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for youth culture - Vol. 55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55, pp. 115-142
Abbreviation: RCKYC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18
Received 31 May 2018 Revised 18 Jun 2018 Accepted 25 Jun 2018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8.07.55.115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이 학생의 성취동기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진규1) ; 김태연2)
1)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교수, 교신저자
2)호서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원생. 청소녀문화상담학 전공

The Effects of Teachers’ Authentic Leadership on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Park, Jinkyu1) ; Kim, Taeyeon2)
1)Professor, Dept. of Youth Culture and Counseling, Hoseo University
2)The Doctorate Course Student, Dept. of Youth Culture and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Professor, Dept. of Youth Culture and Counseling, Hoseo University


초록

이 연구는 교사가 발휘하는 진정성리더십이 학생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실증적 방법을 채택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진행하였으며, 고등학교 재학생 466명이 연구 대상이 되었고, 그들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로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관계적 투명성과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인 개인지향 성취동기에,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사회지향 성취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진의 진정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관계적 투명성은 학교적응 하위요인인 학습활동에, 관계적 투명성과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학교규칙에, 관계적 투명성은 교우관계에, 자아인식과 균형적 정보처리는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인 개인지향 성취동기와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 요인(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교사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 발휘는 학생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학생의 성취동기를 높여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 인자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ing at revealing the effect of teachers' authentic leadership on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adaptation of their school life. It is based on positive method through multiple repression analysis subject to 466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ly,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relational transparency and self-awareness affect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positively,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eachers' authentic leadership on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these four factors of authentic leadership; self-awareness, relational transparency, balanced processing of information and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We also found out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for personally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and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for socially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Secondly,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ree major factors - self awareness, relational transparency and balanced processing of information - had an impact on students’ adaptation of school life regarding the effects of teachers’ authentic leadership on students’ adaptation of school life. Additionally, there are meaningful relevance under the sub factors of adaptation of school life, relational transparency for school activities, relational transparency and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for school rules and self-awareness and balanced processing of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with teachers.

Last but not least, the analysis of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ir school life points out that both two 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personal and social orientation have critical impacts on their adoption of school life. Moreover, concerning the sub-factors of adaption of school life - achievement motivation derived from personal and social orientation - have a good impact on school life, relationship with their classmates and teachers.

Overall, the study outcomes demonstrate that teachers’ authentic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in school environment. This clearly shows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toward students. If teachers have authentic leadership and try to build an intimate yet inclusive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in support and encouragement, students could easily adapt to their school life and have high achievement motivation.


Keywords: authentic leadership, achievement motivation, adaptation of school life
키워드: 진정성리더십, 성취동기, 학교적응

Ⅰ. 서론

21세기는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이자 지식이 넘쳐나는 지능정보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 변화와 세계적인 혁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새로운 인재 양성과 교육체제 확립을 위해 리더십을 새롭게 확립할 때가 바로 지금이라 본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지식 전달자가 아닌, 학생들의 인간성을 형성시키는 종합예술가로서, 더 나아가 미래를 설계하고 삶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무한경쟁 교육 속에 도외시되었던 삶의 조언자로서의 역할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예컨대 Rosenthal & Jacobson (1992)은 사람들의 기대가 다른 사람들에게 실제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더 나아진 결과를 기대했을 때, 학생들은 실제 더 좋아졌다는 발견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것은 기대가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의 존재와 학교 선생님의 학생들에 대한 기대와 학생들의 교육성과에 이 가설이 잘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로젠탈 효과, 자성적 예언, 자기충족적 예언이라 한다. 이처럼 교사의 관심은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 된다.

주철안 외(2012)은 교사와의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포부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고, 권선구 외(2016)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성취압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정서적 주도적 수업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유일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김선(2012)은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기본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 활용하여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 판단력 등과 같은 수행능력 함양과 더불어 학교 내 원만한 사회적 관계인 성숙한 사회적 기술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와의 관계 뿐만 아니라 동료 학생들 간의 원만한 관계에 대한 만족감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Trowler & Trowler, 2010; Umbach & Wawrzynski, 2004; 김소영 외, 2013재인용), 학생개인뿐만 아니라 교사 등 다양한 주체들의 상호작용도 중요하다. (Brookover et al., 1979; 강상진‧황정원, 2010; 김소영, 2015 재인용).

