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47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47, pp. 79-107
Abbreviation: Forum for Youth Culture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Jul 2016
Received 31 May 2016 Revised 14 Jun 2016 Accepted 20 Jun 2016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6.07.47.79

부모와 자녀의 가족캠프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조성훈* ; 손진희** ; 최윤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청소년학과 석사. 더 플라자 호텔 부지배인
**청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교신저자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A Study on the parents and children’s selection attributes of family camps
Cho, Sunghoon* ; Son, Jinhee** ; Choi, Yunjin***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aster. The Plaza Hotel an assistant manager.
**Chungwoon University Social Welfare Professor lecture. Corresponding author
***Chungang University Social Welfare Professor

초록

본 연구는 가족캠프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을 살펴보고, 선택속성요인에 따른 만족도를 확인하여 가족캠프 진행에 대한 기초자료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캠프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캠프 선택속성은 ‘지도자, ‘시설’, ‘프로그램’, ‘위치, ‘체험 선호’, ‘음식, ‘교육’, ‘경제’ 등 8개 영역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와 자녀의 높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인 유지 강화 영역으로 지도자 영역 요인, 시설 영역 요인, 교육 영역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부모와 자녀의 높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인 중점 투자 영역으로 시설 영역 요인을 나타냈다. 부모와 자녀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점진적 개선 영역으로 프로그램 영역 요인, 위치 영역 요인, 체험 선호 영역 요인, 경제 영역 요인이 포함되었다. 높은 만족도와 낮은 중요도 현상 유지 영역에서는 공동된 영역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캠프에 대한 실증적 방안을 제시 했으며, 가족 캠프 활성화를 위한 선별적이고 효율적인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ich selection attributes are significantly considered when parents and children choose a family camp.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s of 132 parents and 10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amily Cam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ppeared to be serious on the ‘facilities of the camp’, whereas children were interested in‘enjoyable and fun experience’ and ‘leadership attributes property.’ Second, the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riendly operators and leaders’ and ‘friendly camp operators’, while Children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friendly camp operators’ and‘ enjoyable and interesting experience’. Finally, The results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IPA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as follows . ‘Camp staffs’, ‘High staff to camper ratio’, ‘Variety of age-appropriate activities’, ‘Freedom to choose activity’, ‘Rest rooms provided’, ‘Quality/taste of food’, ‘Reputation of camp’ were in need of gradual amelioration, according to both parents and children. The findings regarding choice percentage and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child's perception proposed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family camps,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키워드: 가족캠프, 선택속성, 아이피에이

Ⅰ. 서 론

가족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족 여가를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면서(심상진, 김재환, 2009; 김성권, 2013), 단순한 재미와 휴양 개념으로 이루어지던 가족 여가 공간이 체험학습, 심성계발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새로운 가족 여가 트렌드를 생산해 내고 있다(유정우, 2011). 특히 청소년 여가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 전국 중학교에서 자유 학기제의 전면 도입은 가족 여가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게 될 것이다(통계청, 2013). 하지만 여유시간부족과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청소년 여가활동은 주로 TV 시청, 게임, SNS 활동으로 이루어졌다(문화체육관광부, 2014). 이에 따라 청소년이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여가문화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윤소영, 2009). 가족과의 여가가 자녀 혹은 배우자와의 결속력과 정서적 친밀감, 가족원간의 이해도를 증가시키며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를 발전시킨다는 점에서(최성희, 2015), 바람직한 청소년 여가 문화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족캠프는 가족원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에서 서로 공감하며 가족애를 느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가족 여가활동으로(임광진, 1996), 외국에서는 이미 활성화되어 있으며, 청소년을 위한 여가 활동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Agate & Covey, 2007). 가족캠프는 가족 내에 건전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내 관계의 회복과 건전한 가족문화 조성에 도움을 주며, 캠프장 내 공동체 생활을 통해 협동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킨다(이승호, 2005). 이러한 가족캠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와 함께 국내 청소년 수련원이나 민간 시설 등에서 현재 다양한 가족캠프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가족캠프가 과거에 비해 양적으로 확대는 되었지만, 지금까지의 가족캠프는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의 한 분야로만 간주되어, 가족단위 프로그램으로서의 특수성과 가치를 살려서 가족문화 활동으로서 질적 수준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부족했으며, 실제로 가족 캠프만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과 방안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가족캠프가 활성화되고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가족캠프 참가자의 요구를 충분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가족 캠프는 가족 모두가 참가하는 야외활동이기 때문에 가족 캠프에 참가하는 부모 세대뿐만 아니라 자녀 세대의 욕구도 적절히 반영돼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도 부모와 자녀의 여가와 활동에 대한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승호(2005)는 자녀세대, 특히 아들은 활동적인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을 선호하지만 부모세대는 교육프로그램을 선호하기 때문에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가족유형에 맞게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다고 주장한다. Agate와 Covey(2007)는 유아를 동반한 가족부터 고학년의 자녀를 동반한 가족까지 가족구성원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 모두 만족하는 가족캠프가 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가 가족캠프 참여 시 무엇을 기대하고 추구하며, 실제 캠프에 참여하여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선택속성이란 상품이 가지고 있는 유무형의 특성으로, 상품구매 과정에서 고객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을 말한다(Kotler, Bowen & Makend, 1996). 상품 구매 시 결정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구매 이후 만족과 불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고(박정화, 조영현, 2010),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의사결정에서 고려되는 모든 요소라고 정의되기도 한다(정오, 2014). Covey(2010)는 가족캠프 성과연구에서 가족캠프에 관한 선택속성과 IPA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는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을 가족캠프 참가 시 중요하게 기대하는 요인으로 정의하였으며,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모형을 통해 네 가지의 다면적인 분석을 제시하였다. IPA분석은 가족 캠프 참여자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를 이용하여 가족캠프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요인과 필수요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Abalo, Varela, &Manzano, 2007), 가족캠프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캠프 참가 전에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참가 후의 만족도를 참가자 스스로 평가하게 하는 방법이다. 주요 결과는 2차원 상의 도면에 x축은 만족도, y축은 중요도를 넣어 그 위치에 따라 해석하는 분석 방법으로서, IPA 분석 후 중요도와 만족도 영역의 차이는 참여자의 만족과 불만족을 알려주는 가장 핵심적 요인이 된다(Martiila & james, 1977).

