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41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41, pp. 111-131
Abbreviation: Forum for Youth Culture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Jan 2015
Received 30 Nov 2014 Revised 16 Dec 2014 Accepted 22 Dec 2014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5.01.41.111

주5일 수업제도 도입 이후 청소년활동의 변화 양상과 대응방안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민희* ; 강병노**
*평택대학교 청소년복지학과 부교수, 교신저자.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A Study on Policy and the Changeable Status of Youth’s Activities Since Whole Enforcement of 5 Days a Week School System : Focused on Gyeonggi Province
Lee, Min-Hi* ; Kang, Byeongro**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and Youth Welfare, Pyeongtaek University
**Ph.D., Catholic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초록

본 연구는 주5일 수업제도에서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를 파악하고 정책대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2013년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실시한 경기지역 청소년 여가활동 실태조사를 활용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1, 2학년 청소년 780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말에 참여하는 주요 여가활동은 봉사, 문화예술, 스포츠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의 주5일 수업제도 이후에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로는 가족과의 동반시간 증가, 학교생활 즐거움, 친구만남의 확대 등이었다. 반면에 혼자 있는 시간, 사교육시간, 학업 스트레스는 지속되거나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여가활동의 문제점으로는 재미부족, 홍보미흡, 참가비용, 낙후된 시설환경 등이 제기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5일 수업제에서 가족, 학생생활, 친구관계 친화적인 청소년 활동의 활성화, 다양한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 극대화, 창의성과 다양성 증진을 위한 여가활동의 개발, 학교와 청소년활동 기관의 변화와 긴밀한 연계 및 협력 등을 주요 정책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lternatives on social policy and scrutinize the practical conditions of Gyeonggi Province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time at weekend and search the suggestions for leisure activities, since the enforcement of 5-days-a-week school system. For achieving this goals, the authors used the 2013 Survey on leisure activity of youth in Gyeonggi Youth Activity Promotion Center, which surveyed 78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By sequenc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First, youth mainly participated in voluntary activity, art and culture, sports in weeke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ime for leasure increased generally after whole enforcement of 5 days a week school system. The positive change in youth were frequence of activity with family, pleasure in school life, rising opportunity of meeting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hindered good use of their leisure time for youth development due to strenuous academic stress. In addition, introduction of 5-days-a-week school system demonstrated various problems of youth activi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suggestion of authors include collaboration of school and youth activity agency, family-oriented youth activity, and maximization of agency for youth developing of creative youth activity.


Keywords: 5 days a week school system, leisure time, youth activity, policy for youth activity
키워드: 주5일 수업제도, 여가시간, 청소년활동, 청소년활동정책