또 다른 연구에서도 교사는 학생들의 인식이 성취동기, 수업참여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김종백‧김남희, 2014; 권선구외, 2016, 재인용). 그 외 Marshburn et al(2008), Skinner, Zimmer-Gembeck, & Connell)1998), Roeser, Eccles, & Sameroff(1998), Witt, Wheeless, & Allen(2004) 등도 같은 의견을 피력해 주고 있다. 이 처럼 학생들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는 인생 전반에 걸쳐 중요하며, 교사의 리더십은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리더십 연구에서 리더십과 학생들의 태도 및 학교 적응은 관계가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그 중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은 학생들의 태도와 관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허성미 외(2017)에 따르면 학생들은 교사가 학생에 대한 애착이 클수록 학생들은 그 교사의 권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드리고, 학생들의 회복탄력성 및 학교적응은 좋아진다. 즉 교사와의 애착관계를 높게 지각하는 학생이 교사의 권위를 높게 지각하며, 개인이 지닌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학교적응도 높게 나타난다고 하여 학교적응에서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교사의 리더십은 학생들의 행동 및 지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의 눈에 비친 교사의 인간상은 학생들의 가치관, 태도, 신념, 인성 등 인생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더로서 교사는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고, 정직, 공감, 신뢰 및 책임감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설득하고 소통하는 진정성 리더십의 소유자여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진정한 리더는 우선 자기 자신을 잘 파악하고 내면화된 도덕성을 갖추어 말과 행동이 일치 하도록 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진심으로 존경할 수 있는 투명한 성품을 가져야 한다. 이렇듯 진심으로 우러나온 교사의 행동, 언어는 학생에게 놀랍고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지만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이 학생에게 미치는 연구는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큰 시사점을 갖는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교사의 진정성리더십 발휘가 학생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여주며 소통의 효과성을 증진시켜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I. 이론적 배경
1. 진정성리더십

진정성리더십은 진정성(authenticity)을 바탕으로 발휘되는 리더십의 한 유형(Avolio, B. J. & Gardner, W. L. 2005)으로 타인 중심에서 벗어나 자신이 가진 고유한 자아의 발견에 초점을 맞추는 리더십으로 진정성을 갖춘 리더는 말보다는 행동에서 원리, 가치, 윤리에 대하여 스스로 생각하는 바를 드러낸다고 하였다. Avolio, Luthans와 Walumbwa(2004)는 진정성 있는 리더를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깊이 성찰하고 자신과 구성원들의 가치관, 도덕적 시각, 지식 및 강점을 잘 지각하며, 긍정적 심리자본인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및 회복력을 소유하고 도덕성이 높은 리더라고 정의하였다(김지현, 2017). 따라서 명확한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확고한 가치와 원칙을 세우고 투명한 관계를 바탕으로 내적인 자아(private self)와 외적인 자아(public self)의 격차를 최소화해 주위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능력이 진정성리더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진정성리더십 연구는 미국 네브라스카-링컨 대학 갤럽 리더십 연구소(Gallup Leadership Institute; 2004)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긍정심리학, 긍정조직행태(POB),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전범위리더십(full-range leadership), 윤리적‧도덕적 관점수용(ethical/moral perspective-taking) 등 이론적 논의들을 통합하면서 발전하였다(김동철 외, 2012).

국내 진정성리더십 연구는 초기 단계여서 이에 관한 연구 결과물은 많지 않다(조윤형,2013). 학교와 관련한 연구에서는 변혁적, 감성, 윤리적, 팔로워십 리더십(김정애, 2008, 김정현, 2016, 이계윤·백종순, 2008, 이은희, 2008) 등을 들 수 있으나, 진정성리더십과는 거리가 있다. 이와 같이 교육 분야에서 진정성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임을 감안할 때 향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alumbwa 등(2008)은 진정성리더십의 구성요인 및 개념의 측정도구룰 개발하여 그 구성요인으로 자아인식,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 균형 잡힌 정보처리, 관계의 투명성이란 4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유재익, 2016). 또한, Walumbwa 등(2008)은 자아인식이란 자아노출을 통해 자아통찰 및 타인들에게 미치는 자신의 영향력 인식 등 강점과 약점, 자아의 다면적인 성격에 대한 꺠달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했다.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은 사회적 압박과 같은 외부의 압력에서 기인 한다기보다는 진정성리더의 행동의 표출은 내면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에서 비롯된다고 하였으며, 균형 잡힌 정보처리는 의사결정을 하기 전에 모든 관련 정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편향되지 않은 정보처리를 말하는 것이며, 관계의 투명성은 정보공유와 진실 된 생각과 감정표현과 같은 개인적인 공개를 말하며, 타인에게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다.

2. 성취동기

성취동기란 도전할만한 가치를 가지는 목표를 선택하여 그 일을 훌륭하게 성취하기 위해 도전적이며 자신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과정 속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어 그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내적 의욕을 말한다(김병수, 2014). 목표에 이르게 하는 힘(drive), 또는 원동력을 말한다.

