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Center for Korean Youth Culture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0, No. 61, pp.37-65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0
Received 27 Aug 2019 Revised 16 Dec 2019 Accepted 23 Dec 2019
DOI: https://doi.org/10.17854/ffyc.2020.01.61.37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영조1)
1)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동그라미심리상담센터장
The Effects of CGRT Self-Discovery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Lee, Youngjo1)
1)Silla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PhD

초록

본 연구는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 청소년들에게 적성을 고려한 진로교육의 기본방향을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진행은 부산시에 소재한 청소년 회복센터 2개소에서 청소년을 각각 15명씩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진로성숙도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성숙도와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는 독립표본 t-검증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성격적 특성에 맞는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sketch out the effectiveness of how the CGRT self-discovery program influenced career maturity during adolescence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to decide a career fit for the adolescent's aptitude. For this study we chose 15 students each from 2 Youth Restoration Centers in Busan and divided them into the comparative and experimental group. We test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GRT self-discovery program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career maturity of two groups.

We used two measurement tools: the career maturity and CMI (Career Maturity Inventory) tests, consisting of 5 lower measures for checking career maturity, and used SPSS 18.0 for data analysis. We have used Student's T-tes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homogeneity of study participants an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have used paired sample t-tests to enter the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have found a meaningful effect to describe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rough the CGRT self-discovery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the basic data of career choice that fit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Keywords:

personality type, CGRT self-discovery, career maturity

키워드:

성격유형, CGRT 자아발견, 진로성숙도

Ⅰ. 서 론

지식기반의 전문화된 능력을 요구하는 현대사회는 직업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진행되면서 개인에게 있어서 진로를 준비하고 선택하는 일이 중요한 과업이 되었으며 특히 직업에 대한 사전 지식이 갖추어지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진로선택은 자신의 인생을 결정하는 일이기에 걱정과 고민은 깊어진다.

김선경(2016)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들은 진로를 찾는 일에 고민하고 있으며 자신에 대하여 생각하는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해 진로선택에 있어서도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또한 진로선택에 대해서 임영란(2013)은 자신의 성격, 능력, 흥미, 가치에 맞는 일을 선택하여 일에 대한 만족과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는 과업이며 개인에게는 자아실현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고등학교를 졸업 할 때까지도 자신의 적성을 발견할 기회를 갖지 못하거나, 직업세계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진로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문성호, 박승곤, 윤동엽, 정지윤, 2016).

진로교육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 적성, 재능을 정확히 파악하고 직업세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계획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고 목적 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교를 선택 하는데, 개인의 적성보다 학업성취 정도를 우선적으로 진학에 반영하고 있다(임현정, 2013). 이는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동일시하는 것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격과 적성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진학을 결정하게 된다.

정철영(2017)은 청소년들의 진로 선택과 결정은 개인의 적성과 특징을 반영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김옥경(2016)은 자아정체감 확립 및 자기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반영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진로발달이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진로교육 강화를 통해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한정현, 조현희, 2018). 진로성숙도는 자신의 진로발달단계에 맞는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수준과(이동혁, 신윤정, 이은설, 이효남, 홍샛별, 황매향, 2017),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와 능력을 갖추는 동일한 연령 단계에서 주어진 당면한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진로발달의 상대적 위치라고 할 수 있다(유재만, 이병욱, 2016; 유준상 외, 2013).

청소년 회복 센터는 여러 형태의 비행을 일으킨 청소년들을 부모와 가족을 대신하여 보살피고 양육하는 기능을 하는 곳으로 부모의 경제적 능력 상실이나 이혼 등의 이유로 가정이 해체되어 부모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여 가정으로 돌려보내도 재비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청소년들을 개별적이고 개방적인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교정을 시도하면서 정신적, 심리적으로 건전한 성장과 사회적 관계가 회복되도록 지속적 관리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천종호, 2013).

회복센터 청소년들은 학교의 제도권에서 이탈한 상태로서 정상적인 학업이나 진로교육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다수가 비행에 접속되어있고 미래가 불투명한 청소년들에게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적용해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를 계획하였으며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회복센터 청소년들이 자신의 성격적 특성을 발견하고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 적용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성격유형을 분석한 프로그램으로 고대 히포크라테스가 발견한 기질론인 의학적 모델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 발전되어온 이론을 종합하여 새로운 성격유형 학문으로 정립되었다(이상오, 2010). Connection(관계지향적), Goalorinented(목표지향적), Rational(합리적), Thinking(사고지향적)의 머릿 글자이며, 인간의 성격유형을 위의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하고 1차 본성적 자아, 2차 성격적 자아, 3차 인격적 자아로 구분해 이를 조합해 24가지 성격으로 분류한다.

성격유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홀랜드 직업적성검사는 6가지 유형(김영미, 2016), 에니어그램 9가지 유형(김경미, 2018), 도형심리학 12가지 유형(박나연, 2018), Plog의 사이코그래픽스 유형과 Myers와 Briggs가 Jung의 심리유형론을 토대로 발전시킨 MBTI는 16가지로 성격유형을 분류하고 있다(강민정, 2018).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기존 성격유형 학문보다 2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는 차별성을 가지며 이는 갈수록 다양하고 복잡해진 직업 환경에 적합한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성격유형과 관련된 선행연구(하영희, 서영옥, 2007; 최민서, 2013)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처음 시도하는 것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성격적 특성과 적성에 맞는 꿈을 구체화 시키고 진로성숙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성을 검증하고 학교사회복지현장에서 성격유형 프로그램을 적용한 진로교육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성격유형의 이론과 CGRT 자아발견

1) 성격의 개념

성격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하며 성격의 어느 면에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Rogers(1957)는 성격을 모든 종류의 중심이 되는 자아, 즉 조직화 되고 영구적이며 주관적으로 지각된 실체라고 정의하였고, Erikson(1963)은 발달단계를 거치며 맞게 되는 여러 심리 사회적 분위기의 극복 결과라고 했다. Freud는 원초아, 자아, 초자아 세 요소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이수진, 2013).