그동안 국내에서 가족캠프 시설과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는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가족캠프 선택 시 중요하게 여기는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가족이 모두 참여하는 캠프임에도 불구하고 가족캠프 활동 프로그램이 가족 구성원 모두가 기대하는 바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점검하고 확인할 기회는 매우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와 자녀가 캠프를 선택함에 있어 결정요소인 선택속성의 차원을 파악하여 전반적인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가족캠프를 선택하는 부모와 자녀 간 차이분석을 통해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가족캠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족캠프를 활성화시키고 부모와 자녀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가족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가족캠프 참가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강화하고 개선해야 할 영역을 파악하여 가족캠프 활성화 및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가족 캠프 참가자인 부모와 자녀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가족캠프가 오늘날 가족 여가의 최선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 자녀 집단 간 가족캠프 선택속성에서 중요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 – 자녀 집단 간 가족캠프 선택속성에서 만족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 – 자녀 집단 간 가족캠프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결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가족여가의 개념과 기능

가족 여가에 대해 학자마다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크게 구분하면 가족 구조나 기능을 중심으로 가족 여가를 정의하고 있다. 가족 구조에 따라서는 2인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참여하거나(홍성희, 1996, 김혜경, 2004; 문숙재 외, 2005), 가족 구성원 모두 참여하거나(김외숙, 1991; 홍성화, 2003; 천혜정, 2004), 부모와 자녀를 포함한 2인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Shaw, 1997; 지영숙, 이태진, 2001). 가족기능의 중심으로 접근한 개념정의에서 Hill(1988)은 가족 여가는 혼인의 파탄을 사전에 방지하며, 가족 관계를 건강하게 지속시켜 주는 강력한 장치라고 하였다. Zabriskie와 McCormick(2003)은 가족여가는 가정생활의 만족도를 높여 준다고 하였으며, Tercan(2015)에 따르면 가족 여가활동은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향상시켜준다고 하였다. 특히 부모가 가족여가를 계획할 때는 가족의 정체성 확립, 가족 기능의 향상, 원활한 의사소통, 건강한 습관이나 건전한 가치를 가르치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특별한 목표를 가지고 이를 완수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하였다(Shaw & Dawson, 2001; Covey, 2010).

2. 가족캠프의 개념과 기능

가족캠프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야외 활동이며, 캠프파이어, 노래, 식사, 신체적 활동이나 게임, 체험 활동, 채색 놀이, 토론, 강가 활동, 교육적 활동을 포함한다(Anderson, 1974; Clark & Kempler, 1973; Taylor et al., 2006). 또한, 가족캠프는 가족단위로 자연 속에서 생활 경험을 하는 활동으로 지칭되며 가족기능의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시되고 있다(임광진, 1996). Rohnke(2007)에 따르면 가족캠프의 목적은 가족구조 내에서 체험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성공적인 체험활동을 위해서는 4가지 요인(믿음, 의사소통, 협동, 재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증가시키고 사회화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즐거움을 제공한다. 또한 가족의 중요성과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통해 가족의 가치관을 실현시키는데 가족캠프의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3. 선택속성
1) 선택속성의 개념

속성(attribute)은 상품이나 제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나 성질을 말한다. 선택속성이란 상품이 가지고 있는 유무형의 특성으로, 상품구매 과정에서 고객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을 말한다(Kotler, Bowen & Makend, 1996). 선택속성은 상품 구매 시 결정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구매 이후 만족과 불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박정화, 조영현, 2010). 진양호(2000)는 선택속성을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의 중요도와 구매 후 지각하는 만족도로 정의하였으며, 김태경, 선종갑(2006)은 선택속성을 소비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으로 소비자의 태도를 결정한다고 보았다. 전진화, 방진석과 최태호(2006)는 수많은 속성들 중 구매 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는 소비자가 물품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속성을 찾아 구매하기 때문이다. 오희균, 정규엽(2013)은 소비자가 선택할 때 중요시 여기는 속성의 중요도와 선택하여 이용하고 난 이후에 지각되는 만족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가족캠프의 이용객은 각 개인이 미리 설정해 놓은 평가기준과 캠프의 속성을 비교함으로써 가족캠프 상품을 평가하게 된다. 즉, 그들은 자신이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상품 및 상표의 속성을 기준으로 가족캠프 상품에 대한 의사결정태도를 결정하며, 이는 곧 선택 행동으로 연결된다.

2) 가족캠프의 선택속성

가족캠프는 일상생활에 벗어나 자연 속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가족 간 공감대 형성과 가족애를 체험하기 위해 참가한다(이승호, 2004).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캠프의 효과로 가족관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오윤자, 박선민, 배지영, 2009). 치료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가족캠프에서는 가족의 구조적 건강성, 가족의 질적 건강성과 가족의 심리적 건강성에 효과가 있었다(신연희, 2015). 일부 학자들은 이혼 가정의 가족레질리언스를 강화하기 위해 가족캠프를 제안하기도 하였다(최정숙, 전명희, 양혜원, 김희수, 2015). 가족 구성원 중 자녀가 장애인인 가정에서 가족캠프 참가 시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가족 프로그램으로는 자기(인성) 계발활동, 직업체험 교육, 모험 개척 활동, 문화예술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정대영, 하창완, 양미희, 2015). 이와 같은 연구들은 가족관계 회복과 교정 측면에서 다양한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치료적인 방법으로 가족캠프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치료적 요인을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으로 본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가족캠프 참가목적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데, 구창모, 신선미(1995)에 따르면 부모가 가족캠프 활동을 계획할 때 중요하게 뽑은 요인으로는 시설과 장소, 교통편, 활동 내용, 비용, 캠프 기간, 동반 가족, 안전 문제 등이 있었다. Barry(2013)는 가족 강화 연구에서 가족캠프의 참가 동기 요인으로 재미있고 휴식적인 체험, 평화로운 야외 분위기,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적당한 비용, 가족관계 강화, 친절한 직원, 캠프의 명성, 깨끗한 시설, 화장실이 갖춰진 숙박시설, 활동 선택 자유 순으로 분석하였다 Garst & Roggenbuck(2010)은 가족캠프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이유를 재미있고 휴식적인 체험,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적당한 비용, 가족관계 강화, 친절한 직원, 캠프의 명성, 깨끗한 시설, 화장실 갖춰진 숙박시설, 활동선택의 자유로 분류하였다. Covey(2010)는 가족 캠프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평가에서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을 <표 1>과 같이 30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요인들은 이후 5가지 요인으로 축소되었다. 프로그램 세부 요인(Programming Details Factors), 숙박 요인(Accommodations Factors), 경제 요인(Economics Factors), 체험 선호 요인(Experience preference Factors), 위치 요인(Location Factors)으로 구분하였다.