I. 서 론

정부는 2012년부터 주5일 수업제도를 초·중·고 학교에 전면적으로 시행하였다. 이로서 전국의 청소년들은 일주일에 두 번 즉, 토요일과 일요일을 휴일로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일주일에 휴일이 하루 더 늘어난 것이 청소년들에게 주는 의미는 적지 않다. 시간이라는 것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의미가 각기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가시간 동안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가에 따라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가는 청소년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Wankel, 1994).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도 하루 더 늘어난 휴일은 사용하기에 따라 말 그대로 그들에게 쉬는 날이 될 수도 있고, 학교에서의 방과후학교가 다른 형태로 연장되는 것일 수도 있다. 말하자면, 토요일 하루를 휴일로 가지게 된 청소년들은 늘어난 휴일을 자신만의 여가시간으로 활용하여 보낼 수도 있지만, 학원 등의 사교육 시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상황이 전개된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상황의 변화 시점에서 수행되었던 2012년도 경기지역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에 관한 실태조사(경기도활동진흥센터, 2012) 결과는 이에 관하여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조사결과 중에서 가장 주목의 대상이었던 내용으로는 주5일제 수업제도가 전면적으로 도입된 이후에 늘어난 시간이 과연 청소년 자신들이 여가를 즐기기 위한 시간으로 활용될 것인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와 함께 반대 의견으로 제시되었던 사교육 증가의 예측이 맞을 것인가에 관한 것도 학자들의 관심이었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주5일 수업제도 도입이후 여가시간이 더 많아졌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46,6%로 나타났고, 이에 비해 사교육 시간이 늘어났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그 보다 적은 35,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차분석의 결과에서 응답자 중 80%에 해당하는 중하위권 성적의 학생들은 대체로 주5일 수업제도의 전면 시행이 자신들에게 여가활동의 기회로 주어졌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볼 때에 새롭게 학교에 도입된 주5일 수업제도가 전반적으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위의 실태조사에서 보이고 있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응답결과는 주5일 수업제도의 도입 이후 늘어난 여가시간에도 불구하고 주말에 특별히 하는 일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전체의 25%로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발달 특성 상 가장 활발히 활동을 하여야 할 연령대에 있는 청소년들이 4명에 1명 비율로 자신들에게 주어진 여가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현재 한국의 청소년들이 얼마나 무기력하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증거이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발달적 실태는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이로부터 청소년들의 각종 이상발달 현상인 낮은 자존감, 우울증, 인터넷 및 게임 중독, 학교부적응, 학업중단, 자살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매우 주목받아야 할 비판적 상황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조사결과로는 응답 청소년들이 휴일이 하루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반수에 가까운 45.2%가 가장 선호하는 여가활동 장소로 집을 선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반면에 주말에 청소년수련시설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비율은 9.3%에 불과해 경기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청소년수련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라고 할 때에 이러한 결과가 국가 청소년정책에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5일 수업제도가 전면적으로 도입이 되어 청소년들에게 여가시간이 더 주어지는 상황 변화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밖에서 청소년활동이 매우 부진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필요성과 함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는 경기지역 청소년활동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I. 이론적 배경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주5일 수업제도 도입과 청소년 여가활동의 관계가 논의되기 시작한 (이철원·이만형, 2001; 김호순, 2005; 조용하, 2006; 부귀현·양명환, 2006; 이미은, 2008,; 이영주, 2012) 2000년 이후부터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이들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여가활동에 대한 실태조사가 수행되기는 하였으나 연구의 주제가 실태조사 자체에 있지 않아 다소 미흡하게 다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주5일 수업제와 연계하지 않고 청소년 여가활동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는 지금까지 적지 않았으나(유복현, 1991; 김정임, 2001; 이기수, 2002; 김종천, 2005), 제도 도입에 따라 실태조사를 주된 연구주제로 한 연구들은 많지 않았다(조수정; 2006, 강영일; 2007, 이남정; 2007; 문성호·문호영, 2010). 외국의 유사사례 연구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산하 참교육연구소의 외국에서의 주5일제 운영에 관한 연구(전교조 참교육연구소, 2004)와 일본의 사례(하윤수, 2004;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2007; 김지은, 2008; 김기용, 2011)가 있고, 주요 외국의 초등학교 사례에 관한 연구(신문승, 이주영, 권동택, 2011) 등으로 제한되어 있다. 주5일 수업제도가 전면적으로 도입된 직후 최근 의미있게 연구된 것들로는 실태조사와 함께 수행된 청소년활동의 활성화 방안 연구와(맹영임·이광호·이진원, 2012),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지역 청소년들의 제도 시행 후 여가시간 활용 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민희, 2012), 그리고 주5일 수업제로 인해 나타난 청소년의 시간사용량과 시간배분의 변화를 분석하고, 제도 도입의 효과를 노동경제적 관점에서 평가한 흥미있는 연구와(이용관, 2014), 주5일 수업제도 실시에 따른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한 교육활동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변정희, 2014)를 들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주 5일 수업제도가 청소년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주5일 수업제가 청소년 가족생활, 학교생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김성태, 2010), 가족 유대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미치거나(김의진·원형중, 2013), 주5일 수업제가 청소년의 심신의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남랑균·임수원, 2005).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활동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정리해보면 긍정적 및 부정적인 기대효과가 함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긍정적인 면에서는 스트레스 감소, 가족관계 증진, 정신건강, 자존감 증진 등이 있지만 반면에 부정적인 차원에서는 사교육 증가, 혼자 있는 시간 많고, 시설이용과 프로그램의 미흡 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미은·안권순(2010)의 지적처럼 주 5일 수업제에 맞추어 프로그램의 개발, 시설환경의 확충과 개선, 홍보의 강화 등이 정책과제로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주5일 수업제도가 전면적으로 도입된 이후 그 해에 수행된 경기도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 실태조사(경기도활동진흥센터, 2012)를 기초로 2013년에 청소년들에게 주어진 늘어난 여가시간에 청소년들의 활동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즉, 2012년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라 할 수 있는 여가 및 사교육 시간의 증가와 여가시간이 늘어났음에도 집에만 머무르고 있는 청소년들의 무기력한 상황 속에서 과연 그들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욕구들은 무엇인지, 청소년활동의 현장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실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변화를 분석하여 새로운 주5일제 수업제도의 도입 이후 청소년활동에 대한 변화 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의 조사대상에서 모집단은 청소년기본법에 의거해서 9~24세에 해당하는 경기도 지역 청소년 2,539,169명으로 설정하였다(경기통계. 2011년 기준)(경기도, 2013). 세부적으로 연구모집단으로 여가시간 활용과 여가활동을 주로 하는 연령으로 중학교 학생 482,170명(2011년 기준)으로 범위를 조정하였다(경기도교육청, 2014). 이 중에서 여가활동의 수준과 현황을 감안하여 중학교 3학년을 제외한 중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표집오차와 표본수를 고려하여 120%까지 예비표본이 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연구모집단 중 약 0.2%인 표본 수 780명이 조사되어 자료 분석에 투입되었다. 표집방법은 경기도 지역 인구수 대비 지역별 할당으로 하기 위해서 비확룔표집의 비례할당표집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2. 연구내용