성격이란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나타나며, 활동적인 것을 좋아하는 사람과 정적인 환경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어느 것이 좋고 나쁘다고 말할 수 없다. 성격과 기질에 대해 크렛취머(Emst Kretschmer)는 인간의 정동적, 의지적 반응과 가능성의 총체이고, 기질이란 개인의 생체내의 생리적 기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성격의 하위 구조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성격은 후천적인 것도 포함하지만 기질은 선천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박아청, 1992; 박진숙, 2007 재인용).

2) 성격 유형론

유형이란 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의 무리를 뜻하며, 성격유형론은 성격을 일정한 범주로 구분하고 동일 범주에 속할 경우 거의 동일한 성격이라고 보는 것이다(전수영, 2013).

유형론의 역사는 그리스 시대까지 소급되며, 기원전 4세기 무렵 히포크라테스는 엠펙트크라스의 우주 4원론에 대응하여 4가지 체액론을 제시하였다. 우주 4원론이란 우주가 공기(따뜻하고 습기가 있다), 땅(차고 건조하다), 불(뜨겁고 건조하다) 및 물(차고 습기가 있다)의 4가지 원소로 되어 있다는 것이며, 히포크라테스는 각각에 대응하는 인간의 체액으로서 혈액, 흑담즙, 황담즙, 및 점액을 생각하고 이에 대응되는 기질로서 다혈질, 우울질, 담즙질 및 점액질 4가지로 분류하였다. 19세기 무렵 카레누스는 이와 비슷한 이론을 제창한 적이 있으며, 결국 이러한 생각이 유럽의 성격 유형론의 저류를 이루게 되었다(박진숙, 2007).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성격유형은 Plog의 사이코그래픽스 유형과 Myers와 Briggs가 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발전시킨 16가지의 MBTI 성격유형지표(강민정, 2018), 9가지로 나누어 구분한 에니어그램(김경미, 2018), 6가지로 구분한 Holland의 직업적성검사 (김영미, 2016), 12가지로 분류한 도형심리학(박나연, 2018) 등이 있으며 성격유형을 24가지로 세밀하게 분류한 CGRT 자아발견이 있다(이상오, 2010).

3) CGRT 자아발견

CGRT 자아발견은 도형의 그림인 ○, △, □, S와 기질을 합해서 그 결과를 도출해 내는 것으로, 이 네 가지 도형의 그림을 기질에 접목해서 분석하는 방식이다. 여러 학자들이 기질과 도형을 접목해서 성격을 분석했지만 확실한 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그동안 연구되어온 성격유형 이론을 종합해서 새로운 안을 만든 것이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다.

의학적 모델인 히포크라테스는 기질의 4가지(다혈질, 담즙질, 점액질, 우울질)차이에 따른 처방을 하였고 철학적 모델인 소크라테스, 칸트, 몽테뉴, 데이비드 흄은 기질을 구분하고 민족적인 기질의 차이를 나누었다. 인문학적 모델인 갈렌은 기질론을 연구 계승하였고, 심리학적 모델인 라이프니치는 기질과 심리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정신분석학적 모델인 프로이드는 의식구조와 성격이론이 본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고, 분석심리학적 모델인 융은 4가지의 유형을 내향성과 외향성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육학적인 모델인 몬테소리는 도형을 놀이에 접목시켰다. 상담학적 모델인 팀 라헤이는 상담학으로 기질을 12가지로 유형화시켰으며, 종교학적 모델인 알 타이어는 성경 인물과 도형, 그리고 기질적인 발견을 하였다. 이에 이상오 박사는 성격유형 이론의 한국적 토착화를 이루기 위해 앞에 거론된 선행이론의 총체적인 접목을 통해서 성격을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관계지향형(Connection), 목표지향형(Goaloriented), 합리적인형(Rational), 사고지향형(Thinking)으로 명명하여 이를 표현한 도형(○, △, □, S)의 그림을 조합하여 성격유형을 분석하는 CGRT 자아발견을 새로운 학문으로 정립시켰다.

CGRT 자아발견은 도형의 그림인 ○(C), △(G), □(R), S(T)를 통해서 1차 기질인 본성적 자아를 발견하고, 2차로 기질의 성격적 자아를 알아내고, 3차 기질인 인격적인 자아를 조합하여 24가지의 성격유형으로 분류한다. 성격유형 검사는 자아발견 기록지에 자신이 그린 그림을 통해 본인의 성격유형과 성격의 강점과 극복할 점을 알게 해주어 자신을 거울처럼 보게 되며, 그 검사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부서나 직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다(이상오, 2010).

CGRT 자아발견의 자아와 성격의 외향성은 C type 과 G type으로서 이들은 객관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외부의 현상과 사물에 관심을 갖는 성격이며 외부적인 환경에서 활동할 때 에너지 공급을 받는다. 그에 반해 R type 과 T type은 내향성의 성격으로 주관적 사고로 내면의 심리세계에 관심을 갖는 성격이다. 이들은 밖으로의 활동보다 안으로부터 에너지를 축적하는 스타일로서 자유스러운 공간과 여유로운 곳에서 혼자의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축적한다. 따라서 CGRT 자아발견은 성격의 타입별 강점과 일하는 태도, 부모, 친구로서의 행동 양식과 특징의 다양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으며, 자신의 성격 특징을 알고 생활하면 학교와 직장에서 관계 형성, 진로선택과 결정에 도움을 준다.

각 타입별 특징의 다양성을 살펴보면 첫째, C type(Connection)은 웅변가이며 외향적이고 낙천적인 성격유형으로, 관계 지향적이고 일하는 태도는 무슨 일이든 쉽게 자원하며 창조적이고 다른 사람을 일하게 만드는 능력과 새로운 일을 만들어내며 둘째, G type(Goaloriented)은 행동가이며 외향적이고 낙천적인 성격유형으로 목표 지향적이고, 일하는 태도는 전체를 바라보는 안목과 조직적으로 움직이길 좋아하고 목표를 세우면 즉시 행동에 옮기며 문제가 있을 때 실제적인 해결책을 찾아내고 해결하는 능력을 갖는다.