성취동기는 Murray(1938)에 의해서 처음으로 개념화되었으며, 그는 인간의 행동이 요구(need)와 환경의 압력 간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Mandel과 Marcus(1988)은 학업성취에 담긴 뜻을 첫째, 어떤 바람직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여러 가지 어려움을 참고 극복한다는 의미로 둘째, 교사나 시험 등에 의해 ‘평가’되어지는 완수의 정도를 포함한다고 하였다. 성취자 본인과는 별개의 어떤 가치기준에 의해 판단되어 진다라고 주장하였다. Murray(1938)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상대적 욕구를 성취욕구ㆍ권력요구ㆍ친화욕구로 설명했으며, 그 뒤 Maslow(1954)는 욕구 위계이론 5가지 욕구를 단계별로 발표하였는데, 1단계는 수면이나 식욕과 같은 생리욕구, 2단계는 안정욕구,3단계는 친화와 소속감과 같은 애정욕구,4단계는 인정이나 지위와 같은 존경욕구,5단계는 보람이나 자기완성과 같은 자아실현 욕구로 보았다(이지숙, 2016). McClelland(1985)Murray(1938)의 상대적 욕구와 Maslow(1954)의 욕구이론을 바탕으로 성취동기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사람의 성격은 그 사람의 욕망이나 동기를 보면 알 수 있다고 하면서, 사람 성격과 성취 욕구는 주로 어려서 갖는 생활경험이나 습관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고 했다. 이와 같이 여러 학자들의 성취동기 관한 이론을 살펴보면, 모든 인간 행동의 특성은 그 기준이 무엇이든지간에 이를 성취하고자 하는 마음 즉, 성취동기에 달려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은 인간의 본능이므로 청소년에게도 학교생활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성취동기에 대한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개인지향성취동기와 사회지향성취동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자율적 성취는 개인의 내적기준에 충족하고자 하는 것으로 McClelland의 관점과 유사하다면, 사회적 성취는 외적유인으로 동기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Crandall(1960)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김은숙, 2015).

3. 학교적응

금지헌(2012)과 김혜금(2015) 그리고 정제영·선미숙(2014)은 학습활동,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규칙 변인은 서로 정적상관이 있고 학교적응 개념을 구성하는 하위 변인으로 이용되어 왔다(조영재 외, 2015). 즉, 학교생활에 얼마나 잘 적응하느냐의 문제는 중·고등학교에서의 학교생활 적응으로 이어짐은 물론 성인이 되어서 사회에 잘 적응하느냐의 문제로까지 이어지므로,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는 것은 훗날 청소년기나 성인기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Bagwell, Newcomb & Bukowski, 1998). 특히 현대사회에서처럼 지식·가치관·행동 등이 빠르게 변하는 환경 속에서 바르게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중요한 역할을 의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관이 학교라고 할 때(정은주, 2005), 학교생활에 잘 적응한 학생은 학교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 및 동기가 긍정적이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학업성적이 향상되고, 행동특성이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개인과 사회발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서나라, 2006). 그러므로 학생이 학교생활을 통해서 형성하는 교사와의 신뢰 관계가 학생의 인지적·동기적·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간의 신뢰는 학교생활 적응 및 학습동기 등과 더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다(이숙정, 2006; 정애숙, 2005; 정은이·박용한, 2008 재인용).

학교적응에 대한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학습활동,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규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활동은 학교생활에서 학생이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과업으로, 학생이 학습에 흥미와 필요를 크게 느끼지 못할 때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조영재 외, 2015). 교우관계는 학교에서 만난 친구의 행동과 감정에 따라 행동기준을 모방하거나 사회적 압력에 의해 행동을 수정하는 방식의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을 하며, 학교에서 만난 친구는 학생의 인성·사회성 발달뿐만 아니라 학교적응에도 영향을 준다. 교사관계는 배움과 가르침은 학생과 교사의 진정한 만남, 신뢰와 사랑으로 맺어진 관계에서 풍부해진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교수·학습 외에도 인격형성기에 있는 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장과 같은 정의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지은림 외, 2003; 조영재 외, 2015 재인용). 학교규칙은 학교생활을 할 때, 학급과 학교에서 정한 약속과 규칙을 지켜야 한다. 그리고 잦은 학교규칙 위반은 인성교육 지도를 이유로 꾸중과 징계를 수반하고 학교적응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 진정성리더십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진정성리더십과 학생의 성취동기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으나, 이은희(2008)는 담임교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청소년의 학업성취도간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하여 이 두 요인 간의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김종복과 김남희(2014)는 학생이 지각한 성취욕구는 교사의 지도와 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김순철과 민윤기(2016)는 군 리더의 진정성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관계가 있다고 하여 진정성리더십과 성취동기는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생에게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은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으며, 진정성리더십의 긍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학교조직에 있어서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임을 감안할 때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은 학생에게 자신감이 있고, 희망차며, 미래지향적이고, 구성원들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사람이다(Luthans & Avolio, 2003; 김지현, 2017 재인용). 이와 같이 진정성리더십과 학생의 성취동기는 관계가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교사는 학생을 이끄는 리더자로서 성취동기에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진정성리더십과 성취동기와의 관계는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추론해 본 결과 진정성리더십과 성취동기와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 1. 진정성리더십(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성취동기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1 진정성리더십은 개인지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진정성리더십은 사회지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진정성리더십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조인숙(2015)은 리더의 진정성은 그 자체로서 중요 효과를 가진다며 진정성리더십이 구성원들의 긍정적 행동을 취하는데 유의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주장은 학생들이 교사에게 받는 진정성리더십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곤경에 처했을 때나 진로·진학문제 등 다양한 학업문제 상황에서 전문적 도움을 제공하는 우선적 주체로 학생들에게 중요한 존재이다(손태주, 2011). 윤지영(2014)은 진정성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아울러 자기존중감과 회복탄력성과도 관계를 한다고 하여 진정성리더십은 학생들의 학교적응과도 관계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진정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기자존감과 회복탄력성 외에도 적응성과와 변화주도행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교사는 진정성리더십 발휘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상의 진정성리더십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추론해 본 결과, 진정성리더십과 학교적응과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 2. 진정성리더십(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학교적응(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진정성리더십(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학습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 진정성리더십(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학교규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3 진정성리더십(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4 진정성리더십(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성취동기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성취동기 및 학교적응에 대한 관계에서는 김명희 외(2006)은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 전체의 독립적인 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후균(2011)은 체육성적이 우수한 집단에 속해 있는 학생일수록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학급활동 요인에서 보통 집단과 미흡 집단에 속해 있는 학생들에 비해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 하였다. 최영주(2013)는 성취동기는 아니지만, 개인요인인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좋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학업성취는 성취욕구로 본다면 학업성취력(박현선, 1998)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적응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적응력은 청소년이 사회생활에 접어들었을 때 사회적응정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김은영. 2011, p62 재인용)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취동기와 학교적응과의 관계는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추론해 본 결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 3 성취동기(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학교적응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1 성취동기(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학습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2 성취동기(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학교규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3 성취동기(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4 성취동기(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의 C시 및 충청남도의 C, D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표집방법은 비확률 추출방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12월 07일부터 2017년 12월 15일까지 8일 동안 이루어졌다. 최초 50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70개가 회수(충청북도의 C시는 1개교에 200명, 충청남도의 D시는 1개교에 166명, 충청남도C시는 1개교에 100명)되었으나, 응답이 부실하게 이루어지거나 중심화경향이 심하게 나타난 4개의 지료를 제외한 466부가 분석에 활용되어 99.69%의 최종 분석률을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이 76.6%로 남성은 23.4 %로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학년은 고등학교 3학년이 57.5%로 1학년은 40.1%로 2학년은 제일 낮은 2.4%로 3학년과 2학년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다. 연구 대상자의 구체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  
조사대상자 개인적 특성
변수 범주 빈도 백분율(%)
성별 여학생 357 76.6
남학생 109 23.4
학년 1학년 187 40.1
2학년 11 2.4
3학년 268 57.5
성적 상위권 55 11.8
중상위권 121 26.0
중위권 159 34.1
중하위권 85 18.2
하위권 46 9.9
466 100.0

