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77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0, No. 58, pp. 31-60
Abbreviation: RCKYC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28 Nov 2018 Revised 16 Dec 2018 Accepted 24 Dec 2018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9.04.58.31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에 미치는 효과
김서영2) ; 김택호3)
2)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 박사과정
3)조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교신저자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with Smartphone Addiction.
Kim, Seoyoung2) ; Kim, Tackho3)
2)CHA University, Department of Major in Clinical Art Therapy, Ph.D. program
3)Chosun University,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e Professo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스마트폰 중독아동에게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은 만족지연이론 및 관련 변인 분석과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에게 프로그램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연구집단은 G광역시 지역아동센터의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에 해당하는 고위험과 잠재적 위험 점수에 상응하는 아동 30명(실험집단 15명, 대기집단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2016년 7월 20일부터 2016년 8월 26일까지 총 12회기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만족지연능력 평정 척도와 자기통제력 척도,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만족지연능력 검사와 자기통제력 검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서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제공하였을 때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만족지연이론과 관련변인을 근거 구성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아동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 충동을 지연하고 무계획적 사용을 감소시키며, 스마트폰에 의존하거나 집착하지 않을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who are addicted to smartphones, and also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was focused on developing a group art therapy based on an analysis of factors causing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s,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ory and other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n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program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amendment with the advices of a professional group which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The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each with 15 children who had a smartphone and who scored high in high risk and potential risk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 community child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total duration of the program was twelve weeks which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per week for six week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ajor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rom these results,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whe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is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s, it showed effectivenes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objectives of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e research may contribute to bring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if the program is consistently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s.


Keywords: children, smartphone addiction, delay of gratification, group art therapy
키워드: 아동, 스마트폰 중독, 만족지연, 집단미술치료

Ⅰ. 서 론

현대사회의 첨단 기술의 발전은 삶에 신속함과 편리함을 제공하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생활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우리사회의 대표적 통신 매체로 자리 잡은 스마트폰(Smart phone) 사용의 확대는 ‘스마트혁명’으로 불리며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산업과 노동, 교육 및 사회 현상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마트 폰의 기술적 발전은 우리의 삶에 편리함과 유용성을 주었지만, 역으로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정신적·신체적·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폰의 편리함으로 인해 스마트 폰 보유율은 아동들에게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5)에 따르면 초등학생 아동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59.3%로 나타났으며, 2011년 21.4%보다 2.5배 높아져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의 급격한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고, 시·공간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조작이 용이하여 터치 한번으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편리한 휴대 기기로 생활의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스마트폰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스마트폰의 역기능으로는 음란물 노출, 폭력적 게임에 몰두, 언어파괴, 도촬(도둑 촬영)로 인한 인권침해 및 사이버 왕따로 인한 학교 폭력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시력저하, 거북목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 등의 신체적 문제(박지선, 2012)와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으로 인한 금단현상, 업무 혹은 학업에 장애가 있다(이민석, 2011).

스마트폰 사용 조절과 통제능력이 부족한 아동들은 스마트폰 중독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정보화진흥원(2015)의 2014년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동·청소년 10명 중 3명(29.2%)이 스마트폰 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스마트폰 중독과 유사한 인터넷 및 휴대전화 중독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장혜진(2002)임경미(2005)는 휴대전화 중독에서 중요 요인으로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의 상실을 지적하며 자기통제력이 약한 아동이 중독에 쉽게 빠진다고 하였고, 김혜경(2007)은 통제력이 낮은 사람일수록 휴대폰을 더욱 과도하게 사용하며, 자기통제의 실패는 휴대폰의 중독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또한 김종운(2008)은 아동은 호기심이 많고 충동조절이 어려우며 통제력이 낮아 미디어 매체중독에 취약하다고 하였으며, 최옥영(2010)은 자기통제력이 휴대폰 중독 감소에 영향을 주며 예방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기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연구에서 김보연(2012)은 아동의 경우 자기통제력과 자기조절력이 약해 스마트폰 중독성이 성인에 비해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고, 김혜영(2013)은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 및 문제적 이용을 극복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외에 여러 선행연구(박영순, 2015; 박우철, 2015; 손명원, 2014)에서 자기통제력을 스마트폰 중독에 주요 변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아동의 미디어 매체중독 선행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자기통제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자기통제력은 한 개인이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바람직하지 못한 충동을 억제하거나 극복하고 자신의 인지·정서·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자기통제력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만족지연(delay of gratification)실험상황 속에서 수행되었다(손자경, 1994; 정영숙, 1994; Goldman & Everett, 1985; Schwarz, Schrager & Lyons, 1983; Berkowitz, 1982; Mischel & Baker, 1975). 이금섭(2004)은 만족지연능력이 자기통제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김혜순과 조복희(2008)의 연구에서도 자기조절력과 자기통제력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능력으로써 만족지연능력을 강조하였다.

