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마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도 포기하는 청소년의 숫자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7).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포상담당관(지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포상담당관의 필수 조건으로 포상담당관이 되기 위해서는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주관하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직무연수를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포상담당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포상제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포상활동을 통해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찾아보고 활동을 끝까지 완수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을 격려하고 관리하는 일을 한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1). 또한, 모든 포상활동이 끝난 청소년들에게는 다음 단계의 포상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청소년이 건전하고 의미 있는 활동을 하도록 유도할 줄 아는 교육자로서의 역할까지 담당하게 된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1). 즉 포상담당관의 역할은 청소년들이 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통해 꿈을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 뿐만 아니라 안내자로서 역할을 포괄함으로써 청소년들이 활동을 포기 하지 않고 끝까지 완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있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청소년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교육적 활동으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활동을 통해 경험성장이라는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스스로가 참여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청소년활동과 관계하고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즉, 자신의 활동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발적으로 활동을 선택하여 결정하며, 나아가 자신이 선택한 활동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뿐만 아니라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촉진하는 것은 청소년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 청소년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를 유발하는 동인(motive)이 되기 때문에 청소년활동을 전개해 나갈 때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Hidi, 2000).

특히 청소년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창출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강조되고 있다.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학습상황과 발달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을 때 나타나기 때문이다(주계순, 김진호, 2013). 이러한 맥락에서 보았을 때 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들이 책임감을 갖고 자신의 활동을 스스로 선택하고 계획하여 주도해 나가는 성취경험을 갖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청소년의 적극적인 활동참여를 유도하는 것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2.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과 활동참여도의 관계

청소년활동프로그램 참여자의 교육적 경험은 청소년과 지도자, 그리고 청소년지도자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프로그램진행방법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김진호, 2008). 따라서 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의 활동 참여도는 이러한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따르면 저연령대 청소년들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참여도는 부모의 적극적인 지지와 관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권순미, 2000; 진은설·임영식,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변수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 등 세 가지를 가정하였다.

1) 부모지지 요인과 활동참여도의 관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는 저연령대 청소년들의 활동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부모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1). 그리고 부모의 지지와 활동에 대한 권유는 청소년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진은설·임영식, 2008). 또한 포상제 활동에서 지도자, 학교교사, 부모가 유기적으로 활동을 지원했을 때 청소년이 포상제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다고 보고되고 있다(오세비·문성호, 2012). 즉, 포상제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중도포기의 문제 상황에 봉착했을 때, 부모와 지도자가 지지해주고 함께해줄수록 더 힘을 얻고 끝까지 완수하는 경향이 있으며, 더 많은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여러 선행연구들(권순미, 2000; 이명순, 2006; Oh 2005; Park, 2009)은 지도자와 부모가 유기적으로 지지체계를 구성하여 활동을 지원할 때 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권순미(2000)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애정 어린 관심과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봉사활동의 참여 지속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Oh(2005)의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봉사활동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지지는 활동의 지속적인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2009)는 청소년의 봉사활동에 대한 부모의 지지와 관심이 높을수록 봉사활동에 대한 청소년의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지지는 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삶의 질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이명순, 2006).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에서 부모의 지지는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2) 프로그램내용 요인과 활동참여도

청소년활동에서 프로그램내용과 관련하여 도전과제의 수준을 청소년의 능력수준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은 청소년들의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김진호, 2008). 프로그램의 난이도가 너무 쉽거나, 과거에 수차례 경험한 내용이라면 청소년들은 지루함을 느끼고, 흥미를 잃기 쉬우므로 적절한 난이도의 도전과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개인적인 능력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권일남 외, 2008). Csikszentmihalyi(1990)에 따르면 과제의 난이도가 자신의 능력에 비해 약간 어렵지만, 너무 어렵지 않은 수준으로 학습과제를 제시했을 때 가장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내용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학습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stimulating)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학습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Wlodkowski, 1998).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청소년들의 흥미나 가치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김진호, 2008; 신명희, 2002; 신현아, 2010). 그리고 청소년 활동프로그램이 다양하고 재미있게 유익한 내용으로 구성될수록 참여도뿐만 아니라 활동만족도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김윤현, 2010).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내용에서 개인적 가치와 흥미는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진호, 2008; 전국재, 1996). 그렇기 때문에 과제를 흥미롭게 제시하고, 학습자의 능력에 적합한 난이도로 진행하여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조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김진호, 2008; 신명희, 2002; 신현아, 2010; Stipek, 1993; Astroth, Garza, & Taylor, 2004). 이에 프로그램내용의 난이도가 적절한 상황에서 성공 경험을 하게 되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활동내용이 참여하는 청소년에게 흥미로운 내용 일수록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박정배, 2010). 또한 프로그램내용이 지도자나 시설 등의 다른 요인에 비해 활동참여도에 높은 상관을 보였다(윤은종, 2002).