셋째, R type(Rational)은 완벽주의자이고 사색가이며 사려가 깊은 성격유형으로 합리적인 형이며, 일하는 태도는 완벽주의자로서 높은 이상을 갖기에 짜여 진 계획에 따라 일하는 식견이 있고, 넷째, T type(Thinking)은 내성적이고 관찰자 입장이며 소극적인 성격유형으로 사고지향형이며, 일하는 태도는 일을 쉽게 하는 방법을 찾으며 유능하고 꾸준하며 미래지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이상오, 2010).

CGRT 자아발견의 특징은 성격유형을 검사하는 과정의 간단함에 있다. 검사방법은 피검사자가 검사지의 조하리 창의 중앙에 그려진 마음 영역을 중심으로 O, △, □, S의 4개 도형 중 1개의 도형을 선택하고 자신이 선택한 도형을 3번 그린다. 그 다음 나머지 3가지 도형을 1번씩 그려 넣는 것으로 검사는 끝난다. 분석방법은 3번 그린 도형과 3가지 도형의 크기, 위치, 형태를 토대로 CGRT 자아발견 분석지침에 따라 1차, 2차, 3차, 4차로 분석하고 1, 2, 3차 유형을 조합해서 24가지 성격유형으로 분석한다. 유형별 자아의 구분과 분석은 <표 1>과 같다. 표의 분석에는 성격의 유형별 강점과 보완할 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성격과 관련된 진로와 직업군도 함께 명시하고 있다.

CGRT 자아발견 24가지 성격유형과 직업

2. 진로발달 이론과 진로성숙도

1) 진로발달 이론

진로발달이란 진로의 변화 과정으로서 일생에 걸쳐 이루어지는 미래 역할의 탐색, 계획, 결정, 수정을 반복하면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자기를 성장시켜 나가는 과정, 또는 평생 수행하게 되는 일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우연적 요인 등의 발달 과정을 의미한다(이자형, 2015).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기의 이해, 일과 직업 세계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자신의 진로를 계획·선택하는 경험의 총체를 의미한다(윤홍경, 2015).

진로에 관심을 갖고 진로교육을 하는 종국적 도착점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소질과 흥미에 맞고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택할 수 있는 인식, 태도, 능력 등을 갖추도록 안내하는 것이라고 볼 때 진로발달 촉진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Ginzberg(1951)의 진로발달 이론은 직업과 관련된 행동에 대해 연구한 종합적인 이론으로서 직업선택을 하나의 진로발달 단계로 보고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나 대내외적인 환경을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본인이 바라는 직업은 어떤 것이든 다 가질 수 있다는 환상으로 직업 세계를 바라보는 과정인 환상적 단계(11세 이전)가 첫 번째 단계이며, 본인이 지니고 있는 흥미, 능력 가치, 적성 등을 직업 선택과정의 주요 요인으로 여기나 현실적으로 제약하는 것에 대한 분별과 판단을 여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과정인 시험적 단계(11-17세)가 두 번째 단계이며, 마지막으로 현실적 단계(18세이후)인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의 단계로서 직업이 요구하는 조건, 교육기회, 직장에 취직하는 기회 등 개인 외부의 여러 가지 실질적인 요인과 본인과의 타협으로 실제로 직업을 선택하게 되는 단계이다(김태완, 2018).

Super(1953)는 진로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이론적 모델이다. 그는 진로가 전 생애에 걸쳐 발달한다고 보았는데, 그 중에서도 고등학생과 대학생 시기에 초점을 두고 직업선택의 준비를 어떻게 증진시키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연구를 집중하였다. 그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생애 발달단계, 생애역할 그리고 자아개념이다. 또 Super는 전 생애의 발달 과정을 성장기(growth stage, 0-14세), 탐색기(exploration stage, 15-24세), 확립기(establishment stage, 25-44세), 유지기(maintain stage, 45-65세), 및 쇠퇴기(decline stage, 65세 이후)의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고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발달은 개인의 능력, 흥미 및 새로운 경험에 의해서 성숙해진다. 부모의 경제적 수준, 지식, 교육정도, 성격적 특성 등은 개인의 진로 발달이 성숙해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Super는 진로성숙의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하면서 각 발달단계에서 요구되는 발달과업에 대처하면서 직업선택에 대한 준비성을 얻게 되는 것을 진로성숙이라고 보았다. 진로성숙은 개인이 새로운 경험과 도전을 맞이할 때 발달되는 지속적인 준비 과정이다(최수영, 2016).

Tiedeman과 O' Hara(1963)의 이론 역시 직업발달이란 직업정체감(vocational identity)을 형성해 나가는 계속적인 과정으로 개인의 실체, 다른 말로 해서 자아개념을 직업적 용어로 정의하는 연속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진로 의사결정 과정은 개인이 어떤 문제에 직면하여 의사결정의 필요성을 느낄 때가 되어야 비로소 시작되는데 그 단계로 첫째, 예상기(anticipation)는 탐색, 구체화, 선택, 명료화의 네 단계로 나누어지고 둘째, 실천기(implementation)는 적응기라고도 불리는 이 단계는 이전단계에서 내린 결정을 실천에 옮기게 되는데 그 과정은 적응, 개혁, 통합 단계를 거치게 된다(최유열, 2012).

2) 진로성숙도

진로성숙도는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태도,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능력,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Super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Super에 따르면 진로성숙이란 탐색기부터 쇠퇴기에 이르기까지 발달단계의 연속선상의 한 도달 수준으로 개인이 자기의 연령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는 생애단계의 개념이 진로발달의 개념에 영향을 주었고, 진로발달의 개념은 진로성숙의 개념을 산출하였다고 주장하였다(신혜정, 2014).