자기통제력 발달의 중요한 측면인 만족지연능력은 자기통제력의 행동적인 표현방법으로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위하여 즉각적 소망을 지연하는 능력이며(Mishcel, Shoda, & Peake, 1988), 아동들이 스스로 충동을 조절하고 보다 미래지향적이며 성취지향적인 가치관을 내재화 시킬 수 있는 발달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족지연(delay of gratification)은 미래의 더 큰 이익을 위해 즉각적인 욕구만족을 스스로 지연하고, 그 지연에 따른 자발적인 좌절을 인내하는 행동을 의미한다(Mischel, 1974). 이렇게 자신의 즉각적인 욕구의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을 철학적 관점에서는 의지력(will power)으로,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자아강도(ego strength)의 핵심요인으로 다루어 왔다(Mischel, 1981). 다시 말해 만족지연이란 유혹에 대한 저항, 욕구의 지연 행동, 좌절 인내 등의 행동적 능력으로(김혜순, 2006), 만족지연능력은 외적인 힘에 의한 것이 아닌 개인 내부의 자발적인 행동이며 자신이 스스로 계획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순간적인 감정이나 욕구를 조절하고, 미래의 더 큰 만족을 위해 일시적인 유혹들을 극복하는 것이다(Mischel, 1973). 이는 아동이 다양한 장면에서 바람직한 목표에 맞게 행동을 스스로 지연시킬 수 있고, 성공적인 학습과 사회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으로 자신의 충동적이고 즉각적인 욕구를 적절히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결과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통제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만족지연능력은 미술작업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은 아동 자신이 스스로 주체가 되어 창의적인 작업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고 적절한 미술표현과 미술매체의 사용을 통해 아동의 통제능력이 키워지기도 한다. 또한 아동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활동으로 거부감이 적어 심리적 접근이 용이하고 언어표현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게 적합하다. 특히 집단미술치료는 지지와 존중의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검증하고, 미술활동과정과 작품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이에 아동 참여자들은 상호존중의 환경 속 에서 공통된 문제를 다루고 서로에게 피드백을 주며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족지연과 집단미술치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만족지연능력에 영향을 받는 자기통제력과 집단미술치료의 긍정적 영향은 국내의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김정우(2008)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내외 통제성과 자기효능감 증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문리학(2008)은 인터넷 중독 아동에게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은 긍정적 자아를 강화시키고 자기통제를 증가시켜 치료적 접근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또한 이진화(2005)노영희(2008)는 집단미술치료가 게임 중독 아동의 자기통제력 증가에 효과를 준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박송호(2014)는 자기통제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청소년에게 자기통제력 강화와 인터넷 중독 수준의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세계 상위권으로 스마트폰 보급률 확대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회적·교육적 문제와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스마트폰 중독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그 대상이 대부분 청소년에 국한되어 있으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김동균, 2013; 이지은, 2014; 김태용, 2015)와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변인(최남순, 2013; 변명선, 2014; 류세인, 2015),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김희진, 2014; 권보람, 2015; 김효숙, 2015; 홍선희, 2015)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 연구는 박영순(2015)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통제 훈련이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홍선희(2015)의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SNS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연구로 그 수가 많지 않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 치료적 접근으로 미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만족지연이론과 변인을 토대로 구성한 집단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능력 증진을 통한 자기통제력 강화와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효율적인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만족지연이론과 관련 변인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구성 절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특성에 맞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를 모집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에 있는 지역아동센터에 연구집단 모집 공고를 메일로 발송하고, 신청한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아동들에게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한국정보화진흥원, 2011)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분류기준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에 해당하는 고위험과 잠재적 위험 점수에 포함되는 아동 42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21명, 대기집단 21명으로 각각 선정하였고, 아동들의 평균 연령은 만 11세이다. 연구 집단 아동들과 보호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활동을 안내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서면으로 받았다. 연구에 참여한 총 42명의 아동 중에서 총 12회기 전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과 사전·사후 검사를 모두 실시한 아동으로 결과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15명, 대기집단 15명으로 총 30명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에서 제외된 각 6명의 아동은 총 12회기 중 3번 이상 참여를 못하였거나 사후 검사를 실시하지 못하여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다음 연구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 스마트폰 사용기간을 <표 1>에 제시하였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 스마트폰 사용기간
A 성별: 남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2년
I 성별: 여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2년
B 성별: 남
나이: 12세 (5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3년
J 성별: 여
나이: 12세 (5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3년
C 성별: 여
나이: 12세 (5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3년
K 성별: 남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4년
D 성별: 남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1년 6개월
L 성별: 남
나이: 12세 (5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2년
E 성별: 남
나이: 12세 (5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1년 6개월
N 성별: 여
나이: 10세 (3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3년
F 성별: 남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1년 6개월
M 성별: 남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1년
G 성별: 남
나이: 12세 (5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4년
O 성별: 여
나이: 10세 (3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3년
H 성별: 남
나이: 11세 (4학년)
스마트 폰 사용 기간; 2년 6개월