이상의 논의에 기초해 보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개인적 흥미와 개인적 가치, 그리고 난이도 수준의 적절성은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3) 프로그램진행방법 요인과 활동참여도

프로그램진행방법은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청소년프로그램의 내용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활동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키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김진호, 2008). 청소년지도자들이 다양한 동기유발 전략과 기법을 활용한다면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는 향상될 것이다(한국청소년개발원 편, 2007). 본 연구에서는 김진호(2005, 2008), Wlodkowski(1998), Malon & Lepper(1987), Stipek(1993)의 연구를 토대로 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으로 프로그램 진행속도, 활동과제제시방법, 청소년 참여촉진 등 세 개의 지표를 사용하였다.

Stipek(1993)에 따르면 학습상황에서 학습과제를 교육자가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학습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열정은 달라질 수 있다. 즉, 학습과제를 이해하기 쉽게 제시할수록, 그리고 흥미롭게 제시할수록 학습자의 참여동기는 향상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Malone & Lepper(1987)의 연구에서는 학습과제를 전형적인 방식에 의해 제시한 수업보다 게임형태로 제시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Wlodkowski(1999)에 따르면 학습자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과제를 흥미롭게, 그리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할 때 자기도전포상제에서 활동과제의 제시방법은 활동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참여동기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능력과 기술에 적합하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편, 2007). Anderson(1982)에 따르면 학습활동 과정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할수록 학습자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강화된다. Stipek(1993)에 따르면 학습자를 자신의 학습계획을 설계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신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자기규제적인 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은 학습에 대한 책임감과 참여동기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프로그램의 진행속도가 적절할수록, 그리고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할수록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는 높아질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3.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의 매개효과

청소년활동에서 교육적 경험의 질은 청소년과 지도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현된다. 따라서 청소년과 지도자간에 상호존중하고, 친밀한 관계형성은 청소년활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김진호, 2008, 2013). 또한 지도자가 열정을 가지고 청소년을 지도하고, 청소년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것은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진은설,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지도자간 관계를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였다.

교육적 장면에서 지도자와의 애착관계 형성은 학교적응과 학교생활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들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예컨대 교사와의 애착관계는 학생의 성적과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은민, 2010; 임수경·이형실, 2008; Bergin & Bergin, 2009). 또한 교사애착은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문은식, 2002; 최지은·신용주, 2003; 박은민, 2010; 조은영, 2008).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로 청소년교육프로그램에서 지도자와의 애착관계 형성은 학습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교육의 효과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전개되는 활동이기 때문에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New York State After-school Network(2005)National Institute on Out-of-School Time과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2005)도 청소년과 지도자 사이에 형성되는 긍정적인 관계는 방과 후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김진호, 2008: 재인용). 그리고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는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서 형성되며, 활동참여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청소년과 지도자의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우선,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둘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셋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넷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질 것이다. 이상의 가설들을 도식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대한 영향요인의 가설적 인과모델4)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의 선정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의 활동참여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을 시작하는 시점이 각 기관마다 다르고,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어서 확률표본추출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기관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조사대상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숫자가 가장 많은 기관들을 선정하였으며, 청소년수련관 50부, 교회 70부, 청소년문화의집 50부, H대학교 3개팀 50부 등 5개 기관에 설문지 220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197매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3매를 제외한 194매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2. 측정도구