<표 1> 
선택속성요인
선택속성
캠프의 명성 조용한 야외 분위기 캠프파이어
캠프에서 타인 사귀기 샤워장 공예활동
비용 집에서 가까운 위치 친절한 직원
회원할인 호수에서 가까운 위치 아이들에게 친근한 직원
식사포함 숲에서 가까운 위치 다양성을 인정하는 직원
음식의 맛과 질 재미있고 휴식적인 경험 캠프직원의 비율
주말 운영 다른 가족과 교류 캠핑기술 습득
청결한 시설 연령에 맞는 활동 가족관계 강화
숙소 활동 선택의 자유 올바른 가치관 지향
화장실 강가(수변) 활동 올바른 가치 교육의 실시
자료 : Covey(2010)

3)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에서 중요도와 만족도

가족캠프에 참여하는 가족구성원들이 캠프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속성에서 중요도와 만족도 요인은 다양하다. Taylor, Covey와 Covey(2006)는 가족캠프의 주최자인 캠프 지도자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으로 참가한 가족들에게 가족의 유대 강화와 휴식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또한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가족들은 캠프 운영자의 친근하고 친절한 태도와 다른 가족과 함께 하는 야외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Garst et al. 2010). 특히, 캠프 운영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는데, 아이들에게 친근하고 활기찬 캠프 운영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족캠프에 참가한 아이들은 캠프진행에 애정을 가지고 캠프 프로그램 운영을 재미있고 즐겁게 실시할 수 있는 역량과 자질을 갖춘 지도자를 선호하고 있었다. 선택속성에서의 중요도와 만족도는 소비자나 참가자의 기대와 차이가 발생한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는 지각된 만족이 기대보다 높을 때 긍정적 불일치라고 하며, 반대로 지각된 만족이 기대보다 낮을 때 부정적 불일치라고 한다(서진우, 이희잔, 2007). 선택속성의 부정적 불일치는 불만족의 원인이 되지만, 긍정적 불일치는 소비자를 만족하게 만든다(Ovilver & Desarbo, 1988). 가족캠프의 운영과 진행에서 가족구성원의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기대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가족캠프는 가족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부모세대와 자녀세대로 분류하여 두 세대가 모두 만족하는 선택속성과 세대별 차이점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가족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부모와 청소년자녀를 모집단으로 한다. 그러나 전국에서 가족캠프를 실시하고 있는 기관, 단체, 시설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캠프가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표본 프레임을 설정하여 확률표본추출을 실행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가족캠프 참여자에 대한 전체 명단을 구할 수 없는 한계와 현실적 조사의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연구대상을 수련시설에서 가족캠프에 참여하는 부모와 청소년자녀로 한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대상 선정을 위한 조건은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의 요인이 캠프 진행에 모두 포함되어 이를 측정할 수 있고, 국내 자연권 대표 시설로 매년 대규모 가족캠프를 실시하며, 가족 캠프 활성화를 위한 제언 시 가족 캠프의 표본이 될 수 있는 곳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선정된 기관은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으로 이곳에서는 특성화 캠프와 가족캠프를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인 가족 야외활동 축제인 ‘아웃도어 페스티벌’ 행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년 8월과 10월에 열린 가족캠프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설문지 247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87%). 코딩과정에서 전체 문항을 동일번호로 답안을 체크하거나 미응답 문항이 있는 불성실한 설문지(15부)를 제외한 부모 132부, 자녀 100부 총 232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test)과 독립 T검증(Independa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고, IPA분석프로그램을 통해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부모의 성별은 남성이 43.9%, 여성이 55.3%로 여성이 약간 많았고, 연령은 30대 20.5%, 40대 69.7%, 50대 7.6%로 40대가 많았다. 자세한 내용은 <표 2>와 같다.

가족캠프에 참가한 자녀의 일반적 특성은 <표 3>과 같다. 자녀는 남학생 46%, 여학생 54%이고, 연령은 초등학생 76%, 중학생 21%, 고등학생 3%로 나타났다.

<표 2> 
연구대상자의 인구배경학적 특성
구분 영 역 빈도 퍼센트(%)
성별 남성 58 43.9
여성 73 55.3
연령 30대 27 20.5
40대 92 69.7
50대 10 7.6
월평균 소득 200만원미만 9 6.8
200~299만원미만 14 10.6
300~399만원미만 28 21.2
400~499만원미만 29 22.0
500~599만원 20 15.2
600만원이상 31 23.5
최종 학력 고졸이하 19 15.9
전대졸/대졸 84 63.6
대학원 재학/졸업 27 20.5
참여 횟수 처음참가 51 38.6
1년에 1~2번 62 47.0
1년에 3~4번 14 10.6
1년에 5~6번 5 3.8
숙박형태 야영장 55 41.7
펜션 77 58.3
정보 원천* 인터넷 44 33.3
가족/친구/이웃소개 76 57.6
팸플릿/홍보 6 4.5
기타 6 4.5
참가여부 결정 남편 22 16.7
부인 65 49.2
자녀 23 17.4
교사 2 1.5
친구/이웃교사 20 15.2
* 정보원천 : 기타(기존 참가경험, 관할교육청, 교사 등)

<표 3> 
연구대상자의 인구배경학적 특성
구분 영 역 빈도 퍼센트(%)
학년 초등학생 76 76.0
중학생 21 21.0
고등학생 3 3.0
성별 남자 46 46.0
여자 54 54.0

2. 측정도구
1)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에 대한 측정도구

Covey(2010)는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30문항으로 구성된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에 대해 가족캠프 참가 전에 중요도를 조사하고, 참가 후에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선택속성 척도는 Likert 7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선택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만족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척도를 기초로 청소년학 분야 교수 2인과 박사 2인과 논의를 거쳐 국내 현실에 맞게 번역 및 번안하여 활용하였다. 2015년 7월에 가족 캠프를 참가하는 가족들과 캠프 지도자들 대상으로 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7문항 포함해 총 3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도구의 설문지 구성은 <표 4>와 같이 구성하였다. 설문지 평가 방식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주성분 분석법 (PCA: Principal components)을 사용하여 요인 수를 최소화했으며, 요인 추출을 명확히 하기 위해 직각 회전인 Varimax 방식을 사용하였다. 1단계로 실시한 요인 분석 결과, 공통성과 요인 적재치가 0.4미만으로 낮게 나타난 추가 항목 7개와 의미와 표현상 내용이 이질적인 8개 문항을 제외한 총 15문항을 제외하였다.

부모의 설문지 구성은 가족캠프의 선택속성은 중요도와 만족도 각각 29문항과 추가 보완한 7문항, 인구통계학적 요인 12문항 그리고 전반적 만족도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녀의 경우 가족캠프의 선택속성 36문항과 전반적 만족도 3문항, 인구통계학 문항인 성별과 연령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 계수 .768이었다.