2. 연구도구
1)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 1

이 척도는 아동이 다양한 상황에서 보상을 위해 기다릴 수 있는 아동의 만족지연능력을 평정하도록 되어있다. Olson과 kashiwari(2000)의 연구로부터 최초로 구성된 도구이며, Opper(2003)의 연구에 사용된 것을 김혜순(2006)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이다.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 되었고, 거의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은 편이다.(2점), 보통이다(3점), 종종 그렇다(4점), 거의 그렇다(5점)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답하게 되어있다. 만족지연능력 척도 검사 방법은 응답 결정 부분에서 아동이 먼저 ‘그렇다, 아니다, 보통이다,’ 이 중 1차 선택을 하도록 하였으며, 이 중 ‘그렇다.’ 또는 ‘아니다.’를 선택할 경우 약간인지 매우인지 2차 척도 선택을 하도록 하였다. 전체 점수 범위는 0 ~ 8점까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 1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932로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2)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 2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측적도구는 Gorrfredson과 Hirschi(1990)의 자기통제력 척도와 남현미(1999)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재구성하고, 이계원(2001)이 수정·보완한 자기통제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지의 신뢰도는 남현미(1999)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78이었으며, 이계원(2001)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74이었다. 총 20문항으로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에 관한 문항 10개와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에 관한 문항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집중력이 있고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며, 자신의 욕구를 지연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 하는데 이용되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우는 충동적이고 자신위주로 생각하며, 말보다는 행동이 앞서는 경향이 있는가를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즉,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에 경향이 높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낮을수록 만족지연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10개의 문항(척도의 3, 5, 6, 7, 9, 14, 16, 17, 18, 19번 문항)은 역으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25로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3)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S-척도)

본 연구 대상은 아동으로 만 10~12세이지만, 청소년복지지원법에서 청소년 연령 기준인 9세 이상~18세 이하에 포함 되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청소년 스마트 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의 문항구성과 유형별 점수,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구성한 청소년 스마트 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 지향성, 금단, 내성의 4개의 하위요인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 의 4점에 이르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신뢰도는 본 연구에서의 일상생활 장애 .71, 가상세계지향성 .58, 금단 .69, 내성 .69, 전체 .89로 나타났다.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본 연구의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김창대 등(2011)의 프로그램 및 평가모델을 기초로 하여 총 4단계의 과정을 통해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구성 단계별 내용으로는 1단계 목표수립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표를 재정립한다. 2단계 프로그램 구성에서는 설정한 목표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이루어지며 프로그램 단계구성 요인 및 원리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될 활동을 수집·정리하여 각 활동을 잠정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제시전략을 설정한다. 3단계 예비 프로그램 운영 및 장기적 효과 제고 노력 단계로 소수의 대상에게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다양한 평가와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다. 4단계인 본 프로그램 구성에서는 예비연구를 통해 수정·보완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단계지만 프로그램의 수정을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단계이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은 만족지연이론 및 관련 변인 분석과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집단미술치료를 근거로 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 구성 요인으로는 도입, 인식, 긍정정적서, 모델링 & 간접적 강화, 만족지연전략 탐색, 만족지연전략 활용, 마무리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인식