1) 활동참여도

활동참여도는 청소년들이 자발적 참여의지에 의해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측정도구는 Vallerand & Bissonett(1992)의 척도 중에서 자발적 참여와 관련된 5개의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Cronbach’s α계수는 .92로 나타났다. 한편 활동 참여도 척도의 일개념성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화된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공통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문항이 서로 유사한 내용을 물어보고 있었고, 이들 문항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됨으로써 하나의 개념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청소년과 지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긍정적인 관계 맺기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Dienesch 와 Liden(1986)의 다차원성의 개념척도 중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와 관련된 3문항을 선정하여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측정방법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범위는 3점에서 1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청소년과 지도자에 대한 애착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계수는 .91로 나타났다. 한편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 척도의 일개념성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화된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공통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문항이 서로 유사한 내용을 물어보고 있었고, 이들 문항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됨으로써 하나의 개념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지지

부모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Barrera(1981)가 개발한 Inventory of Socially Supportive Behaviors(ISSB)를 토대로 이정희(1999)가 번안하여 사용한 지지척도를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 정보지지, 평가적지지를 포함하여 각 4문항씩 총 1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방법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범위는 4점에서 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하위요인별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부모지지의 각 하위요인별 Cronbach’s α계수는 정서적지지 .87, 물질적지지 .88, 정보적지지 .88, 평가적지지 .85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지지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의 베리맥스(varimax)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정확히 분류되었으며, 4개의 하위요인들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프로그램 내용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은 Stipek(1996)과 Astroth, Garza, & Taylor(2004)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난이도의 적절성, 개인적 흥미와 개인적 가치의 지표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지혜(2009)의 연구와 National Institute on Out-of-School Time와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2005)에서 개발한 방과 후 청소년활동프로그램 평가척도(APT)문항 중에서 난이도의 적절성과 관련된 문항 2개, 개인적 흥미와 관련된 문항 4개, 개인적 가치와 관련된 3문항의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측정방법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Cronbach’s α계수는 난이도의 적절성 .83, 개인적 흥미 .75, 개인적 가치 .76으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 내용요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 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의 베리맥스(varimax)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으로 정확히 분류되었으며, 3개의 하위요인들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프로그램 진행방법 요인

프로그램 진행방법은 Wlodkowski(1998)Stipek(1993)의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활동과제제시, 청소년참여촉진, 진행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활동과제 제시는 신현아(2010)와 임윤택(2003)의 연구에서 활동과제 제시와 관련된 문항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맞게 수정하여 3문항의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청소년 참여촉진은 New York State After-School Network(2005)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질 평가도구(Program Quality Self-Assessment: QSA)의 참여촉진과 관련된 문항을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맞게 수정하고 신현아(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3문항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진행속도는 National Institute on Out-of-School Time,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2005)에서 개발한 방과 후 청소년활동프로그램 평가척도(APT)에서 진행속도와 관련된 4문항을 선정하여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맞게 수정하여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Cronbach’s α계수는 청소년참여촉진 .87, 활동과제 제시 .80, 프로그램 진행속도 .89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 진행방법 요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 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의 베리맥스(varimax)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으로 정확히 분류되었으며, 3개의 하위요인들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료분석 방법

<그림 1>에 제시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 영향요인의 가설적 인과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2.0을 이용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수추정을 위해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인과모형에서 측정변수는 총 12개로서, 독립변수인 ‘부모지지’에 4개, ‘프로그램내용요인’에 3개,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에 3개, 그리고 매개변수인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와 종속변수인 ‘활동참여도’에는 각각 1개씩 할당되었다. 복수의 측정변수가 할당된 잠재변수의 경우에는 특정의 한 개 측정변수에 1을 부여하여 모수를 추정하였으며, 하나의 측정변수만이 할당된 잠재변수(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 활동참여도)에는 측정오차변량을5) 을 계산하여 고정모수로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하나의 측정변수만을 가진 잠재변수의 경우 모형의 자유특징수들의 추정이 왜곡된다는 점(이순묵, 1990)과 이들 변수들이 객관적 측정 이라기보다는 설문지 응답에 기초한 간접적인 측정이기 때문에 측정오차를 가정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된 변수들간의 가설적 인과모델이 경험자료에 얼마나 적합한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적합도지수로는 카이스퀘어(x2), 근사치오차평균제곱근(RMSEA), 표준평균잔차제곱근(SRMR), 기초부합지(GFI), 비표준부합치(NNFI), 비교적합지수(CFI)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각 변인들이 가지는 상대적 효과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완전표준화추정치를 경로계수로 사용하였다.