<표 4> 
측정내용
영역 No. 항목 문항수 신뢰도
지도자 24 자녀와 친근한 운영자, 지도자 5 .783 .768
23 친절한 캠프 운영자
33 적극적 자세의 캠프 운영자
32 능숙한 진행의 캠프 운영자
25 캠프 진행 지도자의 인원수
시설 8 깨끗한 시설 6 .778
10 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
12 편리한 샤워장
31 캠프 내 안전 및 의료시설
10 텐트 이외 숙박 시설 제공여부
30 매점
프로그램 16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10 .725
34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18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19 선호하는 활동 선택여부
35 스포츠활동
22 공예활동
20 강가(계곡)에서 활동
21 캠프화이어
26 캠핑기술 습득여부
36 국가/사회 공인, 인증 여부
위치 13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5 .607
1 가족캠프의 인지도나 명성
14 캠프장 주변 강(계곡)
11 캠프장의 자연친화적 분위기
15 캠프장 주변 숲(자연환경)
체험선호 27 가족유대 강화 4 .689
7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
17 다른 가족과 교류
2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음식 6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2 .682
5 식사 포함 여부
교육 28 올바른 가치관 지향 프로그램 2 .827
29 올바른 가치교육 여부
경제 3 캠프 참가비 2 .661
4 할인

2) 선택속성 IPA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는 가족캠프 참가 전 선택속성 중요도와 참가 후 선택속성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중요도와 만족도 평균을 분석한 후 4가지 요인(유지·강화, 현상 유지, 점진적 개선, 중점 강화)을 중심으로 가족캠프의 개선 및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IPA 분석의 기준점(교차점)을 구하는 방식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척도의 중앙값을 가지고 사용하는 방법(Mengak, Dottavio & O'Leary, 1986)과 표준편차에 의한 방법(김병삼, 1998)과 중요도와 만족도의 평균차에 의한 방법(Martila & James, 1977), 임의적으로 범위와 교차점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캠프 척도를 개발한 Covey(2010)가 사용했던 평균차를 이용한 기준점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가족캠프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 값들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IPA 도표의 범위로 한정한 다음,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 중앙값을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 분석 방법은 Martilla와 Jame(1977)가 운영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나 중요한 요인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로 중요도와 만족도에 따라 <그림 1>과 같은 방식으로 4개 분면에 표시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영역을 살펴보면,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1사분면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현재 상황에 대한 유지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참가자가 중요하게 생각했던 속성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만족도도 높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유지가 필요한 영역이다. 2사분면은 선택속성의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중점 투자 영역이다. 참가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이 낮은 만족도를 보임에 따라 개선이 시급히 필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3사분면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점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다. 참가자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만족하지도 않는 영역으로 현재 노력만으로도 유지 가능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지만, 향후 참가자의 중요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4사분면은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가 높아 현재 상황 대한 유지나 제거가 필요한 영역이다. 참가자가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속성들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캠프 운영자는 속성을 유지하거나 투입된 노력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림 1> 
IPA 모형


Ⅳ. 연구결과
1. 부모와 자녀의 선택 속성의 중요도

가족캠프에 참가한 부모와 자녀의 집단 간 중요도 차이는 <표 5>와 같다. 부모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은 지도자, 위치, 음식, 교육, 경제영역이었고 자녀들은 시설, 프로그램, 체험선호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중요도의 세부요인에 대한 차이는 <표 6>과 같다. 부모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은 ‘깨끗한 시설’(M=4.56, SD=.54),‘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M=4.45, SD=.63)이었다. 가족캠프가 주로 야외활동을 위주로 이루어지므로 참가 부모들은 시설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M=3.05, SD=1.04)와 ‘매점’(M=3.10, SD=.94)에 관한 중요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캠프를 통해 다른 가족을 사귀기보다는 가족구성원의 화합이나 체험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자녀의 선택속성 중요도는 ‘친절한 캠프 운영자’(M=4.56, SD=.66)와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M=4.54, SD=.69), ‘깨끗한 시설’(M=4.52, SD=.70)이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낮은 중요도를 보인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M=3.35, SD=.1.10)와 ‘다른 가족과 교류’(M=3.48, SD=1.14) 등 이었다. 부모와 자녀는 비교적 유사한 영역과 요인에 대해 가족캠프의 중요도를 고려하고 있었다.

부모와 자녀의 가족캠프에 대한 선택속성 중요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을 살펴보면 지도자영역에서는 친절한 캠프운영자(t=-2.090, p<.05), 캠프진행자수(t=4.365, p<.001)이고, 시설영역에서는 매점(t=-4.960, p<.001), 프로그램영역에서는 공예활동(t=-3.283, p<.01), 캠프화이어(t=-2.877, p<.01), 캠핑기술습득(t=-2.468, p<.05)이었다. 위치영역에서는 자연친화적 분위기(t=2.732, p<.01)이고 체험선호영역에서는 주말실시(t=3.652, p<.001), 다른 가족과 교류(t=-2.267 p<.05), 새로운 친구사귀기(t=-2.143, p<.05)로 나타났다. 음식영역에서는 식사 포함여부(t=3.614, p<.001)였고, 교육영역에서는 가치관지향프로그램(t=2.364, p<.05)에 대한 중요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경제영역에서는 캠프참가비(t=4.225 p<.001)에서 부모와 자녀의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표 5>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의 중요도
영역 부모 M(SD) 자녀 M(SD) t
지도자 4.33(.49) 4.29(.54) .523
시설 4.15(.46) 4.29(.52) -2.210*
프로그램 3.91(.51) 4.04(.59) -1.699
위치 3.86(.55) 3.82(.62) .595
체험선호 3.68(.57) 3.69(.75) -.137
음식 4.17(.68) 3.87(.83) 2.964**
교육 4.33(.66) 4.18(.83) 1.447
경제 3.67(.86) 3.22(1.05) 3.544***
*p<.05
**p<.01
***p<.001

<표 6>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의 중요도
영역 항목 부모 M(SD) 자녀 M(SD) t
지도자 자녀와 친근한 운영자, 지도자 4.38(.66) 4.36(.81) .218
친절한 캠프 운영자 4.38(.64) 4.56(.66) -2.090*
적극적 자세의 캠프 운영자 4.34(.65) 4.41(.73) -.723
능숙한 진행의 캠프 운영자 4.32(.70) 4.41(.70) -.962
캠프 진행 지도자의 인원수 4.24(.70) 3.74(1.06) 4.365***
시설 깨끗한 시설 4.56(.54) 4.52(.70) .497
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 4.45(.63) 4.52(.75) -.665
편리한 샤워장 4.37(.71) 4.34(.89) .270
캠프 내 안전 및 의료시설 4.28(.76) 4.45(.79) -1.625
텐트 이외 숙박 시설 제공여부 4.14(.77) 4.07(1.06) .607
매점 3.10(.94) 3.79(1.16) -4.960***
프로그램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4.42(.61) 4.54(.69) -1.335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4.39(.58) 4.31(.84) .889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4.13(.68) 4.22(.82) .905
선호하는 활동 선택여부 4.12(.70) 4.23(.84) -1.065
스포츠활동 4.00(.77) 4.19(.94) -1.670
공예활동 3.72(.82) 4.10(.94) -3.283**
강가(계곡)에서 활동 3.62(.89) 3.62(.98) -.042
캠프화이어 3.45(.96) 3.86(1.18) -2.877**
캠핑기술 습득여부 3.35(1.03) 3.71(1.15) -2.468*
국가/사회 공인, 인증 여부 3.92(.91) 3.71(1.18) 1.462
위치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3.75(1.00) 3.72(1.18) -1.060
가족캠프의 인지도나 명성 3.76(.96) 3.54(1.14) 1.578
캠프장 주변 강(계곡) 3.52(.88) 3.64(1.10) -.963
캠프장의 자연친화적 분위기 4.39(.60) 4.11(.97) 2.732**
캠프장 주변 숲(자연환경) 4.09(.69) 4.09(.96) .008
체험선호 가족유대 강화 4.28(.73) 4.23(.90) .477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 4.25(.85) 3.73(1.22) 3.652***
다른 가족과 교류 3.17(.91) 3.48(1.14) -2.267*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3.05(1.04) 3.35(1.10) -2.143*
음식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4.13(.85) 4.09(1.01) 1.107
식사 포함 여부 4.22(.72) 3.64(1.14) 3.614***
교육 올바른 가치관 지향 프로그램 4.40(.67) 4.16(.91) 2.364*
올바른 가치교육 여부 4.26(.78) 4.21(.88) .445
경제 캠프 참가비 3.78(.87) 3.17(1.23) 4.225***
할인 3.56(1.11) 3.28(1.16) 1.863
*p<.05
**p<.01
***p<.001