인식을 하기위한 단계에서는 인식의 주체인 자아와 자아의 기능을 파악을 해야 한다. 정신분석적 이론에 의하면 자아는 현실원칙에 따른다고 한다(Klein, 1972). 이는 자아의 주요 기능으로 내적 욕구와 충동과 함께 외부상황을 고려하며 자신의 충동적인 욕구의 만족을 지연시키는 것이다(Block & Block, 1980). 이러한 자아의 기능은 자신의 내부세계와 외부 현실 사이를 연결해 주는 것으로 주변으로부터 효과나 영향력을 가지려는 효과성 동기와 더 나은 환경을 다루고자 새로운 것을 배우는 쪽으로 움직이는 유능성 동기에 의하여 작용하며, 환경에 대한 적응을 증가시키는 동기는 지속적으로 삶의 중요한 부분인 유능감을 발달시킨다. 동시에 자아는 현실과 관계에 적응을 위해 일부 적응은 충동을 억제하는 학습을 하는 것으로 더 나은 통제능력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융통성 있는 행동을 알아감으로써 성공적인 적응을 이루게 도와준다(정윤진, 2009).

(2) 긍정적 정서

인간은 행복한 정서를 느낄 때 즉각적인 보상보다는 지연된 보상을 선택한다. Moore 외(1976)의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정서성을 가진 사람이 부정적인 정서성을 가진 사람보다 보다 큰 보상을 위해 자신의 욕구를 지연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이처럼 만족지연을 수행하는 사람의 정서 상태는 만족지연에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긍정적인 정서는 만족지연으로 인한 좌절인내에서 오는 개인의 증가된 심리적 부담을 견뎌낼 수 있는 보다 큰 의지를 주고, 자신의 이익과 목표에 대한 주의를 증가시키며, 타인과 자신에게 더 우호적인 경향을 지닐 수 있게 한다.

(3) 모델링 & 간접적 강화

만족지연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상황적 변인들에서 만족지연은 개인의 사회인지적 능력과 상황적인 조건에 의해 여러 측면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Flavell, 1977).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즉각적으로 얻을지, 이후에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지에 대해 만족을 지연 하며 자기통제를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자기통제력이 발달 중에 있는 아동기에 만족지연에 대한 자발적 자각을 돕는 모델링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지연행동은 아동의 직접적인 경험 외에도 욕구만족을 지연하는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대리적 강화경험을 통해 자기통제에 간접적 강화가 이루어지고, 다른 사람들이 욕구만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어떠한 반응하고 행동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환경적으로 적절한 모델링의 제공은 성공적인 유능감을 획득하려는 특성에 따라 자아에게 행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정윤진, 2009).

(4) 만족지연전략 탐색

만족지연전략 중 높은 수준의 인지적 전략은 단순한 전략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전략으로써 만족지연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예로 4~6세 아동에게 여러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을 때, 아동은 정서 경험을 조절하기 위한 인지적, 행동적인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는 연구(Brown, et al., 1991)와 같이 인지적 전략은 아동의 자발적인 만족지연 전략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인지 발달 이론에서는 만족지연능력을 아동의 인지적 성장을 반영한 결과로 제안하고 있다(Mischel et al., 1972). 이는 성공적인 만족지연은 자신의 충동적인 욕구의 지연이 미래의 보다 큰 보상과 관련된다는 인지처리과정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아동은 인지적 발달에 따라 더 복잡하고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5) 만족지연전략 활용(유혹저항)

만족지연능력은 학업뿐만 아니라 정서적·사회적 영역으로도 확대된다. 보다 큰 이익을 위해 유혹을 참고 만족은 지연시키려는 자발성은 사회적 책임성의 기본 요소로(Mischel(1961) 이러한 효과적인 만족지연전략이 발달된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이 더 좋고 높은 성취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보다 자아통제를 잘 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고 한다.(Mischel, et al., 1989). 이에 만족지연전략 활용은 아동이 일상생활 속에서 만족지연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아동은 인지적 발달에 따라 더 복잡하고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게 되며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아동은 자기가 한 언어적 내용에 영향을 받는다.

2)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도입: 1회기

1회기: 프로그램에 들어가기에 앞서 프로그램을 구조화시키고 아동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아동들이 직접 프로그램 안에서의 규칙을 설정하게 한다. 본 활동으로는 자신이 가상세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닉네임을 정하여 명찰을 꾸미고 소개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아동이 프로그램에 기대하는 바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 인식: 2~3회기