Ⅳ. 연구결과

공변량 구조분석에 투입된 변수들간의 공변량 메트릭스는 <표 1>과 같다.

측정변수간 공변량 메트릭스(covariance matrix)6)

1. 가설적 인과모델의 적합도 분석

<그림 1>에 제시된 가설적 인과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그림 2>와 같이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적 인과모델이 관찰된 자료에 얼마나 잘 합치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카이스퀘어(x2), 근사치오차평균제곱근(RMSEA), 표준평균잔차제곱근(SRMR), 기초부합치(GFI), 비표준부합치(NNFI), 비교적합지수(CFI)를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그림 2>

<그림 2> 청소년 자기도전포상제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 영향요인의 가설적 인과모델 검증결과7)

가설적 인과모델에 대한 전반적 적합도 지수들

<표 2>에 제시된 가설적 모델의 적합도 지수의 값으로 카이스퀘어(x2)지수는 4551.993 (p>.05), RMSEA=0.084, SRMR=0.034, GFI=0.914, NNFI=0.979, CFI=0.986으로서, 카이스퀘어(x2)와 RMSEA를 제외한 나머지 적합도지수(SRMR, GFI, NNFI, CFI)는 모두 가설적으로 설정된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가설적으로 설정된 모델은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이스퀘어(x2)지수와 RMSEA가 이 모델이 보통 또는 부적합으로 판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의 표본수가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x2값은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이기 때문이다(이순묵, 1990).

즉, 모델이 제대로 되고, 모형검증의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도 표본의 크기가 매우 크면(일반적으로 표본수가 200이상) x2값은 통계적 의의도를 가지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모델이 적합하다」 는 귀무가설이 기각되기 쉬우며, 반대로 표본수가 100이하로 감소하면 유의하지 않은 확률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어 귀무가설이 기각되지 않기 쉽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고 검정대상 모델의 이론적 뒷받침이 상당히 있다면 카이자승치(x2)지수를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도록 제안하고 있다(조현철, 1999). 본 연구에서 가설모델에서는 6가지 적합도 지수 중 카이스퀘어를 제외한 5가지 적합도 지수가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RMSEA의 경우 0.05보다 작으면 근사가 적정함을, 0.05~0.10이면 보통임을, 그리고 0.10보다 크면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Steiger & Lind, 1980).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적 모델에 대하여 엄격하게 적용할 수 없는 카이스퀘어(x2)지수와 RMSEA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지수들이 적합하다고 판정하고 있으므로, 가설적으로 설정한 인과모델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2. 변수 간 인과관련성 검증