3. 측정도구

진정성리더십 설문지는 Neider & Schriesheim(2011)이 개발한 설문을 이용하여 진정성리더십의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것을 국내의 유재익(2016)이 사용한 것으로 하위요인은 자아인식,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 균형 잡힌 정보처리, 관계의 투명성이란 4가지 요소를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구성은 자아인식 4문항,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 4문항, 균형 잡힌 정보처리 4문항, 관계의 투명성 4문항 등, 총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성취동기 설문지는 김은숙(2014)의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도구로서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등, 2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문항은 개인지향 성취동기 8문항, 사회지향 성취동기 8문항 등,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학교적응 설문지는 전혜경(2007)의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도구로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등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문항은 학습활동 5문항, 학교규칙 5문항, 교우관계 5문항, 교사관계 5문항 등,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이 설문지들은 모두 1=전혀 아니다, 2=아니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의 5점 의미분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4. 타당도 및 신뢰도
1) 진정성리더십에 대한 타당도분석 및 신뢰도 결과

진정성리더십 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2>, 자아인식,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 균형 잡힌 정보처리, 관계의 투명성으로 4개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설명력은 78.17%로 나타나 진정성리더십 요인은 타당성 있음이 판명되었다. 신뢰도 검사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자아인식이 .910,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이 .766, 균형 잡힌 정보처리가 .904, 관계의 투명성이 .859로 나타나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 2>  
진정성리더십 요인분석 결과
설문문항 자아인식 관계적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 h2
자아인식1 .472 .214 .659 .241 .761
자아인식2 .410 .274 .754 .159 .837
자아인식3 .318 .235 .809 .168 .840
자아인식4 .414 .235 .637 .322 .736
관계적투명성1 .135 .315 .230 .844 .883
관계적투명성4 .475 .271 .313 .604 .762
균형적정보처리1 .762 .114 .425 .104 .785
균형적정보처리2 .797 .173 .387 .085 .821
균형적정보처리3 .673 .332 .366 .252 .761
균형적정보처리4 .802 .198 .228 .213 .780
내면화된도덕관점1 .382 .605 .208 .342 .672
내면화된도덕관점2 .084 .826 .097 .309 .794
내면화된도덕관점3 .112 .861 .252 .027 .818
내면화된도덕관점4 .302 .717 .228 .191 .694
고유값 3.476 2.899 2.898 1.669
분산(%) 24.832 20.710 20.701 11.923
누적(%) 24.832 45.542 66.243 78.166
신뢰도 .910 .766 .904 .859
KMO= .939, Bartlett's Test=4917.106, df=91, p=.000