2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 활동으로 스마트폰을 주제로 집단 마인드맵을 실시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집단원의 생각을 알아보고, 본 활동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아동이 많이 보는 화면, 많이 사용하는 기능, 좋아하는 기능을 선정한 후 나의 스마트폰 만들기를 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 중 ‘왜’그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 지 생각해 보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신의 욕구를 인식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 활동으로 여러 가지 색을 보고 각 색마다 떠오르는 단어, 느낌을 이야기하며 집단 컬러감정표를 만들고, 본 활동으로 요즘 자신이 자주 느끼는 감정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감정을 떠올리고 색종이를 선택하여 색종이난화로 표현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기감정탐색과 자주 느끼는 감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긍정적 정서: 4~5회기

4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 활동으로 일주일 동안의 나의 하루를 떠올리며 활동지에 표정스티커 붙이고, 긍정적·부정적 감정을 나누어 본다. 본 활동에 들어가기에 앞서 종이 뽑기를 통하여 집단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도자기 찰흙매체를 제공하여 아동들이 미술매체를 충분히 탐색하는 시간을 갖는다. 본 활동으로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찰흙에 담고, 집단 긍정적 감정 산 만들기와 부정적 감정 쓰레기통에 버리기 활동을 한다. 활동을 마무리 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긍정적 정서 경험과 부정적 감정 해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5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 활동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강점을 찾는 9가지 질문(1. 나는 무엇을 즐기나요/ 2. 주변사람들에게 받은 칭찬/ 3. 나는 나의 어떤 모습이 좋은가요/ 4.지금까지 내가 해본 일 중 내가 특히 잘했던 것은?/ 5. 부족하고 잘 안될 때 오기가 생겨 더 열심히 해본 적이 있나요/ 6.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힘이 솟나요/ 7. 내가 자랑스러울 때는 언제인가요? / 8. 내가 닮고 싶은 사람의 가장 닮고 싶은 점은?/ 9. 어떤 칭찬이 가장 마음에 드나요)을 통해 자신의 강점을 찾는다. 그중 ‘내’가 또는 ‘우리’가 잘할 수 있는 것을 적어 집단 강점목록표를 만든다. 본 활동에 들어가기에 앞서 종이 뽑기를 통하여 집단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자 자신의 강점이 적힌 색종이 꽃을 표현하여 전지에 붙이고 꾸미며 아름다운 꽃밭을 만든다. 활동을 마무리 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 하고, 긍정적 경험과 긍정적 자기인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4) 모델링 & 간접적 강화 : 6~7회기

6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활동으로 일주일 간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량을 떠올리며 터치터치 그래프 활동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이 참기 어려운 상황을 이야기한다. 치료사는 만족지연에 대해 소개하고 만족지연실험상황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하고 그 개념과 스마트폰 만족지연 상황에서 잃을 수 있는 것과 얻을 수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 때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에서의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활동으로 이러한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 대한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거친 사포에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만족지연 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7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활동으로 아동들에게 만족지연상황에 대한 동화를 들려주고, 어떤 선택을 할지 상황을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자신의 비슷한 경험에 대해 글이나 그림으로 간단하게 표현한다. 본 활동으로는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서 지연행동을 선택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변신가면을 만들고 소개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지연상황에 대한 간접적 강화경험과 지연상황 탐색 및 지연행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 만족지연전략 탐색: 8~9회기

8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활동으로 아동들에게 만족지연상황에서 사용 될 수 있는 만족지연전략들을 소개하고 아동이 마음에 들거나 사용하고 있는 전략에 대해 이야기한다. 만족지연성공 상황을 떠올리며 감정언어퍼즐 활동지를 통해 감정언어를 찾고, 어떤 감정이 느껴지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본 활동으로는 스마트폰 만족지연성공 사례를 찾고 그 상황에서의 자신의 상태(에너지, 감정 등)를 색으로 표현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만족지연성공 상황 탐색과 지연 전략탐색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9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활동으로 지연 상황 안에서의 나의 머릿속 생각들을 떠올려 활동지를 작성하고 어떤 생각들이 지연행동에 도움을 주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때 아동의 만족지연성공 상황에서 목표를 두었던 것들을 중요하게 다루어 준다. 본 활동으로는 만족지연성공 상황에서 사용한 전략을 장면장환 그림 그리기를 통해 표현 한다. 그리고 자신의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서의 전략을 작품을 통해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아동의 만족지연성공 재 경험과 자신의 지연전략 찾기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6) 만족지연전략 활용(유혹저항) : 10~11회기