인과모델 내에서 변수 간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를 제시하면 앞의 <그림 2>와 같으며, 각 변인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그리고 변인군별(독립변수,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 설명량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표 3>과 같다.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검증 8)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긍정되었다.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와 활동참여도에 대한 경로계수는 .18(<.05) 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가 잘 형성될 때 활동참여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과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즉, 각 변수들의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대한 경로계수들을 살펴보면 프로그램내용요인은 .33(<.05),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34(<.05), 부모지지요인은 .13(n.s.)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프로그램내용의 난이도가 적절할수록, 그리고 개인적 가치나 흥미가 높을수록,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할수록, 활동과제를 흥미롭게 제시하고, 프로그램진행 속도가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수준에 적합할수록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부모의 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과 지도자와의 애착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를 갖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활동참여도에 대한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부모지지요인은 .17(<.05), 프로그램내용요인은 .70(<.01),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17(n.s.)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개인적 가치나 흥미가 높을수록, 이해하기 쉽게 제시 할수록, 부모의 지지가 높을수록 활동참여도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프로그램진행방법(참여촉진, 과제제시, 진행속도)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를 갖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의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정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변수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들을 살펴보면 부모지지요인은 .02(n.s.), 프로그램내용요인은 .06(<.05),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06(<.05)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내용요인(난이도의 적절성, 개인적 흥미, 개인적 가치)와 프로그램 진행방법 요인(참여촉진, 과제제시, 진행속도)는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변수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부모지지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변수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청소년들의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가정하고, 부모지지와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이 활동참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델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결과의 중요사항들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가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박성희, 2005; 임윤택, 2004: 황윤미, 2010)와 일치하는 것으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는 활동참여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한번 더 확인한 결과이다. 그리고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활동이기 때문에 청소년지도자와 긍정적인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New York State After-school Network(2005)National Institute on Out-of-School Time과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2005)은 청소년과 지도자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의 자발적인 활동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관심이 집중되어야 하며, 특히 저연령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에 친밀한 애착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도기법과 전략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이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내용요인과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내용이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Csikszentmihalyi & Schneider, 2000; 류민정, 표내숙, 2006; 진은설, 2012)과 일치하는 것으로, 이들 변수들은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도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 형성을 위해 중요한 변수임을 실증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참여청소년들의 개인적 흥미와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의 난이도가 청소년의 개인적 능력수준에 적절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진행방법과 관련해서도 청소년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활동과제를 흥미롭게 제시해야 하며, 적절한 속도로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지지요인이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지지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지지가 교육적 장면에서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혜주, 정의현, 2012; Hamiliton & Howes, 1992; Pianta & Steinberg, 1992)과 상반되는 결과로서, 부모지지와 청소년-지도자간 애착관계는 무관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의 상황에서는 공교육장면과는 다르게 부모의 지지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과 활동참여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부모지지요인과 프로그램 내용요인은 활동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그램 진행방법요인은 활동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인 부모지지가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노진하, 2007; Csikszentmihalyi, 1990)와 프로그램 내용요인이 활동참여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다는 선행연구(김진호, 2008; 신명희, 2002; 신현아, 2010; Wlodkowski 1998)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해서도 난이도의 적절성과 개인적 흥미, 개인적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섯째,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부모지지요인, 프로그램내용요인,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이 청소년과 지도자의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내용요인과 프로그램 진행방법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졌다. 반면 부모지지요인은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볼 때 부모지지요인은 활동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그램 내용요인(난이도의 적절성, 개인적 흥미, 개인적 가치)은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방법요인(참여촉진, 과제제시, 진행속도)은 활동참여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를 매개변수로 하여 활동참여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에서 프로그램 내용요인과 프로그램 진행방법요인은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긴 하지만 그 효과는 청소년과 지도자간의 애착관계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청소년과 청소년지도자간의 애착관계 형성”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정칠화(2015)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Notes

4) 그림에서 X1=정서적 지지, X2=물질적 지지, X3=정보적 지지, X4=평가적 지지, X5=난이도 적절성, X6=개인적 흥미, X7=개인적 가치, X8=참여촉진, X9=과제제시, X10=진행속도, M1=지도자 애착, Y1=활동참여도를 의미함.
5) 한 개의 측정변수만 할당된 잠재변수의 측정오차변량은 [측정변수의 총 변량☓(1-신뢰도α)]의 공식(이순묵, 1990)을 통해 산출된 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6) 표에서 X1=정서적 지지, X2=물질적 지지, X3=정보적 지지, X4=평가적 지지, X5=난이도 적절성, X6=개인적 흥미, X7=개인적 가치, X8=참여촉진, X9=과제제시, X10=진행속도, M1=지도자 애착, Y1=활동참여도를 의미함.
7) 그림에서 X1=정서적 지지, X2=물질적 지지, X3=정보적 지지, X4=평가적 지지, X5=난이도 적절성, X6=개인적 흥미, X7=개인적 가치, X8=참여촉진, X9=과제제시, X10=진행속도, M1=지도자 애착, Y1=활동참여도를 의미함.
8) 주1: -는 수정모델에서 “해당사항 없음”을 의미함

  주2: *는 p<.05에서 유의하다는 것을 의미함.