연구내용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학년, 가정경제수준, 학업성적, 부모님 맞벌이여부로 구성하였다. 청소년의 여가활동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내용으로는 청소년 여가활동 유형(건강보건활동 등 총 10개 유형), 참여정도(10개 여가활동 유형의 참여 횟수), 주말 여가활동 시간, 여가활동 비용, 청소년 여가활동 시설별 이용도(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총 11개), 희망하는 여가활동 유형이 포함되었다. 청소년 여가활동 변화 양상에는 주말과 방학에의 활동 참여 시간, 학교 내 활동, 사교육, 가족, 학업성적, 학업스트레스, 집에 혼자 있는 시간, 학교생활의 즐거움, 친구 만남의 기회 등의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청소년 여가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포함되었다.

3. 자료수집

조사는 2013년 7월에서 8월까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지로 조사를 한 후 설문지를 수거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조사는 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조사할 때 효과적인 방법으로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협조를 받아 경기도 소재 중학교들을 중심으로 조사가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학생들이 직접 기입하는 방식인 자기기입식 방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을 활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방법과 설문내용에 대해서는 조사를 담당하는 선생님에게 충분한 사전안내와 정보가 제공되었다. 자료수집결과 경기도 31개 시·군·구 중 고양시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1개 지역을 제외하고 적절한 자료수집이 되었지만 고양시를 제외한 대표성의 문제, 배포 후 수거조사를 통한 비표집오차 등은 연구의 한계로서 후속연구에서 보완이 필요하다.

4. 분석방법

수집된 설문지는 자료검토와 전산코딩을 통해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통계분석 소트프웨어로는 SPSSWIN 20.0이 사용되었다. 여가활동의 실태와 현황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중복응답분석, 가중치를 적용한 우선순위 분석이 수행되었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특성별로 파악하기 위해서 교차분석과 X2 검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주 5일 수업제도의 전면 시행 이후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이 인구특성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t-test와 ANOVA 분석이 이루어졌다.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에 응답한 청소년의 성별은 아래의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여학생 56.2%, 남학생이 43.8%이다. 학년은 중학교 1학년은 50%, 중학교 2학년이 50%였다. 가정경제수준은 보통이 60.3%이며 잘산다는 29.6%, 어렵다는 10.1%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업성적은 ‘상’이 21.6%, ‘중’이 66.1%, ‘하’가 12.2%의 분포를 보였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구특성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학생 341 43.8
여학생 438 56.2
합계 779 100.0
학년 중학교 1학년 389 50.0
중학교 2학년 389 50.0
합계 778 100.0
가정경제수준 잘 산다 231 29.6
보통이다 470 60.3
어렵다 79 10.1
합계 780 100.0
학업성적 168 21.6
513 66.1
95 12.2
합계 776 100.0
부모님 맞벌이여부 부모님 맞벌이 520 66.7
부모님 맞벌이 안함 260 33.3
합계 780 100.0

응답청소년 부모의 맞벌이 여부는 부모 모두 직업이 있어서 맞벌이 하는 경우는 66.7% (520명)이고 맞벌이를 안하는 경우(부모 중 1명만 직업이 있거나 없는 경우)는 33.3%(260명)로 나타나서 맞벌이를 하는 가족이 더 많았다. 전반적으로 응답한 청소년의 특성이 부모가 맞벌이를 하고, 보통이상의 가정경제수준인 가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주5일 수업제도와 청소년활동의 변화 실태
1) 청소년활동의 유형과 참여정도

아래의 <표 2>는 학교 밖 청소년활동의 참여유형을 알 수 있는 중복응답분석 결과로 응답자 780명 중 무응답 390명을 제외한 390명이 총 516개의 중복응답을 하였다. 참여유형은 청소년수련활동인증에 따른 분류로 주로 봉사활동(34.1%), 문화예술활동(20.2%), 스포츠활동(14.3%)이 많았으며 직업체험활동(8.1%), 과학정보활동(5.8%), 모험개척활동(5.2%), 환경보존활동(3.7%), 건강보건활동(3.3%), 인성계발활동(3.1%), 국제교류활동(2.1%) 순으로 나타났다.