10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활동으로 일주일간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서의 지연전략 사용에 대해 체크하고 어려웠던 점에 대해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본 활동에서는 고운 모래와 파스텔을 이용해 자신의 만족지연전략을 상징하는 색을 표현하고 소개한다. 유리병에 각 집단원이 만든 색 모래를 나누어 담으며 장식품을 만든다. 이때 다른 집단원이 자신의 색 모래를 담아갈 때 자신의 만족지연전략을 이야기하게 한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아동의 만족지연전략 강화와 성취감 및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1회기: 활동에 들어가기 전 준비활동으로 지난회기에 이어 일주일간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서의 지연전략 사용에 대해 체크하고 힘들었던 점에 대해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때 아동의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서의 노력한 바를 충분히 지지하고 인정해 준다. 본 활동으로는 스마트폰 만족지연상황에서 자신의 목표를 상기 시켜주는 캐릭터를 만들고 프로필을 작성한다. 그리고 자신의 만족지연 캐릭터를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에 대한 느낌이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만족지연전략 강화와 성취감 및 자신감향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12회기: 프로그램 전체를 돌아보고 지난회기에 대한 소감을 나누며,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계획이나 목표에 대한 글을 쓰며 목표의지를 다진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통해 알게 된 것이나 궁금한 사항들을 질의 응답하는 시간을 갖는다. 다과파티를 열어 앞으로의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의지를 다지며 즐겁게 마무리한다. 12회기의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은 <표 2>와 같다.

<표 2>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 영역 회기 주제 회기별 목표 주요내용
초기 도입 1 만나서 반가워요 -프로그램 이해
-흥미유발
-프로그램 소개와 인사
-집단 규칙정하기
-닉네임 정하기
인식 2 나의 스마트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나의 욕구를 인식 -워밍업 : 집단 마인드맵
-나의 스마트폰을 만들고 자주 쓰는 기능을 탐색하기
3 나의 기분은? -자기감정탐색
-자주 느끼는 감정인식
-워밍업 : 집단 컬러감정표 만들기
-자주 느끼는 감정을 색종이 난화로 표현하기
초기 긍정적
정서
4 우리들의 산 -긍정적 정서 경험 및 부정적 감정 해소
-집단원 간 친밀감 형성
-워밍업 : 나의하루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감정 다루기
-집단 활동 : 긍정적 산 만들기
-부정적 감정을 쓰레기통에 버리기 놀이로 해소하기
5 아름다운 꽃밭 -긍정적 자기인식
-긍정적 정서경험
-워밍업 : 집단 강점목록표
-나의 강점 색종이 꽃 만들기
-집단 활동 : 꽃밭 만들기
중기 모델링&간접적
강화
6 만족지연? -만족지연 개념 이해 -워밍업 : 터치터치 그래프
-만족지연 동영상 시청
-스마트폰 만족지연 상황에서 잃을 수 있는 것과 얻을 수 있는 것 이야기하기
-사포그림그리기
7 만약 나라면? -지연 상황 탐색 및 지연행동 동기 부여
-지연 상황에 대한 간접적 강화 경험
-워밍업 : 동화를 듣고 주인공이 되어 만족지연 상황 선택하기
-만족지연 가면 꾸미기
만족지연 전략탐색 8 나의 만족지연 전략 -만족지연성공 상황 탐색
-만족지연전략 탐색
-워밍업 : 만족지연전략 알기 감정언어퍼즐
-스마트폰 만족지연성공 사례 찾기
-색으로 표현하기
9 만족지연성공상황 그리기 -만족지연성공 재 경험
-만족지연전략 찾기
-성취감
-워밍업 : 나의 머릿속
-만족지연 상황에 도움을 주는 것 이야기하기
-자신의 만족지연전략 찾기
-장면 전환 그림 그리기
말기 만족지연전략활용
(유혹저항)
10 만족지연 장식품 -만족지연전략 강화1
-성취감 및 만족감
-워밍업 : 지연전략 활용 체크 1
-자신의 만족지연전략을 색 모래로 표현하기
-다른 집단원에게 자신의 만족지연 전략을 소개하며 나누어 담기
11 만족지연 캐릭터 -만족지연전략 강화2
-성취감 및 자신감향상
-워밍업 : 지연전략 활용 체크 2
-만족지연 목표 정하기
-만족지연 캐릭터를 만들고 소개하기
마무리 12 할 수 있어요! -전체 프로그램을 돌아보며 스스로 목표설정하기 -스마트폰 사용 목표 설정하기
-프로그램 소감 나누기
-다과파티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한 전문가 집단은 상담학전공교수 1인, 미술치료 전문가 2인, 미술치료 현장 실무자 1인의 총 4명으로 구성 하였다. 전문가 내용 타당도 질문지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적합성, 프로그램 목표에 따른 목적, 회기별 내용 타당도로 구성되었으며, 내용타당도의 평점은 서면평점으로 진행하였다. 점수는 1~5점의 Likert 척도에 따라 평정을 의뢰하고 내용타당도 지수는 Lynn(1996)이 제시한 내용을 토대로 CVI(Content Validity Index) .80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유의한 항목으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모든 문항에 CVI가 .80을 초과하여 본 프로그램이 유의한 항목으로 타당하게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4. 연구설계 및 절차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만족지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사전, 사후 검사의 비교를 위한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을 설계하였다. 독립변인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며 종속변인은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만족지연이다. 본 연구의 설계를 도식화하면 <표 3>과 같다.