References

  • 권순미, (2000),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일남, 정철상, 김진호, 김영철, (2008), 청소년활동지도론, 서울, 학지사, p51-68.
  • 경상북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2013),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청소년지원센터.
  • 김영기 외, (2012),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만족도 조사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김영기 외, (2013), 2013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의 자기주도성에 대한 효과성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김윤현, (2010), 청소년 수련활동의 만족도와 성과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진호, (2008), 청소년활동프로그램 참여자의 몰입경험 결정요인 구조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5(4), p1-25.
  • 김진호, (2013),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활동경험이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1), p1-18.
  • 노진하, (200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친구지지, 및 교사관계와 학교적응 간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민정, 표내숙, (2006), 체육교사의 교수행동과 중학생의 내적동기, 수업민족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p241-249.
  • 문은식, (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성희, (2005), 청소년 참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위원회·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은민, (2010),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p75-88.
  • 박정배, (2010), 청소년활동몰입 관련요인에 따른 구조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명희, (2002), 교수방법의 심리적 기초, 서울, 학지사.
  • 신현아, (2010), 방과후 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 후 학교 교육만족도 차이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세비, 문성호, (2012),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참여청소년의 활동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1), p249-270.
  • 윤은종, (2002), 청소년 수련활동의 효과분석: 활동 만족도와 인식된 자기변화에 초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명순, (2006), 청소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지혜, (2009),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혜주, 정의현, (201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초등학생이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예측 모형 탐색, 아동교육, 21(1), p195-210.
  • 임수경, 이형실, (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3), p169-183.
  • 임윤택, (2004), 청소년의 수련활동 프로그램 몰입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근영, 김용대, 김태우, (2011),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효과성 분석 및 장기종단연구계획 수립Ⅱ,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전국재, (1996), 청소년활동 관리와 운영,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청소년활동론, p23-57, 서울, 인간과 복지.
  • 조은영, (2008),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친구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5(6), p299-322.
  • 주계순, 김진호, (2013), 청소년청렴교육프로그램의 구성요인과 프로그램 몰입 청렴의식 변화의 관계연구, 청소년문화포럼, 33, p173-202.
  • 진은설, (2012),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진은설, 임영식, (2008), 자기효능감, 또래영향, 부모모니터링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5(4), p27-47.
  • 최지은, 신용주,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p199-210.
  •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2004), 청소년지도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2005), 청소년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편, (2007), 청소년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1), 한국형청소년성취포상제 직무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4),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직무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4),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청소년 연도별 동향 연구(2012-2014),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7),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안내, http://www.youth.go.kr/youth/youth/contents/selfChlngRwardScnForm.yt?curMenuSn=362 (검색일: 2017. 11. 30).
  • 황윤미, (2010),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참여경험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nderson, R., (1982), Allocation of attention during reading. In A. Flammer & W. Kintsch(Ed), Discourse processing, New York, North-Holland.
  • Astroth, K, A., Garza, P, & Yaylor, , (2004), Getting down to business: Defining Competencies for entry-level youth workers, In P. Garza, L, M Borden, and K, A. Astroth (ed), New direction for youth development, CA, Jossey-Bass. [https://doi.org/10.1002/yd.96]
  • Barrera, M., (1981), Social support in the adjustment of pregnant adolescents: Assessment issues. In B.H. Gottlieb(Ed.).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Beverly Hills, CA, Stage.
  • Bergin, C, & Bergin, D., (2009), Attachment in the classroom, Education Psychol Rev, 21, p141-170. [https://doi.org/10.1007/s10648-009-9104-0]
  • Csikszentmilaiihiy,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최인수 (역), (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서울, 한울림.
  • Csikszentmilaiihiy, M., & Schnider, B., (2000), Becoming adult: How teenager prepare for the work, 이희재 (역), (2003), 어른이 된다는 것은, 서울, 해냄 출판사.
  • Dienesch, R. M., & Liden, R. C., (1986), Leader-member exchange model of leadership: A Critique and further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p618-634.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42]
  • Hamilton, C. E., & Howes, C., (1992), A comparison of young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mothers and teacher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2(57), p41-59. [https://doi.org/10.1002/cd.23219925705]
  • Hidi, S., (2000), An interest researcher’s perspective: The effects of extrinsic and intrinsic factors on motivation. In C. Sansone & J. M. Harackiewicz (Ed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earch for optimal motivation and performance, p311-339, San Diego, CA, Academic.
  • Malone, T., & Lepper, M., (1987), Making learning fun: A taxonomy of in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In R. Snow & M. Farr(eds.). Attitude, learning and instruction: Vol.Ⅲ, p223-253, Hillsdale, NJ, Larence Erlbaun Associates.
  • National Institute on Out-of-School Time, &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2005), Assessment of after school program practice tool, Retrieved March 11, 2008, from http://www.doe.mass.edu/21cclc/ta/apt.html.
  • New York state After-school Network, (2005), Program quality self-assessment, Retrieved May 8, 2008, from http://www.nysan.org/content/document/detail/1991/.
  • Oh, Y. S., (2005), A Study on the Background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ance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ark, J. N., (200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ity of Volunteer Activities by Adolescent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New Direc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2(57), p61-80. [https://doi.org/10.1002/cd.23219925706]
  • Stipek, D. J., (1993),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actice, (2end ed.), Need han Heights, Allyn and Bacon.
  • Vallerand, R. J., & Bissonnette, R, J., (1992), Intrinsic, extrinsic, and 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behavior: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60, p599-620.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2.tb00922.x]
  • Wlodkowski, R. J., (1998), Strategies to enhance adult motivation to learn. In M.W. Galbrith(2nd ed.) Adult learning methods: A guide for effective instruction, Florida, Krieger Publishing Company.
  • Wlodkowski, R. J., (1999), Enhancing adult motivation to lear: A comprehensive guide for teaching all adult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그림 1>