2. 부모와 자녀의 선택 속성의 만족도

가족캠프에 참가한 부모와 자녀의 집단 간 만족도 차이는 <표 7>과 같다. 부모들이 만족하고 있는 선택속성 요인은 지도자, 시설, 위치였고 자녀들은 프로그램, 체험선호, 음식, 교육이었다. 경제요인은 자녀와 부모가 동일한 수준의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부모와 자녀 집단 간 선택속성의 만족도 차이는 <표 8>과 같다. 선택속성 요인 중 부모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자녀와 친근한 운영자 및 지도자’(M=4.53, SD=.62)와 ‘친절한 캠프 운영자’(M=4.52, SD=.64)로서 가족캠프를 운영하는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에 ‘매점’(M=3.38, SD=.81)과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M=3.40, SD=.82)는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만족요인은 ‘친절한 캠프 운영자’(M=4.58, SD=.61)와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M=4.54, SD=.64)이었다. 자녀가 가장 불만족스럽게 여기는 속성은 ‘캠프 참가비’(M=3.68, SD=.97)와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M=3.51, SD=1.17)로 나타났다.

부모와 자녀의 가족캠프에 대한 선택속성의 만족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을 살펴보면 지도자영역에서는 캠프진행자수(t=2.438 p<.05)이고, 시설영역에서는 안전/의료시설(t=-2.794 p<.01), 매점(t=-3.665 p<.001)이었다. 프로그램영역에서는 즐거운 경험(t=-1.984, p<.05), 선호활동 선택(t=-3.177, p<.01), 공예활동(t=-3.175, p<.01)이었다. 체험선호영역에서는 다른 가족과 교류(t=-2.340, p<.05), 새로운 친구사귀기(t=-3.294, p<.01)였다. 음식영역에서는 식당의 질 좋은 음식(t=-2.093, p<.05)에서 선택속성 만족도가 차이가 나타났다.

<표 7>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의 중요도
영역 부모 M(SD) 자녀 M(SD) t
지도자 4.52(.57) 4.44(.60) .982
시설 4.08(.63) 4.07(.83) .062
프로그램 3.97(.60) 4.20(.57) -2.960**
위치 3.83(.59) 3.80(.72) .347
체험선호 3.47(.77) 3.80(.92) -2.933**
음식 4.07(.82) 4.19(.76) -.865
교육 4.25(.71) 4.33(.74) -.856
경제 3.70(.74) 3.70(.81) -.060
*p<.05
**p<.01
***p<.001

<표 8>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의 만족도
영역 항목 부모M(SD) 자녀M(SD) t
지도자 자녀와 친근한 운영자, 지도자 4.53(.62) 4.50(.67) .396
친절한 캠프 운영자 4.52(.64) 4.58(.61) -.690
적극적 자세의 캠프 운영자 4.45(.66) 4.48(.72) -.322
능숙한 진행의 캠프 운영자 4.39(.70) 4.54(.69) -1.530
캠프 진행 지도자의 인원수 4.51(.68) 4.58(.61) 2.438*
시설 깨끗한 시설 4.32(.67) 4.21(1.03) .891
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 4.17(.71) 4.13(1.05) .290
편리한 샤워장 3.94(1.02) 3.86(1.17) .528
캠프 내 안전 및 의료시설 4.15(.74) 4.43(.78) -2.794**
텐트 이외 숙박 시설 제공여부 4.14(.74) 4.24(.84) -.905
매점 3.38(.81) 3.85(.78) -3.665***
프로그램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4.36(.69) 4.54(.64) -1.984*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4.38(.74) 4.29(.96) .774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3.98(.79) 4.17(.90) -1.631
선호하는 활동 선택여부 4.03(.74) 4.36(.84) -3.177**
스포츠활동 4.17(.77) 4.30(.92) -1.173
공예활동 3.99(.88) 4.35(.82) -3.175**
강가(계곡)에서 활동 3.52(.94) 3.77(1.07) -1.800
캠프화이어 3.78(.80) 3.99(1.02) -1.707
캠핑기술 습득여부 3.68(.89) 3.90(1.03) -1.659
국가/사회 공인, 인증 여부 4.18(.77) 4.15(.94) .307
위치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3.72(.83) 3.51(1.17) 1.508
가족캠프의 인지도나 명성 4.14(.80) 4.07(.87) .587
캠프장 주변 강(계곡) 3.64(.86) 3.82(1.00) -1.472
캠프장의 자연친화적 분위기 4.40(.64) 4.30(.86) .956
캠프장 주변 숲(자연환경) 4.33(.75) 4.31(.84) .220
체험선호 가족유대 강화 4.31(.66) 4.28(.91) .306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 4.40(.65) 4.26(.90) 1.302
다른 가족과 교류 3.55(.88) 3.86(1.09) -2.340*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3.40(.82) 3.79(.96) -3.294**
음식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3.91(1.04) 4.18(.91) -2.093*
식사 포함 여부 4.23(.78) 4.15(.90) .720
교육 올바른 가치관 지향 프로그램 4.28(.70) 4.29(.82) -074
올바른 가치교육 여부 4.22(.76) 4.38(.76) -1.571
경제 캠프 참가비 3.82(.81) 3.68(.97) 1.115
할인 3.58(.95) 3.74(.94) -1.219
*p<.05
**p<.01
***p<.001

3. 부모와 자녀의 선택 속성의 IPA분석
1) 부모의 선택속성 IPA

가족캠프 참가한 부모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IPA 통해 분석한 결과는 <그림 2>, <표 9>와 같다.