<표 3> 
연구 설계
사전검사 프로그램 실시 사후검사
실험집단 O₁ X O₂
대기집단 O₁ - O₂
O₁: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만족지연능력의 사전검사
O₂: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만족지연능력의 사후검사
X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연구 절차

본 연구의 실험은 예비조사에 따른 실험설계, 선별 검사와 사전검사, 본 실험, 사후 검사로 진행되었다. 선별 검사와 사전검사 후 실험집단에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6주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대기집단에는 선별 검사와 사전 검사 실시 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자 및 프로그램 진행자의 구성은 본 연구의 연구자와 미술치료사과정을 수련 중이며 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 경험이 있는 연구 보조자 1명으로 총 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2015년 7월 8일부터 2015년 7월 15일 까지 7일간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선별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선별검사는 본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함께 지역아동센터에 있는 상담실에서 아동과 일대일 개별검사로 실시하였다. 이는 검사 시 아동이 자신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해 정확한 자기 인식 및 스마트폰 과다 사용 기준에 대해 인지하지 못할 경우를 우려하여 개별검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5년 7월 20일부터 2015년 8월 26일까지 주 2회씩, 6주에 걸쳐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사후검사는 2015년 8월 26일 사전검사와 동일한 도구와 방법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대기 집단에게 실시하였으며 대기집단의 처치는 2015년 11월에 총 6회기로 실험집단과 동일한 목표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3) 자료분석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집단(실험/대기)의 검사 시기(사전/사후)별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의 전체 점수를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집단(실험/대기)의 검사 시기(사전/사후)별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전체점수와 하위요인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실험/대기)의 검사 시기(사전/사후)별 스마트폰 중독의 전체점수 및 하위 요인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질적 분석을 위해 참여자 행동특성 양적분석과 참여자 행동특성 관찰내용 분석을 하였으며 이는 연구도구를 기반으로 구성한 평가표가 사용되었다. 참여자 행동특성 양적분석은 치료사와 보조치료사의 행동관찰 평가분석과 참여자의 자기행동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참여자 행동특성 관찰내용 분석에서는 참여관철법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개인별, 회기별 행동관찰분석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초기 중기 말기 작품과 작업과정을 본 연구의 종속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에 미치는 효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표 4>에 제시하였고, 이를 반복측정 변량분석하여 <표 5>에 제시하였다.

<표 4>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에 대한 실험집단 ·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구분 실헙집단(n=15) 대기집단(n=15)
M(±SD) M(±SD)
만족지연능력1 사전 25.73(3.10) 25.60(5.37)
사후 31.20(3.99) 24.67(5.59)

<표 5>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에 대한 집단유형(실험·대기)과 측정시기별(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변수 변산원 SS df MS F P
만족지연
능력1
집단간
  집단 166.667 1 166.667 4.462 .044
  오차 1045.933 28 37.335
집단내
  집단시기 77.067 1 77.067 27.547 .000
  집단X검사시기 153.600 1 153.600 54.904 .000
  오차 78.333 28 2.798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54.904,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1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에 미치는 효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표 6>에 제시하였고, 이를 반복측정 변량분석하여 <표 7>에 제시하였다.