<표 2>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여유형
항목 응답 사례백분율
응답개수 백분율
건강보건활동 17 3.3% 4.4%
과학정보활동 30 5.8% 7.7%
국제교류활동 11 2.1% 2.8%
모험개척활동 27 5.2% 6.9%
문화예술활동 104 20.2% 26.7%
봉사활동 176 34.1% 45.1%
직업체험활동 42 8.1% 10.8%
환경보존활동 19 3.7% 4.9%
인성계발활동 16 3.1% 4.1%
스포츠활동 74 14.3% 19.0%
합계 516 100.0% 132.3%

아래의 <표 3>은 위의 청소년활동 유형들에 대해 참여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1개의 활동유형에 참여하는 비율이 79.2%로 가장 많았으며 2개는 13.6%이고 평균은 1.3개(표준편차: 0.75)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에 청소년들은 다양한 청소년활동 유형들 중에서 주로 봉사, 문화예술, 스포츠 등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활동에의 참여정도도 낮은 편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에게 다양하고 활발한 여가활동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표 3> 
청소년 여가활동 참여정도 (무응답: 390명)
항목 빈도(명) 백분율(%)
1개 309 79.2
2개 53 13.6
3개 17 4.4
4개 5 1.3
5개 6 1.5
합계 390 100.0

2) 청소년 여가활동 이용현황

아래의 <표 4>는 청소년 여가활동 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중요한 활동시간, 비용, 활동시설 이용도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빈도를 보면 청소년의 주말 청소년 활동 시 일일 평균 시간은 주로 0-1시간(33.6%), 1-2시간(31.8%), 2-3시간(22.6%), 3-4시간(4.7%), 4-5시간(3.6%), 6시간이상(3.8%)로 제시되었다.

<표 4> 
여가활동 시간과 비용
구분 항목 빈도(명) 백분율(%)
여가활동 시간
(무응답: 9명)
0-1시간 259 33.6
1-2시간 245 31.8
2-3시간 174 22.6
3-4시간 36 4.7
4-5시간 28 3.6
6시간이상 29 3.8
합계 771 100.0
여가활동 비용
(무응답: 12명)
무료(정부지원) 386 50.3
2만원미만 214 27.9
2-4만원미만 120 15.6
4-6만원미만 23 3.0
6-8만원미만 17 2.2
8만원이상 8 1.0
합계 768 100.0

분석결과에 따르면 응답청소년들의 주말 일일 평균 여가활동시간은 1시간 내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교차분석과 X2 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X2=15.396, p<0.05), 가정경제수준(X2=36.663, p<0.001), 학업성적(X2=31.195, p<0.01)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주말 청소년 활동이 성별, 가정경제수준, 학업성적에 따라 여가활동의 시간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주 5일 수업제 실시 이후 주말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 성별, 가정경제수준, 학업성적에 따라 이용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가정경제수준이 낮고 학업성적이 떨어지는 학생들의 활동시간이 적은 것을 고려할 때 이런 학생들에 대한 가정, 학교, 사회의 집중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청소년이 주말 여가활동에 한번 참가하는 비용에 관하여 적정한 수준을 물어보았을 때에 주로 무료(정부지원)이거나(50.3%), 2만원 미만(27.9%)이며 그 외에 2-4만원(15.6%), 4-6만원(3%), 6-8만원 이상(2.2%) 등의 결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요구하는 적절한 청소년활동에의 참가비용이 구체적으로 무료나 2만원 미만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교차분석과 X2 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X2=31.784, p<0.001, 학업성적(X2=18.951, p<0.05)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표 5> 
청소년활동 관련시설별 이용도
항목 사례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695 1.00 3.00 1.10 .33
청소년수련관 693 1.00 3.00 1.42 .61
청소년문화의집 710 1.00 3.00 1.38 .59
청소년수련원 696 1.00 3.00 1.34 .53
유스호스텔 686 1.00 3.00 1.23 .46
야영장(캠프장) 702 1.00 3.00 1.38 .58
청소년공부방 697 1.00 3.00 1.36 .60
청소년상담복지센터 688 1.00 3.00 1.14 .37
지역아동센터 693 1.00 3.00 1.12 .36
구민문화/체육센터 697 1.00 3.00 1.32 .59
문화예술회관 703 1.00 3.00 1.39 .62