2) 성취동기에 대한 타당도분석 및 신뢰도 결과

성취동기 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3>, 개인지향, 사회지향으로 2개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설명력은 66.05%로 나타나 요인은 타당성 있음이 판명되었다. 신뢰도 감사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개인지향이 .919, 사회지향이 .925로, 나타나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성취동기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설문문항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h2
개인지향 성취동기1 .334 .691 .588
개인지향 성취동기2 .029 .740 .549
개인지향 성취동기3 .194 .810 .694
개인지향 성취동기4 .093 .847 .726
개인지향 성취동기5 .251 .775 .663
개인지향 성취동기6 .210 .843 .754
개인지향 성취동기7 .176 .752 .596
개인지향 성취동기8 .254 .750 .627
사회지향 성취동기1 .840 .161 .732
사회지향 성취동기2 .780 .253 .672
사회지향 성취동기3 .847 .160 .743
사회지향 성취동기4 .836 .190 .735
사회지향 성취동기5 .705 .105 .508
사회지향 성취동기6 .851 .054 .727
사회지향 성취동기7 .750 .309 .657
사회지향 성취동기8 .693 .336 .593
고유값 5.356 5.211
분산(%) 33.478 33.478
누적(%) 32.568 66.046
신뢰도 .919 .925
KMO=.930, Bartlett's Test=5270.195, df=120, p=.000

3) 학교적응에 대한 타당도분석 및 신뢰도 결과

학교적응 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4>,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로 4개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설명력은 72.4%로 나타나 요인은 타당성 있음이 판명되었다. 신뢰도 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학습활동이 .859, 학교규칙이 .874, 교우관계는 .856, 교사관계는 .887로, 나타나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 4>  
학교적응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설문문항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h2
학습활동1 .702 .082 .402 .179 .693
학습활동2 .736 .256 .076 .205 .655
학습활동3 .798 .218 .151 .219 .756
학습활동5 .789 .217 .216 .121 .730
학교규칙1 .346 .625 .091 .347 .639
학교규칙2 .434 .662 .129 .094 .652
학교규칙3 .379 .736 .185 .202 .761
학교규칙4 .081 .756 .189 .365 .746
학교규칙5 .052 .701 .179 .444 .723
교우관계1 .136 .303 .231 .748 .722
교우관계2 .285 .278 .207 .637 .607
교우관계3 .171 .456 .199 .697 .762
교우관계5 .323 .222 .294 .684 .707
교사관계2 .318 .007 .788 .295 .808
교사관계3 .300 .059 .758 .310 .764
교사관계4 .087 .315 .812 .226 .818
교사관계5 .112 243 .827 .053 .759
고유값 3.199 3.188 3.126 2.792
분산(%) 18.815 18.750 18.385 16.422
누적(%) 18.815 37.566 55.951 72.373
신뢰도 .859 .874 .856 .887
KMO=.919 Bartlett's Test=5269.809 df= 136 p=.000

4. 자료 분석방법

질문지에 대한 기입은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직접 응답토록 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자료를 전산 입력시킨 후 SPSS/WIN 24.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개인적 특성분석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타당도 검사와 신뢰도 검사는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 검사, 변수간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은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분석
1. 상관관계분석

진정성리더십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척도순화 과정을 거쳐 추출된 각 변수 간 판별타당성이 확보 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5>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상관관계분석 결과
변인 1 2 3 4 5 6 7 8 9 10
1 1
2 .675*** 1
3 .816*** .635*** 1
4 .620*** .653*** .570*** 1
5 .424*** .469*** .400*** .428*** 1
6 .392*** .344*** .377*** .367*** .458*** 1
7 .385*** .402*** .367*** .329*** .580*** .543*** 1
8 .380*** .422*** .357*** .384*** .666*** .425*** .596*** 1
9 .349*** .387*** .330*** .330*** .624*** .429*** .571*** .742*** 1
10 .515*** .408*** .503*** .331*** .464*** .400*** .537*** .487*** .590*** 1
1=자아인식, 2=관계적투명성, 3=균형적정보처리, 4=내면화된 도덕관점, 5=개인지향 성취동기, 6=사회지향 성취동기, 7=학습활동, 8=학교규칙, 9=교우관계, 10=교사관계
*** p<001

2. 가설검증
1) 진정성리더십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리더십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먼저 회귀식 1은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성취동기 종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47.080, P<.001), 설명력은 약 29%(R2=.290)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자아인식(β=.149, p<.05)과 관계적투명성(β=.168, p<.01), 내면화된 도덕관점(β=.195, p<.001)이 성취동기 종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균형적 정보처리는 성취동기 종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내면화된 도덕관점, 관계적 투명성, 자아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2는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개인지향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39.894, p<.001), 설명력은 약 25.7%(R2=.257)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관계적투명성(β=.255, p<.001)과 내면화된 도덕관점(β=.165, p<.01)이 개인지향 성취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인식과 균형적 정보처리는 개인지향 성취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관계적 투명성, 내면화된 도덕관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3은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사회지향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26.327, P<.001), 설명력은 약 18.6%(R2=.186)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내면화된 도덕관점(β=.168, p<.01)만이 사회지향 성취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인식과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는 사회지향 성취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진정성리더십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Variable 회귀식1
(종속변수:성취동기 종합)
회귀식2
(종속변수:개인지향성취동기)
회귀식3
(종속변수:사회지향성취동기)
β t β t β t
자아인식 .149 2.011* .097 1.277 .152 1.919
관계적 투명성 .168 2.854*** .255 4.234*** .054 .860
균형적 정보처리 .113 1.627 .065 .909 .123 1.648
내면화된 도덕관점 .195 3.550*** .165 2.946** .168 2.854**
R2=.290, F=47.080*** R2=.257, F=39.894*** R2=.186, F=26.327***
* p<.05,
** p<.01,
*** p<.001