국내 학자로는 이은선(2014)이 진로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직업선택의 영향,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정보 및 계획, 직업적 선호의 일관성, 개인적 특성의 구체화, 직업적 선호의 분별 등 5가지로 나누어 보고 진로성숙을 태도적 측면과 능력적 측면으로 분류하면서 그의 인용에서 Super와 유사하게 Gribbons와 Lohnnes는 진로성숙도를 진로선택이나 진로계획에서의 준비도의 개념으로 보면서 진로성숙 수준은 자아개념의 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개인의 내적·외적 여건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고 강조하였으며, Crites는 진로선택 과정에서 나타난 인지적·정의적 특성에 대한 동일한 연령층과의 상대적 위치로서, 일관되면서 확실하게 현실적으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Savickas는 진로성숙도를 광의적으로 정보를 얻어 개인으로 하여금 연령에 적합한 진로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진로 발달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 정도로 정의하였고 Luzzo는 지적이고 현실적인 진로선택을 하는 능력과 지식을 획득하는 정도로, 적절한 진로 발달과업에 적응하고 연령에 맞는 진로결정을 하도록 하는 개인의 준비도 정도로 정의하였다(조수현, 2019). 또한 진로성숙도에 대하여 공희자(2016)는 한 개인이 진로를 선택할 때에 자신을 정확히 이해하며 직업에 대한 정보를 탐색‧습득하여 환경과 자신의 특성과 능력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이에 적응해가는 진로발달 정도라고 할 수 있고, 김경란(2018)은 진로인식, 탐색, 의사결정에서 종합적인 개념으로서 자기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기본으로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탐색하고, 결정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연령대 학생들과 비교하여 진로 수행 정도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아보는 상대적인 직업준비의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진로성숙은 자기이해, 일과 직업 세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을 정확히 이해하고 진로계획과 진로선택을 통합 조정해 나아가는 발달단계의 연속으로 각 발달단계마다 수행해야 할 발달과업의 인지 및 수행 여부가 다음 단계로의 발달을 촉진시키며 이해하는 데 중요한 조건으로 간주된다.

3)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과 진로성숙도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각각의 성격에 대하여 강점과 극복할 점을 자아발견 기록지에 명시하여 자신의 성격이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본인의 적성에 가장 잘 맞는 직업 분야는 무엇인지 등 그동안 몰랐던 자신의 성격의 본질을 알고, 자신의 성격이 외향형인지, 내향형인지 그리고 자신의 강점은 무엇이며, 극복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내며 자신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 있다는 것은 자기 적성에 잘 맞는 일과 맞지 않는 분야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환경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는 청소년들의 개개인의 기질과 본인이 좋아하는 부분에 대한 열정과 능력을 발견하게 되며, 그 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진로의사결정을 돕고 진로 계획과 꿈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진로성숙은 일생동안 일어나는 것으로 개인의 성장과 탐색, 진로 의사결정에서 준비하는 단계이다(오명숙, 2015). 김충기(1986)는 개인의 직업적 소양, 가치, 지식, 기술 등의 습득을 통해 궁극적으로 직업의 적성에 부합하는 행동과 판단력을 낳은 과정을 직업발달이라 보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결과를 진로성숙이라고 보았다. Super(1957)의 이론을 종합하면 진로성숙은 진로태도에 기인하며 진로태도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합리적 계획과 의사결정의 적응정도를 나타내는 종합적인 준비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성격적 특성에 맞는 꿈을 구체화 시키고 자아개념을 발견하고 개인별 적성에 적합한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진로성숙도가 향상될 수 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 가설 1.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다.
  • 가설 2.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관여도, 진로선택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것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부산시에 소재한 6개소 청소년 회복센터에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사전 홍보한 결과 자발적으로 요청한 A 청소년 회복 센터와 B 청소년 회복 센터에서 각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를 두 곳에서 선정한 것은 한 곳의 센터에서 선정할 경우 프로그램 내용 공유로 인해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줄 우려에 따른 연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두 곳 회복 센터 환경의 상이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문제점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프로그램 사전검사 검증을 통해 두 집단이 동일집단임을 확인하는 것으로 연구대상자 선정 시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로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분석결과를 볼 때 연령별로는 실험집단은 17세가 53.3%로 가장 많았고 통제집단은 16세 이하와 17세, 18세 이상이 각각 33.3%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동거인별로는 실험집단은 아버지가 40.0%로 가장 높았고 통제집단은 부모님이 33.3%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은 한 부모 가정의 대상자가, 통제집단은 양부모 가정의 대상자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생활수준별로는 실험집단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기초생활 수급자 이상이 각각 46.7%를, 통제집단은 기초생활 수급자 이상이 53.3%이며 상류층 대상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순위별로는 실험집단이 66.7%, 통제집단은 73.3%로 장남이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자가 선정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연령과 동거인, 생활수준, 출생순위에서 동질집단임을 알 수 있다.

3.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방법은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진행과 진로성숙도 검사지를 활용한 개별조사이다. 프로그램 진행하기 전에 진로성숙도 사전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진로성숙도가 동일한 것을 확인한 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8회기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 사후검사를 하여 두 집단 간 사전과 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진로성숙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4. 측정도구

1) 진로성숙도

본 연구의 검증 및 분석을 위한 진로성숙도 검사는 Crites(1978)가 개발한 CMI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CMI는 태도척도와 능력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도척도는 선발용(SCREENING FROM A-2)와 상담용(COUNSELING FROM B-1)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태도척도 중 선발용 척도는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전체의 총점에 의해 평가되는 것으로, 일에 대한 태도의 관점에서 교육 및 상담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척도이다. 반면에, 상담용 척도는 5개 하위영역의 총 7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50문항은 선발용 척도와 동일한 내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척도는 CMI(Career Maturity Inventory)의 태도척도 가운데 상담용 척도(Counseling from B-1)를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 제작하여 사용한 진로성숙 검사지를 토대로 작성하였다(강유리, 2006).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신뢰도는 검사 문항간의 동질성 정도에 의한 신뢰도 추정치인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구하는 검사방법 중 Cronbach′s α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진로확정도 8문항, 진로독립도 8문항, 진로타협도 6문항, 진로선택태도 5문항, 진로관여도 3문항,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와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검사지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진로성숙도 검사 신뢰도