위의 <표 5>에서는 여가활동 시설별 이용도를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이 1.10~1.42로 대부분 시설들에 관하여 잘 모르거나 낮은 이용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청소년활동 관련시설의 인식도도 낮은 수준이며 이용률도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활동 관련시설들에 대한 인식도와 이용률 제고를 위한 홍보의 강화와 청소년들의 욕구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의 정책이 요구된다.

3) 희망하는 청소년활동의 유형

아래의 <표 6>에서는 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참가하고 싶은 청소년활동들에 관하여 가중치를 추가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순위는 문화예술활동, 2순위는 봉사활동, 3순위는 모험개척활동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직업체험활동(4위), 스포츠활동(5위), 국제교류활동(6위) 등의 순으로 제시되었다. 이로서 주5일 수업제 도입 이후 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참가할 수 있는 활동 중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문화예술활동, 봉사활동, 모험개척활동 그리고 직업체험활동, 스포츠활동인 것을 알 수 있다. 앞의 <표 2>에서는 청소년들이 여가시간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활동이 주로 봉사활동, 문화예술활동, 스포츠활동 등이었는데 적극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활동으로는 모험개척활동과 직업체험활동이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6> 
희망하는 청소년활동의 유형
항목 1순위 2순위 3순위 가중치 점수 순위
빈도(명) 백분율(%) 빈도(명) 백분율(%) 빈도(명) 백분율(%)
건강보건활동 38 5.2 29 4.0 38 5.2 210
과학정보활동 86 11.7 58 8.0 44 6.1 418
국제교류활동 93 12.7 45 6.2 65 9.0 534
모험개척활동 96 13.1 116 16.0 71 9.8 638 3위
문화예술활동 172 23.4 106 14.6 86 11.9 814 1위
봉사활동 48 6.5 103 14.2 80 11.0 743 2위
직업체험활동 77 10.5 119 16.4 132 18.2 601
환경보존활동 4 .5 31 4.3 38 5.2 112
인성계발활동 15 2.0 43 5.9 78 10.8 209
스포츠활동 105 14.3 76 10.5 93 12.8 560
합계 734 100.0 726 100.0 725 100.0 - -
* 무응답: 46/54/55, 가중치점수: (1순위 빈도×300%)+(2순위 빈도×200%)+(3순위빈도×100%)

3. 청소년의 여가활동 변화 양상

주 5일 수업제 이후 주말이나 방학 중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에 대해 빈도 분석을 한 결과는 아래의 <표 7>에 잘 나타나 있다. 긍정적인 응답인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를 기준으로 보면 전반적으로 주말 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의 증가(19%), 방학기간 활동 참여시간 증가(16.7%), 학교 내 활동 확대(15.3%) 등 긍정적인 응답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족과 보내는 시간의 증가(29.2%), 학교생활이 보다 즐거워짐(27.4%), 친구 만남의 기회 확대(33.3%) 결과를 보면 비교적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주 5일 수업제 이후 가족과 보내는 시간과 친구 만남의 기회가 확대되고 학교생활도 즐거운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특히 가족과의 시간 증가는 부모들의 주 5일제 근무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업성적도 그다지 하락(7.9%)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증가되고(19.2%), 사교육 시간도 증가하며(30.9%), 학업 스트레스 감소가 낮은 수준(19.8%)임을 볼 때에 주 5일 수업제도의 전면적 도입 이후에도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7>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
항 목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합계
% % % % % %
주말 참여시간 증가 73 9.7 207 27.4 332 43.9 121 16 23 3 756 100
방학 참여시간 증가 87 11.5 195 25.9 346 45.9 108 14.3 18 2.4 754 100
학교 내 활동 확대 64 8.6 185 25 378 61.1 96 13 17 2.3 740 100
사교육 시간 증가 62 8.3 149 19.9 307 40.9 195 26 37 4.9 750 100
가족과의 시간 증가 43 5.7 154 20.6 333 44.5 168 22.4 51 6.8 749 100
학업성적 하락 103 13.7 260 34.7 328 43.7 51 6.8 8 1.1 750 100
학업스트레스 감소 77 10.3 203 27 322 42.9 118 15.7 31 4.1 751 100
집에 혼자 시간 증가 62 8.3 204 27.2 339 45.3 123 16.4 2.1 2.8 749 100
학교생활 즐거워짐 30 4.0 130 17.4 383 51.2 160 21.4 45 6.0 748 100
친구 만남기회 확대 39 5.2 126 16.7 339 44.9 203 26.9 48 6.4 755 100