2) 진정성리더십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리더십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먼저 회귀식 1은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학교적응 종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49.457, P<.001), 설명력은 약 30%(R2=.300)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자아인식(β=.188, p<.05)과 관계적 투명성(β=.228, p<.01), 균형적 정보처리(β=.141, p<.05)가 학교적응 종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학교적응 종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관계적 투명성, 자아인식, 균형적 정보처리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2는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26.994, p<.001), 설명력은 약 19%(R2=.190)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관계적 투명성(β=.224, p<.001)만이 학습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인식과 균형적 정보 처리, 그리고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학습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3은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학교규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30.162, P<.001), 설명력은 약 20%(R2=.207)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관계적 투명성(β=.233, p<.01), 내면화된 도덕관점=.147, p<.05)이 학교규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인식과 균형적 정보처리는 학교규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4는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23.519, P<.001), 설명력은 약 16%(R2=.169)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관계적 투명성(β=.230, p<.01)만이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인식과 균형적 정보처리,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교우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5은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46.982, P<.001), 설명력은 약 29%(R2=.290)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자아인식(β=.290, p<.01), 균형적 정보처리=.230, p<.001)가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적 투명성과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교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자아인식, 균형적 정보처리 순으로 나타났다.

<표 7>  
진정성리더십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Variable 회귀식1
(종속변수: 학교적응 종합)
회귀식2
(종속변수: 학습활동)
회귀식3
(종속변수: 학교규칙)
회귀식4
(종속변수: 교우관계)
회귀식5
(종속변수: 교사관계)
β t β t β t β t β t
자아인식 .188 2.559* .126 1.600 .087 1.112 .087 1.083 .290 3.922***
관계적투명성 .228 3.907*** .224 3.568*** .233 3.745*** .230 3.605*** .092 1.557
균형적정보처리 .141 2.040* .092 1.234 .055 .744 .062 .825 .230 3.316***
내면화된도덕관점 .067 1.237 .052 .893 .147 2.538* .091 1.533 -.040 -.729
R2=.300
F=49.457***
R2=.190
F=26.994***
R2=.207
F=30.162***
R2=.169
F=23.519***
R2=.290
F=46.982***
*p<.05,
**p<.01,
***p<.001

3) 성취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먼저 회귀식 1은 성취동기 2개 요인이 학교적응 종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279.216, P<.001), 설명력은 약 55%(R2=.547)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개인적 성취동기(β=.566, p<.01)와 사회적지향성(β=.283, p<.01)이 학교적응 종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2는 성취동기 2개 요인이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177.210, p<.001), 설명력은 약 43%(R2=.434)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개인지향 성취동기(β=.419, p<.001), 사회지향 성취동기(β=.351, p<.001)가 학습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3은 성취동기 2개 요인이 학교규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198.779, P<.001), 설명력은 약 46%(R2=.462)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개인지향 성취동기(β=.597, p<.001)와 사회지향 성취동기(β=.151, p<.001)가 학교규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식 4는 성취동기 2개 요인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164.695, P<.001), 설명력은 약 41%(R2=.416)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개인지향 성취동기(β=.542, p<.001)와 사회지향 성취동기(β=.181, p<.001)가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표 8>  
성취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Variable 회귀식1
(종속변수: 학교적응 종합)
회귀식2
(종속변수: 학습활동)
회귀식3
(종속변수: 학교규칙)
회귀식4
(종속변수: 교우관계)
회귀식5
(종속변수: 교사관계)
β t β t β t β t β t
개인지향 성취동기 .566 16.078*** .419 10.654*** .597 15.570*** .542 13.552*** .356 7.915***
사회지향 성취동기 .283 8.038*** .351 8.923*** .151 3.947*** .181 4.529*** .237 5.274***
R2=.547
F=279.216***
R2=.434
F=177.210***
R2=.462
F=198.779***
R2=.416
F=164.695***
R2=.260
F=81.391***
*p<.05,
**p<.01,
***p<.001