<그림 2> 
부모 IPA 매트릭스

<표 9> 
부모 IPA 매트릭스
사분면 구분 내용 요인 항목수
1사분면 유지강화 ㉔ 자녀와 친근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㉓ 친절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㉕ 캠프를 진행하는 운영자 및 지도자의 인원수 ㉝ 적극적 자세를 가진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⑪ 캠프장의 자연친화적 분위기나 이미지 ⑯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㉞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㉜ 능숙한 진행을 하는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⑦ 가족캠프가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여부 ㉘ 올바른 가치관을 지향하는 캠프 ㉙ 올바른 가치 교육을 실시여부 ㉗가족 유대 강화 ⑩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 ㉛ 캠프 내 안전 및 의료 시설 ⑤ 식사 포함여부 ⑮캠프장 주변 숲 ⑨ 텐트 이외 숙박 시설 제공 여부 ⑧ 깨끗한 시설 지도자 5
프로그램 2
시설 4
음식 1
교육 2
위치 2
체험선호 2
2사분면 중점투자 ⑫ 편리한 샤워장 ⑥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⑱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⑲ 선호하는 활동 선택여부 프로그램 2
시설 1
음식 1
3사분면 점진적 개선 ㉒공예활동 ③ 캠프 참가비 ㉑ 캠프파이어 ⑬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㉖ 캠핑 기술 습득여부 ⑭ 캠프장 주변 강(계곡) ⑰ 다른 가족과 교류 ④ 할인 ⑳ 강가(계곡)에서 활동 ㉚ 매점 ②새로운 친구나 이웃사귀기 프로그램 4
위치 2
체험선호 2
경제 2
시설 1
4사분면 현상 유지 ① 가족 캠프의 인지도나 명성 ㊱ 국가나 사회 공인여부 인증 ㉟ 스포츠 활동 위치 1
프로그램 2

(1) 1사분면 (유지 강화)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나온 항목으로 유지·강화될 영역으로 볼 수 있는 1사분면에는 ‘자녀와 친근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친절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캠프를 진행하는 운영자 및 지도자의 인원수’, ‘적극적 자세를 가진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캠프장의 자연친화적 분위기나 이미지’,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능숙한 진행을 하는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가족캠프가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여부’, ‘올바른 가치관을 지향하는 캠프’, ‘올바른 가치 교육을 실시 여부’, ‘가족 유대 강화’, ‘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 ‘캠프 내 안전 및 의료 시설’, ‘식사 포함 여부’, ‘캠프장 주변 숲’, ‘텐트 이외 숙박시설 제공 여부’, 깨끗한 시설 등이 유지·강화 영역으로 포함되었다. 1사분면은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의 기대하는 바가 만족되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택 속성의 많은 부분을 만족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운영자는 1사분면의 속성들을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 강화 시켜야 한다.

(2) 2사분면 (중점 투자)

2사분면은 가족캠프에 참가한 부모들이 중요도는 높게 평가했지만 만족도는 낮게 평가한 영역으로 ‘편리한 샤워장’,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선호하는 활동 선택 여부’ 항목이 있었다. 2사분면에 포함되는 속성은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영역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3) 3사분면 (점진적 개선)

가족캠프에 참가한 부모들의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낮게 나타나는 영역이다. 그 속성으로 ‘공예활동’, ‘캠프 참가비’, ‘캠프파이어’, ‘집에서 수련장까지 거리’, ‘캠핑 기술 습득 여부’, ‘캠프장 주변 강(계곡)’, ‘다른 가족과 교류’, ‘강가(계곡)에서 활동’, ‘매점’,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 영역은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들이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개선이 필요하다.

(4) 4사분면 (현상 유지)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들이 중요도는 낮게 평가한 반면 만족도는 높게 나타낸 영역이다. 그 속성으로는 ‘가족 캠프의 인지도나 명성’, ‘국가나 사회 공인 여부 인증’, ‘스포츠 활동’ 등이 있다. 낮은 중요성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 영역의 경우 지속·유지해야 할 영역이지만 상황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이 항목의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폐지한다고 해도 가족캠프 참가를 만족하지 못한다.

2) 자녀의 선택속성 IPA

가족캠프에 참가 한 자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해 IP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그림 3>과 <표 10>과 같다.


<그림 3> 
자녀 IPA매트릭스

<표 10> 
자녀 IPA 매트릭스
사분면 구분 내용 요인 항목수
1사분면 유지 강화 ㉓ 친절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⑯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㉜ 능숙한 진행을 하는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㉔ 자녀와 친근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㉝ 적극적 자세를 가진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㉛캠프 내 안전 및 의료 시설 ⑲ 선호하는 프로그램 선택여부 ㉙ 올바른 가치 교육 실시 여부 ㉒ 공예활동 ㉟ 스포츠 활동 ⑪ 캠프장의 자연 친화적 분위기나 이미지 ⑮ 캠프장 주변 숲 ㉞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㉗ 가족 유대강화 ㉘ 올바른 가치관을 지향하는 캠프 ⑨ 텐트 이외 숙박시설여부 ⑱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⑥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⑧ 깨끗한 시설 프로그램 6
지도자 4
교육 2
음식 1
시설 3
위치 2
체험선호 1
2사분면 중점 투자 ⑫ 편리한 샤워장 ⑩ 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 시설 2
3사분면 점진적 개선 ⑬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③ 캠프 참가비 ④할인 ②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㉚ 매점 ⑳ 강가(계곡)에서 활동 ⑰ 다른 가족과 교류 ⑭ 캠프장 주변 강(계곡) ⑤식사포함여부 ㉖ 캠핑기술 ㉑ 캠프파이어 ① 가족캠프의 인지도나 명성 ㊱ 국가나 사회공인 및 인증여부 경제 2
프로그램 4
체험선호 2
위치 3
음식 1
시설 1
4사분면 현상 유지 ㉕ 캠프를 진행하는 운영자 및 지도자의 인원수 ⑦ 가족캠프가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 여부 지도자 1
체험선호 1

(1) 1사분면(유지 강화)

가족캠프에 참가한 자녀 선택속성의 중요도가 높고 만족도도 높은 영역이다. 그 속성들은 ‘친절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능숙한 진행을 하는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자녀와 친근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적극적 자세를 가진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캠프 내 안전 및 의료 시설’, ‘선호하는 프로그램 선택 여부’, ‘올바른 가치 교육 실시 여부’, ‘공예활동’, ‘스포츠 활동’, ‘캠프장의 자연 친화적 분위기나 이미지’, ‘캠프장 주변 숲’, ‘가족 모두 참여하는 활동’, ‘가족 유대강화’, ‘올바른 가치관을 지향하는 캠프’, ‘텐트 이외 숙박시설여부’,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 ‘깨끗한 시설’, ‘텐트 이외 숙박시설 제공 여부’ 등이 있다. 자녀가 부모에 비해 1사분면의 속한 선택속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캠프 운영자는 이 속성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강화를 해야 한다.