아래의 <표 8>에서는 위에서 분석한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전체(항목 평균 값)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를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성별(p<0.1), 학년(p<0.0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학생(평균 2.82)보다 여학생(평균: 2.89)이 변화가 더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에서도 중학교 2학년(평균 2.81)보다는 중학교 1학년(평균 2.91)이 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중학교 1학년 여학생들에게 주 5일 수업제 전면 시행 이후 여가활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중학교 2학년 남학생에게는 그렇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 전면 시행 이후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성별과 학년별 특성을 다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 가정경제수준, 학업성적, 부모님 맞벌이여부에 따라서는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있어서 변화의 수준차이가 거의 없었다.

<표 8>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여가활동 변화의 차이
인구특성 사례 평균 T/F
성별 남학생 334 2.82 -1.751+
여학생 431 2.89
학년 중학교 1학년 382 2.91 2.777**
중학교 2학년 382 2.81
가정경제수준 잘 산다 228 2.88 .363
보통이다. 461 2.86
어렵다 77 2.83
합계 766 2.86
학업성적 166 2.84 .611
502 2.86
94 2.91
합계 762 2.86
부모님 맞벌이여부 부모님 맞벌이 515 2.88 1.393
부모님 맞벌이 안함 251 2.82
* +: p<0.1,
*: p<0.05,
**:p<0.01,
***:p<0.001

4. 주 5일 수업제도와 청소년 여가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앞의 <표 4>에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시간과 비용에 대하여 분석하여 청소년들에게 적은 비용과 적절한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제안했는데, 아래의 <표 9>에서는 청소년활동에 관하여 전반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들을 볼 수 있다. 빈도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에 있어서의 문제점들로는 재미없음(39.0%), 홍보 부재(35.7%), 너무 비싼 참가비용(10.2%), 너무 좋지 않은 시설환경(5.8%), 마음에 안드는 지도자(5.4%), 맞지 않는 연령수준(3.8%)등이 나타났다. 또한 성별(X2=26.823, p<0.01), 가정경제수준(X2=26.390, p<0.01), 학업성적(X2=19.362, p<0.0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인구특성별로 편차가 나타나므로 프로그램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홍보 내용이 가정경제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저소득층 청소년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9> 
여가활동 문제점과 개선방안
구분 항 목 빈도(명) 백분율(%)
문제점

(무응답: 24명)
홍보가 전혀 없다 270 35.7
참가비용이 너무 비싸다 77 10.2
재미가 없다 295 39.0
시설이 맞지 않는다 44 5.8
지도자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41 5.4
연령수준과 맞지 않는다 29 3.8
합계 756 100.0
개선방안

(무응답: 11명)
시설수준과 환경개선 132 17.2
프로그램참가 비용인하 62 8.1
프로그램 다양성과 재미 325 42.3
지도자수준향상 54 7.0
부모들의 관심 확대 31 4.0
정보안내 108 14.0
참여시간 확보 51 6.6
기타 6 .8
합계 769 100.0