<그림 1>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대한 영향요인의 가설적 인과모델4)

<그림 2>

<그림 2>
<그림 2> 청소년 자기도전포상제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도 영향요인의 가설적 인과모델 검증결과7)

<표 1>

측정변수간 공변량 메트릭스(covariance matrix)6)

측정변수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M1 Y1
X1 8.77
X2 7.55 8.85
X3 7.12 7.45 8.56
X4 6.74 7.23 7.15 8.39
X5 2.05 1.99 1.76 1.50 2.45
X6 4.61 4.20 3.61 3.19 2.45 6.88
X7 3.70 3.91 3.23 3.18 1.82 4.00 4.46
X8 3.78 3.60 3.13 3.26 1.82 3.93 2.77 4.35
X9 3.10 3.26 2.72 2.61 1.41 2.98 2.65 3.04 3.74
X10 4.28 4.10 3.97 4.16 1.92 3.54 3.01 3.85 3.75 6.58
M1 3.99 3.96 3.44 3.44 1.90 3.76 2.79 3.30 2.58 3.38 5.61
Y1 6.80 6.75 6.04 5.61 3.16 6.46 5.28 4.65 4.15 4.37 5.60 13.47
평 균 15.85 15.87 15.79 15.72 7.89 16.22 12.11 12.50 12.21 16.26 12.11 20.60
표준편차 2.96 2.97 2.92 2.89 1.56 2.62 2.11 2.08 1.93 2.56 2.36 3.67

<표 2>

가설적 인과모델에 대한 전반적 적합도 지수들

적합도지수명 χ2 (df)/의의도 RMSEA SRMR GFI NNFI CFI
적합도지수 4551.99(66)/p< .05 .084 .034 .914 .979 .986
적합도기준 p >.05 <.10 <.05 >.90 >.90 >.90
판정결과 부적합 보통 적합 적합 적합 적합

<표 3>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참여 청소년의 활동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검증 8)

경로유형 경 로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전체
효과
전체 설명량
독립변수→
매개변수
1. 부모지지(ξ1)→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η2) 0.13 - 0.13 0.72
2. 프로그램내용요인(ξ2)→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η2) 0.33* - 0.33*
3. 프로그램진행방법요인(ξ3)→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η2) 0.34* - 0.34*
매개변수→
종속변수
1. 청소년과 지도자간 애착관계(η2)→활동참여도(η1) 0.18* - 0.18* 0.43
독립변수→
종속변수
1. 부모지지(ξ1) → 활동참여도(η1) 0.17* 0.02 0.20*
2. 프로그램 내용요인(ξ2) → 활동참여도(η1) 0.70* 0.06* 0.76*
3. 프로그램 진행방법요인(ξ3) → 활동참여도(η1) -0.17 0.06* -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