2)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한국청소년상담원(2011)이 학업중단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특성화프로그램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 하였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본성적 자아와 극복할 자아를 통해 성격유형을 정확히 알 수 있게 한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몰랐던 자신의 성격유형과 성격의 강점과 극복할 점을 알고 직업의 개념, 직업의 종류, 미래사회의 직업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군과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총 8회기로 되어있으며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의 회기별 주제 및 활동내용은 아래의 <표 4>와 같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5. 자료분석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 총점과 하위영역인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선택태도, 진로관여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하였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사회학적 일반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둘째,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동질성과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진행 전후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사전검사에 의한 집단 간 동질성 검증결과

본 연구자가 선정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집단간 동질성 검증

진로 확정도는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았고, 진로독립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으며 진로 타협도는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았고 진로선택태도와 진로관여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전체적으로 진로성숙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분석한 결과로 볼 때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진로성숙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선정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임이 입증되었다.

2.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실험집단은 진로성숙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14.04, p<.001), 하위영역별로는 진로확정도(t=9.45, p<.001), 진로독립도(t=9.22, p<.001), 진로타협도(t=7.60, p<.001), 진로선택태도(t=7.44, p<.001), 진로관여도(t=4.62, p<.001)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이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모두 진로성숙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결과

1)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진로성숙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표 7>과 같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성숙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진로성숙도를 보면, 먼저 실험집단은 평균이 사전 2.03, 사후 3.02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진로성숙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9.44, p<.001). 또한 통제집단은 평균이 사전 2.01, 사후 2.07로, 사전보다 사후에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보다 진로성숙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진로성숙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확정도에 미치는 영향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진로확정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확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8>과 같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확정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 진로확정도를 보면 실험집단은 평균이 사전 1.89, 사후 3.14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확정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2.16, p<.001). 또한 통제집단은 평균이 사전 2.02, 사후 2.05로 사전보다 사후에 진로확정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확정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진로확정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확정도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3)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독립도에 미치는 영향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진로독립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독립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표 9>와 같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전후 진로독립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 진로독립도는 실험집단의 경우 평균이 사전 2.12, 사후 2.92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독립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12, p<.001). 통제집단은 평균이 사전 2.09, 사후 2.14로 사전보다 사후에 진로독립도가 다소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독립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진로독립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독립도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타협도에 미치는 영향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진로타협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타협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표 10>과 같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타협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진로타협도는 실험집단의 평균이 사전 1.97, 사후 2.97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타협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8.70, p<.001). 통제집단은 평균이 사전 2.09, 사후 2.13으로 사전보다 사후에 진로타협도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타협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진로타협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타협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선택태도에 미치는 영향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진로선택태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선택태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표 11>과 같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선택태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진로선택태도는 실험집단의 경우 평균이 사전 2.16, 사후 3.03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선택태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8.60, p<.001). 통제집단은 평균이 사전 1.88, 사후 1.95로 사전보다 사후에 진로선택태도가 다소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선택태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진로선택태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선택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진로관여도 향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관여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표 12>와 같다.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진로관여도를 보면 먼저 실험집단은 평균이 사전 2.07, 사후 3.04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진로관여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6.64, p<.001). 통제집단은 평균이 사전 1.87, 사후 2.02로 사전보다 사후가 진로관여도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관여도

이상과 같이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진로관여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진로관여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진로관여도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본 연구는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중점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게는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 진행된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두 집단의 진로성숙도 변화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청소년의 진로지도 실태와 문제점과 대책을 분석하여 진로지도와 진로선택의 중요성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선택태도, 진로관여도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성격유형론과 CGRT 자아발견, 진로발달이론과 진로성숙도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성격의 개념과 기질, 성격유형론에 대하여 알아보고 CGRT 자아발견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CGRT 자아발견에서 분류한 자아와 각 타입별 성격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진로발달 이론과 진로성숙도에 대해 정의하고 선행연구 동향에서 성격유형 프로그램과 진로성숙도향상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참고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체적인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청소년 회복센터의 청소년들로 정하고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을 각각 다른 센터의 청소년들로 임의표집 하였다. 연구 진행은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고 두 집단에게 진로성숙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에게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8회기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진로성숙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연구방법을 결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 향상 여부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은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청소년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청소년보다 진로성숙도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진로성숙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이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다 일관되고 확실하며 현실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김지혜(2013)의 진로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진로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사후 진로성숙도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선택태도, 진로관여도 역시 영역별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연구결과는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해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와 개인 적성을 고려한 하영희(2007)의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은 자아를 탐색하고 자신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으로 진로의식을 성숙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철저한 재구성과 함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서영옥(2007)은 MBTI를 적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의 전체적 향상과 진로에 대한 태도, 진로탐색 및 의사결정, 일반적 지식, 선호직업 지식, 준비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고 했으며 Holland의 성격유형을 연구한 최민서(2013)는 Holland유형은 진로걱정 정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며, 진로걱정 정도는 진로결정 상태에 부(-)적 영향력을 미친다고 연구결과를 밝혔다. 이에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1차 본성적 자아와 성장 과정에서 성장과정에서 현실과의 타협하면서 만들어진 2차 성격적 자아, 현실에서 자신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자신이 극복해야 하는 3차 인격적 자아까지 모두를 성격의 형성요소로 정의하고 성격별 특성과 적성, 극복할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진로성숙도와 5개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것과 같이 본 연구에 적용된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2. 소감문 및 프로그램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왔지만, 검사지 반응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회복 센터의 청소년들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1) 회기별 소감문 분석

매 회기를 마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느낌을 정리하고 회기별 프로그램이 나에게 도움이 된 점, 더 진행하고 싶은 활동, 앞으로의 다짐을 소감문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회기별 소감문 분석결과, 프로그램 초기엔 어색함과 경계심을 보이기는 하였지만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계상의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질적 변화들을 보였다.