이런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들을 학생들에게 물었을 때에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재미(42.3%), 활동시설의 수준과 환경 개선(17.2%), 정보안내(14%), 참가비용 인하(8.1%), 지도자 수준 향상(7%), 참여시간 확보(6.6%), 부모의 관심확대(4%) 순으로 응답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교차분석과 X2 검증한 결과 성별(X2=21.139, p<0.001), 학년(X2=19.684, p<0.01), 부모님 맞벌이(X2 =24.459, p<0.01)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에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재미, 활동시설의 수준과 환경의 개선, 정보 안내 등을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활동 프로그램이 재미가 없다는 응답과 홍보가 전혀없다는 응답이 거의 비슷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정부의 중점적인 정책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주 5일 수업제 이후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과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보면 주 5일 수업제 이후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참여시간, 가족동반시간, 학교생활 즐거움 등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대응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책적 지원과 학교 및 청소년기관 간의 네트워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런 기반 하에 주요 시사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주 5일 수업제 이후 변화된 여가활동 현황을 보면 여가활동 수는 평균 1.3개이며 주말 여가활동 일일 평균시간은 1시간 내외이고 적절한 비용으로는 무료나 2만원 미만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활동 유형이 봉사활동(34.1%), 문화예술활동(20.2%), 스포츠활동(14.3%)이었다. 여가활동 참여수준이나 시간도 저조하고, 유형도 봉사, 문화예술, 스포츠 등에 집중되어 있었다. 봉사활동이 가장 많이 하고 있는 활동으로 응답된 것은 현 교육제도에서 상급학교로의 진학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청소년들이 참여한 활동 중에서의 만족도를 보면 스포츠활동, 문화활동, 봉사활동의 순으로 나타나있고, 참가를 희망하는 1순위 활동을 묻는 물음에 있어서는 봉사활동이 7번째에 위치해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문화예술활동이나 스포츠활동 및 모험개척 활동에 대한 욕구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 기회를 늘려주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에서 주목할 것은 주 5일 수업제 이후 청소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과 관련 요인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비록, 주말 참여시간, 방학참여시간, 학교 내 활동 등은 아직 미흡하지만 가족과의 동반 시간 증가, 학교생활의 즐거움, 친구만남 기회의 확대 등 긍정적인 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연구를 보면 가족이 여가활동을 하는 것은 청소년의 비행을 감소시켜 부모와 함께 여가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Robertson, 1999).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주5일 수업제도에서 중학생이 가족레저에 참여하여 가족 지향적 활동과 신체 활동을 하여 가족 친목도모와 유대관계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김의진·원형중, 2013). 이러한 결과는 주 5일 수업제도 도입 이후 생활만족이 향상되었다는 김성태(2010)의 연구와 비슷한 경향으로 주5일 수업제가 청소년 가족생활, 학교생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반영해준다. 따라서 주 5일 수업제도 도입 이후 청소년활동을 가족, 학생생활, 친구관계 등에 핵심을 두고 활성화를 꾀하여야 한다. 다만 주 5일 수업제도 전면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고, 사교육이 늘어나서 학업스트레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서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에 대한 면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 밝혀진 것과 같이 스포츠활동은 일상생활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정신건강 문제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Tyson et al., 2010). 더욱이 청소년들은 주5일 수업제를 실시하여 여가활동이 활발해지면 심신의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으로 제시되었다(남랑균·임수원, 2005). 하지만 이러한 효과가 제도의 도입 이후에도 아직 미흡한 것을 볼 때 사교육과 학업 과부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들의 개발과 시설환경의 개선, 홍보의 강화 등이 요구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성별과 학년별, 경제수준별로 청소년활동의 변화수준 차이가 나타나므로 청소년의 개인적 상황과 특성에 따른 활동 지원이 효과적일 수 있다.

셋째, 변화하는 청소년활동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청소년활동 관련 프로그램과 시설과 청소년활동에 관한 전반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보면 기존에 청소년들이 많이 참여하던 문화예술활동, 봉사활동 이외에 최근 모험개척활동과 직업체험 활동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청소년활동의 다양성과 질적 제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스포츠활동, 봉사활동은 청소년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부모관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능동적인 청소년활동으로 볼 수 있다(김예성, 2011). 그 외에 조사결과 나타난 바 문화예술활동, 모험개척활동 등 다양성과 창의성, 모험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직업체험활동의 경우에서는 청소년들이 취업난을 의식하여 자신의 진로와 미래에 대한 욕구가 크다는 것이 잘 반영되어 있다. 시설차원에서는 시설에 관하여 대부분 잘 모르거나 낮은 이용도를 보이고 있는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이런 결과는 주5일 수업제에 대한 기대와 긍정적인 인식은 있지만 청소년활동의 공간이나 시설이 부족하여 활동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와 비슷한 맥락이다(이미은·안권순, 2010; 지현진, 2009).