회귀식 5는 성취동기 2개 요인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으며(F=81.391, P<.001), 설명력은 약 26%(R2=.260)로 나타났다. Beta 값을 살펴보면, 개인지향 성취동기(β=.356, p<.001)와 사회지향 성취동기(β=.237, p<.001)가 교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순서는 개인지향 성취동기, 사회지향 성취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교사의 진정성리더십 발휘가 학생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 관리에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대상은 충남과 충북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500명중 466명의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처리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진정성리더십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진정성리더십 4개요인 중 성취동기 종합에 미치는 요인은 내면화된 도덕관점과 관계적 투명성, 자아인식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 하위요인에서 개인지향 성취동기에는 관계적 투명성과 내면화된 도덕관점이 사회지향 성취동기에는 내면화된 도덕관점이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업성취지향성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김정현(2016)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라 하겠다. 교사의 진실 되고 진정한 리더십 발휘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지식 전달이라는 전통적인 교사의 역할보다는 학생들이 학습동기를 고취시켜 학습 및 학교활동에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다양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교사는 학교에서 성취해야 하는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을 유도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이안수, 김성훈, 2011). 교사가 학생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평가하고 있는가는 그 학생의 성취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 중 균형적 정보처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우선 통계적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통계적 기법이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진정성리더십의 3개 요인의 계수 값이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균형적 정보처리 요인의 영향력이 축소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둘째, 진정성리더십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진정성리더십 4개요인 중 학교적응 종합에 미치는 요인은 자아인식과 관계적 투명성, 균형적 정보처리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요인에서 학습활동에는 관계적 투명성이, 학교규칙에는 관계적 투명성과 내면화된 도덕관점이, 교우관계에는 관계적 투명성이, 교사관계에는 자아인식과 균형적 정보처리가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지도성 유형은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중 학생이 교사를 효율적으로 지각할 때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관계, 학교생활규칙관계, 학교행사 등 5개 영역에서 모두 만족도가 가장 높다는 김재겸(2008)의 연구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해 준다. 또한 교사의 행동과 애착안정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홍성훈 외(2005)의 연구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해 준다. 따라서 교사들은 무엇보다도 자신에 대해 진정성리더십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져야 하며, 정서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해야 심각한 문제를 가진 학생들을 도와주어 학교생활 적응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진정성리더십 4개 요인 중 교사의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교사의 내면화된 도덕관점 행동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중요하지가 않아서가 아니라 학교적응 자체가 학생의 생활 활동 등을 태도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심리 정서적 측면이 교사의 내면화된 도덕관점까지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성취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성취동기 2개요인 중 학교적응 종합에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성취동기와 사회지향 성취동기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요인에서 학습활동과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모두는 개인지향 성취동기와 사회지향 성취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학교적응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된다는 백희숙(2012)의 결과를 지지해 준다. 이와 같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학생은 학교의 규준과 질서를 잘 준수하고. 학업성적이 향상되며 행동특성이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진다. 첫째,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은 청소년이 성취하고자 하는 과업과 관련된 긍정적인 인식과 자연적 보상을 통한 자아존중을 추구하며, 과업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한 몰입이나 신념, 즐거움 등을 수립하고 성취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자신감을 증가시켜 줄 것이다. 둘째,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기인식으로 자신이 바꾸고자 하는 행동에 대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관찰하여 행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를 발견할 수 있으며, 스스로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하여 자신의 학업이나 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신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의 자기목표 설정을 우선적으로 정하고 스스로 주체적인 생각과 행동을 하고, 스스로 도전목표를 명확히 함으로써 비전을 성취하기 위한 방향에 구체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이 학생들의 성취가 강할 뿐만 아니라, 학교적응에도 큰 의미를 가지므로 이 교사의 진정성리더십 함양을 위한 실증적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이 요구된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의 표집방법은 비 확률표본추출법인 편의표본추출방법에 의한 것으로써 대상자가 고등학생으로 편중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확률표집으로 이를 개선하였으면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충북과 충남의 일부지역 학교에 대한 대상자 선정으로 중등학생의 거주 지역 편중현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에 대한 결론을 일반화 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몇몇 변수만을 투입하여 연구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교사의 진정성리더십 향상을 위한 다양한 상황적 변수 등을 고려하여 연구하였으면 한다. 넷째, 본 연구는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진정성리더십을 평가한 연구로서 향후 연구에서는 교사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통제‧관리하는 셀프리더십 등을 투입하여 학생들을 스스로 자신의 사고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보다 폭 넓은 다양한 교사의 리더십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References
1. 강상진, 황정원, (2010), 학교책무성 체제에서 학업성취도에 기초한 학교성과지표는 중등학교학교평가 지표로서 적합한가? 학교효과 이론에 의한 타당도 검증, 교육학연구, 48(1), p23-52.
2. 권순구, 봉미, 김성일, (2016), 학습자의 학업성취, 동기, 수업참여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의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한국교육학연구, 22(3), p265-299.
3. 금지헌, 손찬희, 채수은, 강성국, (2012),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가정 및 개인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자료집, p130-152.
4. 김동철, 김대건, (2012), 긍정 조직형태 주요요인 간 관계에 관한연구: 진정리더십, 심리적자본, 심리적 주인의식으로 중심으로, 한국 행정 학보, (46), 4p27-51.
5. 김명희, 하정희, 차경희, (2006),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열린교육학회, 14(3), p57-79.
6. 김병수, (2014), 청소년 성취동기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선, (2012), 학습 성과의 개념과 필요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24(2), p89-92.
8. 김소영, 김지은, (2013), 고등교육에서 학습 성과에 대한 학교 참여의 영향과 관련 요인 분석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4(4), p73-96.
9. 김소영, (2015), 학교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학교 내적인 과정과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다층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10. 김영희, (2004),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에 관한 종단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은숙, (2015), 고등학생의 낙관성, 성취동기, 사회적 지지와 실행력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영, (2011),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소 차이, 교육종합연구, 9(1), p61-79.