3회기, 나 찾아가기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을 소개하는데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몰라서 난감해했지만 그 과정을 통해서‘나에게도 부족한 점들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나도 모르는 감정이 있었구나!’, 다른 친구들 소개를 들으며 ‘사람들이 참 다양하구나’등의 반응을 보였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자기를 이해하고 자신의 성격유형에 맞는 직업군을 확인하고 진로를 선택하는 일이 ‘생각만 해도 귀찮다’, ‘진로에 대해 막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는데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나만 이런 게 아니구나’,라는 자각과 진로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과 정보가 얼마나 부족한지에 대해 느끼게 되었다고 했으며, 5회기 직업의 개념과, 6회기 미래사회의 직업 알아보기 프로그램 진행으로 자신의 성격과 적성에 맞는 직업군과 미래사회의 유망 직업을 알아가면서 ‘직업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새로운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직업 수행능력을 갖추기 위해 공부하고 준비해야 할 부분이 많았다’등의 반응을 보였고 7회기 나의 미래직업 찾기에서 내 성격유형에 맞춰 내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직업분야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도 잘 할 수 있는 직업을 발견했다.’, ‘이 분야에서 최고가 될거야’등 자신감을 나타냈고 자신이 선택한 미래의 직업에 대해 개인적으로 질문도 하면서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려고 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통해 자신의 성격의 특징과 장, 단점을 고려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어 진로와 미래의 꿈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2) 회기별 프로그램 분석 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1회기 “마음열기”에서 청소년들은 본 연구자에 대한 조심스러운 반응과 의심스러운 행동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친구들과 관계를 맺는 상황에서 서로를 경계하는 모습과 자신의 의사 표현을 해야 할 때마다 남의 눈치를 자주 보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집단 활동을 할 때 참가자들끼리 서로 대화도 많이 하려는 모습을 보였고, 나이가 많은 청소년들이 리드를 하면서 집단을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는 수줍어하고 다른 청소년들 앞에서 말을 하는 것에 대해 어려워하는 모습들이 회기가 지날수록 서로 간에 유대감이 형성되어 응집력이 높아졌으며 자신감 회복과 더불어 프로그램에 대해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회기 “다양한 사람들”에서는 나와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는 청소년들이 타인의 다름을 알아가면서 상대방의 특성을 이해하는 안목이 향상되었고 협동과 공존의 중요성을 배웠다.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면서 조금씩 융화되고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성격유형의 특성을 이해하는 3회기 “나 찾아가기”에서는 그동안 몰랐던 자신의 성격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 자신의 특성, 잘하는 것, 등이 타고난 성격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4회기 “내속의 또 다른 나”에서는 CGRT를 통해서 알게 된 나와 친구들이 말하는 또 다른 나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놀라는 표정을 지었다. 겉으로 드러난 나와 내면의 나를 발견하면서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신의 성격유형에 맞는 직업과 직업군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5회기 “직업의 개념”에서는 직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는 시간이 되었고 “미래사회의 직업”을 알아보는 6회기는 직업에 대한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고 놀라워했다. 청소년들은 프로그램 중에도 자기에게 맞는 직업을 선택하려고 고민하는 모습도 보였다.

7회기 “나의 미래의 직업 찾기”에서는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조금씩 자신만의 것을 만들어 가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후반부인 8회기 “미래명함 만들기”에서는 대표이사 OOO라고 이름을 적은 명함을 만들고 자신의 꿈을 이루고 성공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뿌듯해하는 청소년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완성된 명함을 발표하는 시간은 모두가 과학자, 정치인, 성공한 직장인, 자영업자, CEO가 되어있었다.

회복 센터 청소년들은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타인과 유대감을 갖는 과정에서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자신의 성격적 특성을 알고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게 된 청소년들은 과거 자신의 어두운 기억에서 벗어나 희망을 느끼며 밝게 웃는 모습을 보였다.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나타난 한계점과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의 적용 방안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에 사전검사를 하고 진행 후에 사후검사를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검사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에도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유지되는 여부에 대해 확인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중, 고등학생을 통합한 회복 센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 계층별로 연구대상을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부산시 00에 소재한 2개소 청소년 회복 센터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부산지역에 한정되어 다른 지역의 청소년들에게까지 일반화 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기에 조사 영역을 확대해서 일반화의 가능성을 넓힐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강민정 (2018). 영업사원이 관계판매 행동이 영업성과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BTI성격유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강유리 (2006).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공희자 (2016). 중학생의 성별과 진로성숙 수준에 따른 다리 그림검사 반응특징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경미 (2018).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 개발 및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경란 (2018). 초등학교 진로독서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선경 (2018) 미래유아교유사의 개념 및 역할에 대한 요구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미 (2016). 진로성격유형별 성취목표, 학습기술, 학업성취간의 관계탐색. 청소년학연구, 23(11), 185-215.
  • 김옥경 (2018). 대학생의 경력계획,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충기 (1986).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서울: 배영사.
  • 김태완 (2018).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존감과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문성호, 박승곤, 윤동엽, 정지윤 (2016). 청소년 활동 영역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3(2), 1-23
  • 박나연 (2018).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한 보석장신구착용의 자존감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진숙 (2007). 성격유형에 따른 기독교인의 사역활성화방안연구: MBTI 성격유형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영옥 (2007). MBTI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혜정 (2014). 상업계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오명숙 (2015). 한국형 에니어 진로지도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홍경 (2015). 부모의 진로관련 행동과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발달의 관계에서 외향성의 조절효과. 경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유재만, 이병욱 (2016).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 41(2), 1-23.
  • 유준상, 서우석 (2013). 진로성숙과 심리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6(3), 165-183.
  • 이동혁, 신윤정, 이은설, 이효남, 홍샛별, 황매향 (2107). 청소년 진로특성 진단 및 활용.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 이상오 (2010). CGRT 자아발견상담. 경기: 양서원.
  • 이수진 (2013). 제2형 당뇨 노인에서 성격유형과 당뇨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자기관리 행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은선 (2014). 중학생이 인지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자율성 지지 및 역할 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자형 (2015).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분석. 청소년학연구, 22(10), 289-316.
  • 임영란 (2013). 예술치료를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현정 (2013).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의 결정변인 탐색: 학교의 진로교육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전수영 (2013). 성격 유형론을 활용한 의류소비태도 척도의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철영 (2017). 미래 진로교육 패러다임. 진로교육개념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11. 추계학술대회, 1-21.
  • 조수현 (2019).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천종호 (2013). 행복한 가정, 행복한 자녀. 한국가정관리학회, 11, 43-54.
  • 최민서 (2013). Holland 유형별 대학생의 진로 결정 상태에서 진로 걱정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수영 (2016). 기독교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대한 진로상담 과정의 모형: 근거이론적 연구.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유열 (201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하영희 (2007). 에니어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청소년상담원 (2011). 두드림존 특성화 프로로그램 매뉴얼. 한국청소년상담원
  • 한정현, 조현희 (2018).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21(3), 1-38.
  • Crites, J. O(1978).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 [https://doi.org/10.1037/h0048519]
  • Eric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ty(2nd ed). New York: Norden. Gist M. R. Stevens. c. K. & Bavetta.
  • Ginzberg E., & Ginzburg, S. W. Axelrad. S. & Herma, J. 1.(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es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Rogers. C. R.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m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 95-103, 1957. [https://doi.org/10.1037/h0045357]
  • Super, D. E. (1953). A theory of va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9-190. [https://doi.org/10.1037/h0056046]
  •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 New York: Harper & Row.
  • Tiedman, D. V. & O'Hara, R. P.(1963). Career development : choice and adustment, New York: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표 1>