이 밖에 본 연구를 통해서 청소년활동의 재미 부재, 홍보 미흡, 비싼 참가비용, 낙후된 시설환경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소년활동정책에서 여가활동의 흥미를 위한 창의성과 다양성 증진, 집중적이고 효과적인 홍보, 참가비용의 적정 수준 확보, 청소년친화적인 시설환경의 개선 등이 전략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정책 집행과정에 있어서 청소년의 가정경제수준, 성별, 학년별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주 5일 수업제도의 정착과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와 청소년활동 기관 간의 밀접한 관계 지향과 긴밀한 연계 및 협력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및 자유학기제와 같은 관련제도의 확대, 가족친화적 청소년활동, 지역사회 청소년 기관 및 시설의 활용 극대화, 자발성·창의성·이타심·모험심·전문성 등을 함양하는 다양한 청소년활동을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경기도활동진흥센터로부터 2013년 경기지역 청소년의 청소년활동 실태조사를 의뢰받아 조사한 결과 자료를 참고로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강영일, (2007), 주 5일 수업제 확대 시행에 따른 서울지역 중학교 학생들의 토요시간 실태분석 및 양극화 문제의 극복방안 연구, 석사학위 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 경기도청, (2014), 경기통계, 경기도청.
3.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2012), 주5일 수업제도 전면 시행 후 경기도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 실태조사,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4. 경기도교육청, (2014), 학생현황, 경기도교육청.
5. 김기용, (2011), 일본의 사례를 통한 주5일 수업제의 학교체육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9(3), p29-46.
6. 김성태, (2010), 주5일 수업제의 여가시간 변화가 학업스트레스,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1), p55-72.
7. 김예성, (2011),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과 개인 및 가족 관련 특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18(7), p115-138.
8. 김의진, 원형중, (2013),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중학생의 가족레저 참여 실태, 레저인식 및 레저태도 분석, 여가학연구, 11(1), p159-176.
9. 김정임, (2001), 청소년 여가 활동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농촌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대전대학교.
10. 김종천, (2005), 청소년 여가 활동의 실태와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 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11. 김지은, (2008), 일본의 완전학교 주5일제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12. 김호순, (2005), 주5일제 수업 실시에 따른 청소년 여가시간 및 여가 선호 변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2(4), p59-82.
13. 남랑균, 임수원, (2005),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여가의식 조사 분석, 중등교육연구,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53(1), p395-414.
14. 맹영임, (2012),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주말활동 실태 및 요구, NYPI 기획세미나 자료집, p1-3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맹영임, (2012),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문성호, 문호영, (2010), 청소년활동의 참여 실태, 만족도 및 영역별 효과성, 청소년복지연구, 12(2), p95-103.
17. 변정희, (2014),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학교-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 석사 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부귀현, 양명환, (2006), 주5일 수업제 운영에 따른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여가 여가만족과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1(1), p73-90.
19. 신문승, 이주영, 권동택, (2011), 주요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연구, 21(4), p131-151.
20. 유복현, (1991), 청소년 여가활동 실태와 욕구성향에 관한 조사 연구 : 中·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학교체육연구논문집, p205-241.
21. 이기수, (2002), 연령별로 본 청소년의 여가활동 실태 조사 : 초·중·고교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22. 이남정, (2007),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울산광역시 중학생의 여가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3. 이미은, 안권순, (2010), 주 5일 수업제가 청소년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12), p309-341.
24. 이미은, (2008), 주5일 수업제가 청소년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서산지역 청소년에 대하여, 석사논문, 한서대학교.
25. 이민희, (2012), 주5일 수업제도 전면 시행 후 경기지역 청소년의 여가시간 실태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0(4), p119-127.
26. 이영주, (2012),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에 대한 욕구 및 정책제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0(8), p335-340.
27. 이용관, (2014), 주5일 수업제 도입이 청소년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논집, 37(2), p49-78.
28. 이철원, 이만형, (2001), 5일제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체육연구논문집, 8(1), p147-167, 연세대학교 체육연구소.
29.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연구소, (2014), 바람직한 주5일제 운영을 위한 외국의 주5일제 운영 시사점 연구, 참교육연구, 3(상), p357-375,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연구소.
30. 조수정, (2006), 학교 주 5일제 실시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와 활용방안 : 경기도 부천시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1. 조용하, (2006),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여가활동의 증진방안,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3), p297-309.
32. 지현진, (2009), 청소년의 여가실태에 대한 종단분석: 4차년간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p145-157,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하윤수, (2004), 일본의 완전학교 주5일제 수업에 나타난 제문제와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19, p123-156.
34.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2007), 일본의 학교 주5일제 완전실시에 따른 지역청소년의 실태조사, 청소년단체활동 참가의 효용, 오늘의 청소년 1·2월, p19-24,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3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주5일수업제와 청소년활동, NYPI 기획세미나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6. Robertson, B. J., (1999), Leisure and Family: Perspectives of male adolescents who engage in delinquent activity a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1(4), p335-458.
37. Tyson, P., Wilson, K., Crone, D., Brailsford, R., & Laws, K., (2010),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in a student population, Journal of Mental Health, 19(6), p492-499.
38. Wankel, L.M., (1994), Health and Leisure: Inextricably linked,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64(4), p2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