(2) 2사분면(중점 투자)

가족캠프에 참가한 자녀의 선택속성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영역으로써 중점적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한 영역이다. 개선이 필요한 속성은 ‘편리한 샤워장’, ‘캠프 내 쾌적한 화장실’이다. 특히 야영장 내 샤워장은 부모와 자녀 모두 불만족한 속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야영장 내 샤워장 시설에 대한 시설적인 문제와 불편한 구조가 있는지 점검하여 철저한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3) 3사분면(점진적 개선)

가족캠프 참가 한 자녀의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낮게 나타난 속성으로는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캠프 참가비’, ‘할인’,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강가(계곡)에서 활동’, ‘다른 가족과 교류’, ‘캠프장 주변 강(계곡)’, ‘매점’, ‘캠핑 기술’, ‘캠프파이어’, ‘가족캠프의 인지도나 명성’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중요도는 낮지만 향후 중요하게 발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다.

(4) 4사분면 (현상 유지)

자녀의 선택속성 중요도는 낮지만 만족도는 높은 영역으로써 ‘진행하는 운영자 및 지도자의 인원수’, ‘가족캠프가 주중이 아닌 주말 실시 여부’ 등이 있다. 대부분이 자녀가 재학 중인 것을 감안하면 가족 캠프의 운영이 주말에 실시되는 것을 현상 유지해야 할 속성으로 사료된다.

3)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 IPA 비교

본 연구는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을 비교했을 때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부모와 자녀 모두 지도자 영역 요인과 관련된 부분들이 잘 운영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가족캠프 운영자의 교육과 자질을 갖춘 전문 캠프 지도사 배치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 영역요인은 두 집단 모두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속성이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유지·강화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부모는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 ‘선호하는 활동 선택 여부’는 자녀에 비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중점·투자 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도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시설 영역 요인에서 부모와 자녀 모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는 속성으로는 ‘캠프장 내 샤워장’, ‘캠프장 내 화장실’, ‘깨끗한 시설’로 나타났는데, 이는 향후 시설에 대한 개선과 관리가 더 잘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넷째, 교육 영역 요인에 대해 부모와 자녀 모두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에게 특성화 캠프인 가족캠프의 비전과 목표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다고 보여 진다. 앞으로도 기관의 가치관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 강화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음식 영역 요인을 살펴보면 부모와 자녀가 다르게 평가하고 있다. 부모는 자녀에 비해 음식 영역 요인에 대해 만족도가 낮음을 고려할 때 식사 제공 시 부모 취향의 식단을 고려해야 하며, 앞으로 가족 전체에 질 높은 음식을 제공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체험활동 영역 요인으로는 부모와 자녀 모두 이웃과 교류나 새로운 친구 사귀기 같은 항목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가족캠프 참가 시 가족 중심의 교류를 더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위치 영역 요인으로 부모와 자녀 모두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자녀 모두 캠프장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이나 염려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여덟째, 경제 영역 요인은 부모와 자녀 모두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은 점진적 개선 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으로, 가족캠프 참가 시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가지고 있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현행 캠프 참가비 비용이 적절한 수준임을 시사해준다. 캠프 운영자 관점에서는 가족캠프 참가비 할인에 치우치지 말고 멤버십이나 기념품 제공같이 다양한 할인 정책을 통해 지속적인 참가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가족 캠프에 참가하는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 조사와 분석을 통해 가족캠프 참가자들의 기대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적합한 가족캠프의 요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캠프 참여자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를 이용하여 가족캠프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요인과 필수요인을 분석하는 방법인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먼저, 부모는 캠프의 시설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녀는 지도자 속성과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는 ‘자녀와 친근한 운영자 및 지도자’와 ‘친절한 캠프 운영자’를 만족하고 있었고, 자녀는 ‘친절한 캠프 운영자’와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속성을 가장 만족하고 있었다. 김지연(2010)의 연구에서도 청소년들은 새롭고 신기한 경험을 중요한 재참가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셋째, 부모와 자녀의 IPA 분석 결과는 크게 4가지 분면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1사분면은 유지, 강화 국면으로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분면으로써, 자녀와 친근한 운영자 및 지도자, 친절한 캠프 운영자 및 지도자,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 깨끗한 시설, 올바른 가치관을 지향하는 캠프, 올바른 가치교육을 실시 여부가 포함되어 있다.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2사분면은 중점 투자 부면으로써 중요도는 높고 만족도는 낮은 분면으로써, 편리한 샤워장이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3사분면으로는 점진적 개선 분면으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분면으로써, 강가에서 활동, 집에서 수련원까지 거리, 캠프장 주변 강, 다른 가족과 교류, 새로운 친구나 이웃 사귀기, 캠프 참가비, 할인이 포함되어 있다.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4사분면 현상 유지 부면에서는 공동된 영역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IPA분석에서 부모와 자녀의 상이한 요인은 부모는 ‘캠프를 진행하는 운영자 인원수’ 속성을 유지 강화 분면에 나타냈지만, 자녀는 현상 유지 분면에 나타냈다. 즉, 이는 부모와 자녀 모두 가족캠프 운영 인원에 대한 만족하고 있지만, 자녀는 캠프 운영자 인원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 요인에 있어서도 부모는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선호하는 활동 선택 여부’를 중점 투자 부면에 나타냈지만 자녀는 유지 강화 분면에 나타냈다. 이 결과는 부모들이 참가할 만한 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활동 프로그램 운영이 자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설 영역 요인에서 부모는 ‘캠프 내 깨끗한 화장실’이 유지, 강화에 분면에 포함되었으나, 자녀는 중점 투자 분면에 나타났다. 특히 야영장에서 숙박하는 자녀는 공공 화장실의 관리 상태나 시설의 위생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음식 영역 요인은 부모는 ‘식당의 맛있고 질 높은 음식’을 중점 투자 영역에 나타냈지만, 자녀는 유지 강화 영역에 나타냈다. 자녀에 비해 음식 영역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음을 고려해서 가족 전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식단 개발이 요구된다. 위치 영역 요인에서 부모는 ‘가족 캠프의 인지도나 명성’을 현상유지 영역에 나타냈고 자녀는 점진적 개선 영역에 나타났다. 부모와 자녀 모두 가족캠프 참가에 있어서 지리적 위치는 개의치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진행되는 가족캠프에 대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캠프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대상 맞춤형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Cronin & Taylor(1994)는 만족이 고객의 구매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가족캠프 참가에 있어서 부모는 시설 요인을 중요시하는 반면 자녀는 지도자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캠프 운영자는 부모와 자녀 선택속성의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에 세대 간 선택속성의 차이를 인식하고 가족캠프 참가자에게 적합한 가족캠프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와 자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 가족캠프의 전반적인 선택속성에 따른 정보 제공은 부모와 자녀 세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거라 사료된다. 둘째, 가족캠프 참가자의 기대와 요구를 포괄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조사와 평가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부모와 자녀의 선택속성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해 일률적으로 평가하여 캠프 운영에 반영한다면, 예산과 자원이 과잉 투자되거나 중복되어 쓰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예산집행의 효율성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도자 역량 강화를 위해 가족캠프 전담 전문 지도자를 확보하고 배치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자녀 모두 지도자 요인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족캠프에서 캠프 지도자의 자질과 역량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전문 청소년지도사의 배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직무 능력 이외에도 야외활동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캠프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참가하는 활동이므로 캠프 지도자들은 가족 유대를 강화하는 방법과 상담자적 기술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Alayne Torretta, 2007). 넷째, 가족캠프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모들이 가족캠프를 통해 이웃과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IPA 분석 결과에서는 체험 선호요인의 세부 특성으로 ‘새로운 친구사귀기’와 ‘다른 가족과 교류’가 낮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로 점진적 개선의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이는 캠프를 통한 다양한 인간관계 형성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외국 사례와 비교해 볼 때, 향후 우리나라의 가족캠프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 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친구사귀기와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위한 활동프로그램 구성과 진행을 위한 준비가 요구된다. 다섯째, 지속적인 IPA 분석을 사용하여 2사분면에 위치한 속성들에 대한 중점 투자가 필요하다. 부모와 자녀의 중점 투자 영역으로 나타난 캠프장 내 샤워장과 화장실 등이 시급히 개선이 되어야 하며, 가족캠프 운영 기간 중 관리자를 배치하여 청결하게 관리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들이 선호하는 식단을 제공하고 부모의 연령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선호하는 활동 선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중점 투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지만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가족캠프에 참가한 자녀의 응답의 대부분이 초등학생이기 때문에 자녀 선택속성의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가 국립시설에서 운영하는 가족캠프에 참여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연구결과로 제시된 선택속성을 다양한 민간 시설에 일반화 시켜 적용하기는 어렵다. 셋째, 가족캠프에 참가하는 가족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이혼가족, 한 부모 가족, 재혼 가족, 양육 미혼모 가족 등 가족 형태에 따른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라 만족할 수 있는 가족캠프를 실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조성훈의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활용하였음.