13. 김정애, (2008),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신뢰가 창의성, 진로의식성숙,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김정현, (2016),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종백, 김남희, (2014),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2), p285-315.
16. 김종백, 김준엽, (2014),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 연구, 31(3), p245-267.
17. 김지현, 고장완, (2016),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p275-296.
18. 김지현, (2017), 중학교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김재겸,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 및 학교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태용, (2014), 청소년 학교생활에 미치는 보호요인의 영향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후균, (2011), 중학생들의 체육성적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혜금, (2015), 성별과 학년 시기별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p355-374.
23. 문호영, 문성호, (2007),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2), p167-186.
24. 박현선, (1998), 빈곤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백희숙, (2012),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서나라,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손태주, (2011),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신용주, 최지은,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1(2), p199-210.
29. 유재익, (2016), 진정성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윤지영, (2014),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 자기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계윤, 백종수, (2008), 한,중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성취동기, 운동몰입,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1), p1-18.
32. 이숙정, (2006), 학교변인과 학생들이 교사신뢰와의 관계: 학교급, 학교 · 학교규모, 남녀공학 유형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4(1), p171-194.
33. 이안수, 김성훈, (2011),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한부여의 역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8(1), p51-70.
34. 이은희, (2008), 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자율적 학급풍토, 문제해결기술, 내재적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2), p141-172.
35. 이지숙, (2016), 메슬로(A.H.Maslow) 이론의 단계적 소비욕구 변화에 대응하는 디자인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애숙, (2006),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태도가 학생의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전혜경,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성격특성과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정은주, (2005),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정은이, 박용한, (2008), 대학생들의 교수신뢰와 학습동기 및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9(1), p73-93.
40. 정진숙, (2004), 자기 충족적 예언이 발달장애아의 학습 수행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제영, 선미숙, (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4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자료집, p15-34.
42. 정호준, 김도현, 오정일, (2015), 러더십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단순최소자승 모형과 순위프로빗 모형의 비교, 행정논총, 53(4), p299-320.
43. 조영재, 한석근, (2015), 부모·학생배경과 학교적응 관계 분석, 교육문제연구, 21(2), p117-144.
44. 조윤형, (2013), “한국에서 진성 리더십 연구 현황 및 전망”, 2013년도 대한리더십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63-70.
45. 조인숙, (2015), 초등학교 교사의 관리자에 대한 진정성 체험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주철안, 박상욱, 홍창남, 이상철, (2012), 학교조직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학교조직 진단 영역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3(2), p57-80.
47. 지은림, 백순근, 채선희, 설현수, (2003), 교사-학생 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6(2), p25-41.
48. 최영주, (2013), 청소년의 자기은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허성미, 박미화, (2017),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애착, 교사권위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발달지원연구, 6(2), p167-182.
50. 홍성훈, 김희수, (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6, p33-53.
51. 황국현, (2015), CEO의 소명의식과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황미영, (2009), 리더십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교육학회 부산교육학연구, 22, p125-154.
53. Avolio, B. J., et al., (2004),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15, p801-823.
54. Avolio, B. J., et al., (2005),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6, p315-338.
55. Bagwell, C. L., at al.,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 ment, 69, p140-153.
56. Brookover, W.B., at al., (1979), School social systems and student achievement: Schools can make a difference, New York, Praeger.
57. Harter, S., (2002), Authenticity, In, C. R. Snyder, & S.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382-394.
58. Mandel, H. P., & Marcus, S. I., (1988), The psychology of underachievement: Differential diagnosis and differential treatment, New York, Wiley.
59. Mashburn, A. J., (2008), Measures of classroom quality in prekindergarten and children's development of academic, language, and social skills, Child Development, 79, p732-749.
60. McClelland, D. C., (1985), Human motivation, Glenview. IL, Scott Joresman.
61. Murray, H. A., (1938), Exploration in Personality: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ifty men of college a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2. Neider, L. L., & Schriesheim, C. A., (2011), The Authentic Leadership Inventory(ALI):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s, The Leadership Quarterly, 22(6), p1146-1164.
63. Pianta, et al., (1992), Pygmalion in the classroom: Teacher expectation and pupils' intellectual development (Expanded ed.), New York, Irvington.
64. Roeser, R. W., et al., (1998), Academic and emotiona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Longitudinal relations, patterns, and prediction by experience in middle schoo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0, p443-471.
65. Smey Richman & Barbara, (1989), Teacher expectations and low-achieving students, ERIC Document.
66. Skinner, E. A., & Zimmer-Gembeck, M. J., (2007), The development of cop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 p119-144.
67. Trowler, V., & Trowler, P., (2010), Student engagement evidence summary,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p1-38.
68. Umbach, P., & Wawrzynski, M., (2004), Faculty do matter: The role of college faculty in student learning and engagement,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6(2), p153-184.
69. Walumbwa, F. O., et al., (2008), Authentic leadership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34(1), p89-126.
70. Wentzel, K. R., (2009),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s motivational contexts, In, K.R. Wentzel, & A. Wigfield (Eds.), Handbook of Motivation at School, p301-322, New York, Routledge.
71. Witt, L., et al., (2004),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immediacy and student learning, Communication Monographs, 71, p184-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