CGRT 자아발견 24가지 성격유형과 직업

구 분 C type G type R type T type
출처: 이상오(2010).
특징 CGR GCT RCG TCG
조직운영 능력과 실천력이 뛰어나고 대인관계 능력이 우수하다. 에너지가 넘치고 추진력이 좋으며 리더형이나 결정시 신중함이 요구된다. 안정을 추구하며 준비성과 실천력이 뛰어나며 신중함에 결정이 느리다. 섬세하고 조화를 중요시하며 타인의 판단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CGT GCR RCT TCR
분석적 리더형이며 자기중심적 경향이 강한편이고 행동에 신중한 편이다. 직관력이 뛰어나고 활동적이며 통솔력과 독선적인 성향을 보임. 규칙적이고 감각이 좋으며 준비된 일을 잘하며 신뢰가 부족하다. 실천력이 약하고 연구 분석능력이 뛰어나지만 한편 우유부단하다.
CRT GRT RGC TGR
신중하고 관계분석을 잘하며 논리적이며 신뢰를 주는 타입이다. 조직 활용하는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있고 타협과 수용력이 부족하다. 안정적 리더십, 자기 중심이 강하며 스스로의 잘못에 용납을 하지 못한다. 의욕적이고 준비성과 세밀함으로 추진하며 타협심이 요구된다.
CRG GRC RGT TRC
분석적이고 실리적이며 안정을 추구하고 자기중심적이며 감정조절 필요하다. 자기주장이 강한편이고 진지하며 추진력이 강하나 수용력 부족하다. 의지가 강하고 자기 선택을 중요시하며 책임지는 훈련이 필요하다. 자유와 안정과 독립을 원하며 창의적이나 추진력이 약하다.
CTG GTC RTG TRG
설득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우수하며 자기주장이 강하다. 강함과 섬세함을 겸비하고 있으며 창조적이나 공격적이며 감정조절이 필요 목표지향형의 준비된 지도자 타입이며 자기 일의 전문가임. 철두철미한 성격이며 끝마무리를 잘하나 세부적인 면에 집착함 .
CTR GTR RTC TGC
정이 많고 희생적이며 정서적으로 민감하다. 일을 조리 있게 한다. 분석적이고 실질적이며 낙천적이며 일에 완전을 추구한다. 분석력, 논리력이 뛰어나고 내면의 에너지가 많고 모험심 부족하다. 자기주관이 강하고 열정이며 세밀하나 마무리가 약한 편임.
C type
직업
정치인, 교수, 교사, 인력 양성 전문가, 기자, 상담자, 직업상담사, 부동산 컨설턴트, 종교인, 사학자, 경매전문가, 판매원, 정신건강 전문가, 의사, 간호사, 연기자, 웨이트리스, 보이/걸스카웃 대표, 캠프 종사자, 체육/활동분야, 주부, 비서 등 관계지향과 언어발달에 따른 직업선택이 유리
G type
직업
정치가, CEO, 중역, 비즈니스, 오케스트라 지휘자, 매니저, 조종사 조선 설계사, 갈등해결사, 마케팅 분야, 경제 분야, 조직문화, 사업가, 모든 분야의 관리자, 군인, 경찰, 법률회사, 공학 분야, 단체 조직위원장, 전문강사 등 리더격의 직업선택이 유리
R type
직업
회계사, 행정사무, 교사, 공무원, 서류 작성자, 행정가, 전문 의사, 작가, 의사, 편집자, 비서, 연기, 영화PD, 연극배우, 엔지니어, 연구자, 교수, 분석자, 설계자, 디자이너 등 섬세하고 꾸준한 인내심이 필요한 직업군의 선택이 유리
T type
직업
전략 기획자, 발명가, 장인, 실내장식가, 공인중개사, 대학교수, 이론가, 과학자, 연구원, 예술가, 음악가, 작곡가, 미술가, 인공지능 전문가, 국제 판매상, 성직자 화가, 연기자, 시인, 요리사, 관광업, 전문직의 분석가, 자유로운 직업군과 창의적인 사고를 요하는 직업의 선택이 유리