References
1. 구창모, 신선미, (1995), 가족캠프활동 개발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개발보고서, p1-96.
2. 김병삼, (1998), 관광지의 서비스품질 향성에 관한 연구: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기법 적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성권, (2013), 오토캠핑장 선택속성이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지연, (2010), 과학캠프 인식과 효과성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태경, 선종갑, (2006), 관광호텔 식음료 업장 이용고객 특성에 따른 와인 선택속성 연구, 동국아 관광연구, 7(1), p111-131.
6. 김혜경, (2004), 자원봉사 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특성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p141-156.
7. 문숙재, 윤소영, 윤지영, (2005), 가족여가의 의미와 동기에 따른 여가 만족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p31-39.
8. 박정화, 조영현, (2010), 경제적 지위와 화페 태도에 따른 소비성향 및 여행상품 선택속성 차이 연구, 한국관광학회, 3(80), p191-213.
9. 방진식, 최태호, 전진화, (2006), 와인 소비자의 선택속성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2(2), p88-105.
10. 신연희, (2013), 수용자 가족캠프의 운용과 가족건강성 효과 평가, 한국교정학회, (59), p103-126.
11. 심상진, 김재환, (2009), 주말 골프 참가자의 가족여가 경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지, 33(4), p199-208.
12. 서진우, 이희잔, (2007),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객의 중요도-만족도 불일치가 구매행동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 레저연구, 19(2), p265-282.
13. 오윤자, 박선민, 배지영, (2009), ‘수용자 가족 지원 프로그램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4. 오희균, 정규엽, (2013),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의 중요도-실행도 불일치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7(5), p153-170.
15. 유정우, (2011), 주5일제 시행 확대와 가족여가 활성화, 부산발전연구원, 120, p1-12.
16. 윤소영, (2009),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p189-201.
17. 이승호, (2005), 가족캠프 이론 및 모델 개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임광진, (1996), 청소년을 위한 가족캠프의 역할과 프로그램의 추진방향, 한국가족복지학, 1, p172-183.
19. 정대영, 하창완, 양미희, (2015), 장애학생의 수련·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 수련활동, 가족캠프, 통합캠프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7(3), p95-123.
20. 정오, (2014), 중국관광객의 관광기념품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및 관광만족도 간 영향,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지영숙, 이태진, (2001), 도시가정의 가족여가 유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p153-165.
22. 진양호, (2000), 패밀리레스토랑의 선택속성과 재방문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6(2), p157-173.
23. 최성희, (2015),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영향력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정숙, 전명희, 양혜원, 김희수, (2015), 이혼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가족캠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3(1), p23-53.
25. 통계청, (2013), 청소년종합실태조사.
26. 홍성희, (1996), 주부의 가족여가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p71-84.
27. Abalo, J., Varela, j., & Manzano, V., (200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formula for spreading out values derived from perference ranking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 p115-121.
28. Agate, S., & Covey, C., (2007), Family Camps: an Overview of Benefits and Issues of Camps and Programs for Families, 16(4), p921-937.
29. Agate, S., (2010),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ssues camp providers face when providing family camp programs, Camping Magazine.
30. Anderson, D., (1974), The family growth group: Guidelines for an emerging means of strengthening families, Family Coordinator, 23(1), p7-13.
31. Barry, A., (2012), Family Camp impacts on Family Functi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6(6), p491-498.
32. Clark, J., & Kempler, H., (1973), Therapeutic family camping: A rationale. Family Coordinator, 22(4), p437-442.
33. Covey, C., (2010), A Consumer-based Evalution of a Family Camp,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34. Cronin., J. J. Jr., & Taylor, S A., (1994), SERVPERF versus SERVQUAL : Reconciling Performance Based and Perceptions – Minus - Expectations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58(1), p125-131.
35. Garst, B., & Roggenbuck, J., (2010), Exploring early twenty-first developed forest camping experiences and meanings, Leisure Sciences, 32, p90-107.
36. Hill, M. S., (1988), Marital stability and spouses shared time, Journal of Family, 9, p427-451.
37. Kotler, P., Bowen, J., & Kakens, J., (1996), Marketing for Hospitality and Tourism, New Jeersey, Prentic-Hall Inc.
38. Ma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p77-79.
39. Mengak, K., Dottavio, F., & O'Leary, J., (1986), Use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evaluate a visitor center, Journal of interpretation, 11(2), p1-13.
40. Oliver, j., & Desarbo, W., (1988), Response determinants in satisfaction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p495-507.
41. Rohnke, K., (2007), Quicksilver, Dubuque, IA: Kendell/Hunt Publishing Co.
42. Shaw, S. M., (1997), Controversies and contradictions in family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1), p98-122.
43. Shaw, S. M., & Dawson, D., (2010), Purposive leisure: examining parental dis courses on family activities, leisure sciences, 23, p217-231.
44. Taylor, S., Covey, J., & Covey, C., (2006), Family camps: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hips at camp and at home, Camping Magazine, 79(4), p29-35.
45. Tercan, E., (2015), An Examin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Family Assess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86, p58-63.
46. Zabriskie, R., & Cormick, B., (2003), Parent and child perspective of family leisure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5(2), p165-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