<표 2>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구 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연령 16세 이하 4 26.7 5 33.3
17세 8 53.3 5 33.3
18세 이상 3 20.0 5 33.3
동거인 부모님 4 26.7 5 33.3
아버지 6 40.0 2 13.3
어머니 4 26.7 3 20.0
조부모 1 6.7 2 13.3
기타 - 3 20.0
생활
수준
기초생활 수급자 7 46.7 6 40.0
기초생활 수급자 이상 7 46.7 8 53.3
중산층 1 6.7 1 6.7
상류층 - -
출생
순위
장남 10 66.7 11 73.3
차남 4 26.7 3 20.0
3남 1 6.7 1 6.7
100.0 100.0

<표 3>

진로성숙도 검사 신뢰도

하위영역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역채점 문항 1 ,2, 4, 5, 8, 9, 10, 11, 13, 14, 15, 16, 19, 20, 22, 23, 24, 25, 27, 28, 29, 30
진로성숙도 전체 30 .920
진로확정도 1, 2, 8, 11, 13, 21, 23, 24 8 .820
진로독립도 5, 7, 9, 12, 16, 17, 22, 26 8 .720
진로타협도 6, 10, 15, 18, 25 ,29 6 .740
진로선택 태도 4, 14, 20, 27, 28 5 .780
진로관여도 3, 19, 30 3 .770

<표 4>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회기 주제 활동내용 기대효과 시간
1 마음열기 ·사전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자기소개 (장점, 특징 발표)
·진로성숙도 확인
·동기유발 및 라포형성
120분
2 다양한 사람들 ·CGRT 프로그램, 자아발견의 이해
·CGRT 자아발견 상담 기록지 작성
·CGRT 로 타인 알기
·CGRT 로 자기 알기
120분
3 나 찾아가기 ·CGRT 자아발견의 성격유형 알아보기
·CGRT 자아발견의 내 성격
·자아정체감 향상
·나의 강점과 특성 알기
120분
4 내 속의 또 다른 나 ·타인이 보는 나에 대해서 알아보기
·적성에 맞는 직업분야 알아보기
·나의 새로운 특성 알기
·진로개념 확대
120분
5 직업의 개념 ·직업의 개념 정립
·직업의 종류 소개
·직업의 개념 알기
·분야별 직업 종류 알기
120분
6 미래사회의 직업 ·미래사회의 직업 탐색
·미래 계획작성 및 발표
·4차산업 시대의 직업
·꿈 설정, 비전 선포
120분
7 나의 미래 직업 ·CGRT 로 나에게 맞는 직업 알아보기
·진로 선택 후 단계별 준비 내용
·나의 특징, 강점 적용
·전문분야 특정기술 학습
120분
8 미래명함 ·미래의 내 모습 그려보기
·미래 명함 만들기
·사후검사(진로성숙도 검사)
·성공한 자신 확인하기
·자신감 확장하기
·진로성숙도 향상 확인
120분

<표 5>

집단간 동질성 검증

구 분 실험집단
(n=15)
통제집단
(n=15)
t p
M SD M SD
*** p<.001
진로성숙도 2.03 0.16 2.01 0.24 0.21 .835
진로확정도 1.89 0.27 2.02 0.51 -0.84 .409
진로독립도 2.12 0.28 2.09 0.32 0.23 .823
진로타협도 1.97 0.25 2.09 0.38 -1.03 .311
진로선택태도 2.16 0.35 1.88 0.49 1.79 .084
진로관여도 2.07 0.40 1.87 0.65 1.01 .323
자유도 28

<표 6>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결과

구 분 실험집단
(n=15)
통제집단
(n=15)
t p
M SD M SD
*** p<.001
진로성숙도 3.02 0.11 2.07 0.24 14.04 .000***
진로확정도 3.14 0.26 2.05 0.37 9.45 .000***
진로독립도 2.92 0.22 2.14 0.24 9.22 .000***
진로타협도 2.97 0.32 2.13 0.28 7.60 .000***
진로선택태도 3.03 0.34 1.95 0.45 7.44 .000***
진로관여도 3.04 0.43 2.02 0.74 4.62 .000***

<표 7>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성숙도

구 분 사전 사후 사후-사전 t p
M SD M SD M SD
*** p<.001
실험집단 2.03 0.16 3.02 0.11 0.99 0.20 19.44 .000***
통제집단 2.01 0.24 2.07 0.24 0.06 0.34 0.66 .520

<표 8>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확정도

구 분 사전 사후 사후-사전 t p
M SD M SD M SD
*** p<.001
실험집단 1.89 0.27 3.14 0.26 1.25 0.40 12.16 .000***
통제집단 2.02 0.51 2.05 0.37 0.03 0.58 0.22 .827

<표 9>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전후 진로독립도

구 분 사전 사후 사후-사전 t p
M SD M SD M SD
*** p<.001
실험집단 2.12 0.28 2.92 0.22 0.80 0.44 7.12 0.000***
통제집단 2.09 0.32 2.14 0.24 0.05 0.47 0.41 0.689

<표 10>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타협도

구 분 사전 사후 사후-사전 t p
M SD M SD M SD
*** p<.001
실험집단 1.97 0.25 2.97 0.32 1.00 0.45 8.70 .000***
통제집단 2.09 0.38 2.13 0.28 0.04 0.46 0.38 .712

<표 11>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선택태도

구 분 사전 사후 사후-사전 t p
M SD M SD M SD
*** p<.001
실험집단 2.16 0.35 3.03 0.34 0.87 0.39 8.60 .000***
통제집단 1.88 0.49 1.95 0.45 0.07 0.50 0.52 .613

<표 12>

CGRT 자아발견 프로그램 사전·사후 진로관여도

구 분 사전 사후 사후-사전 t p
M SD M SD M SD
*** p<.001
실험집단 2.07 0.40 3.04 0.43 0.98 0.57 6.64 .000***
통제집단 1.87 0.65 2.02 0.74 0.16 0.92 0.66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