<표 6>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에 대한 실험집단 · 대기집단 사전·사후 평균
구분 하위요인 실헙집단(n=15) 대기집단(n=15)
M(±SD) M(±SD
만족지연
능력2
전 체 사전 60.27(6.82) 62.20(9.40)
사후 68.80(5.158) 61.47(8.24)
장기적 만족 사전 28.53(4.84) 30.33(6.43)
사후 34.07(4.15) 30.07(4.99)
즉각적 만족 사전 31.73(3.69) 31.87(4.61)
사후 34.73(2.22) 31.40(4.58)

<표 7>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에 대한 집단유형(실험·대기)과 측정시기별(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변수 변산원 SS df MS F P
만족지연
능력2
집단간
  집단 109.350 1 109.350 1.065 .311
  오차 2876.133 28 102.719
집단내
  집단시기 160.067 1 160.067 8.625 .007
  집단X검사시기 180.267 1 180.267 9.713 .004
  오차 519.667 28 18.560
장기적 만족 집단간
  집단 18.150 1 18.150 .401 .532
  오차 1266.600 28 45.236
집단내
  집단시기 132.017 1 132.017 14.073 .001
  집단X검사시기 98.817 1 98.817 10.534 .003
  오차 262.667 28 9.381
즉각적 만족 집단간
  집단 38.400 1 38.400 1.390 .248
  오차 773.333 28 27.619
집단내
  집단시기 24.067 1 24.067 8.654 .006
  집단X검사시기 45.067 1 45.067 16.205 .000
  오차 77.867 28 2.781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하위유형에서 장기적 만족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0.534,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장기적 만족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둘째, 만족지연능력 평정척도2의 하위유형에서 역 채점된 즉각적 만족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6.205,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역 채점된 즉각적 만족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효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자기진단척도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표 8>에 제시하였고, 이를 반복측정 변량분석하여 <표 9>에 제시하였다.

<표8>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대한 실험집단 · 대기집단 사전 · 사후 평균
구분 하위요인 실헙집단(n=15) 대기집단(n=1)
M(±SD) M(±SD)
스마트폰
중독
전 체 사전 40.87(6.53) 36.40(3.25)
사후 29.27(5.11) 39.13(4.91)
일상생활장애 사전 14.60(1.30) 13.73(1.94)
사후 10.33(2.02) 13.73(1.79)
가상세계지향 사전 4.80(1.32) 3.40(1.55)
사후 3.20( .86) 4.00(1.51)
금단 사전 9.47(2.61) 8.27(2.22)
사후 6.80(2.01) 9.67(1.95)
내성 사전 12.00(2.45) 11.00(1.85)
사후 8.93(1.94) 11.73(1.28)

<표 9>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대한 집단유형(실험·대기)과 측정시기별(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변수 변산원 SS df MS F P
스마트폰 중독 집단간
  집단 109.350 1 109.350 2.945 .097
  오차 1039.733 28 37.133
집단내
  집단시기 294.817 1 294.817 20.219 .000
  집단X검사시기 770.417 1 770.417 52.837 .000
  오차 408.267 28 14.581
일상생활장애 집단간
  집단 24.067 1 24.067 5.464 .027
  오차 123.333 28 4.405
집단내
  집단시기 68.267 1 68.267 34.462 .000
  집단X검사시기 68.267 1 68.267 34.462 .000
  오차 55.467 28 1.981
가상세계지향 집단간
  집단 1.350 1 1.350 .486 .492
  오차 77.800 28 2.779
집단내
  집단시기 3.750 1 3.750 4.646 .040
  집단X검사시기 18.150 1 18.150 22.487 .000
  오차 22.600 28 .807
금단 집단간
  집단 10.417 1 10.417 1.274 .269
  오차 228.933 28 8.176
집단내
  집단시기 6.017 1 6.017 3.705 .064
  집단X검사시기 62.017 1 62.017 38.192 .000
  오차 45.467 28 1.624
내성 집단간
  집단 12.150 1 12.150 2.986 .095
  오차 113.933 28 4.069
집단내
  집단시기 20.417 1 20.417 6.086 .020
  집단X검사시기 54.150 1 54.150 16.141 .000
  오차 93.933 28 3.355

스마트폰 자가진단 척도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 하위유형에서 일상생활장애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4.462,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일상생활장애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하위유형에서 가상세계지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2.487,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가상세계지향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 하위유형에서 금단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8.192,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금단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 하위유형에서 내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측정 시점 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6.141, p<.01).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내성 점수변화가 대기집단의 변화와 비교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Ⅳ. 결론 및 논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능력 및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미치는 효과검증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결과를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지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만족지연능력이 통계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게임중독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기통제력 향상시킨 이진화(2005)의 연구와 집단미술치료가 게임중독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한 노영희(2008)의 연구,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및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는 문리학(2008)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결과이며, 언급된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집단미술치료가 미디어 매체중독 대상자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켜 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지연능력은 자기통제의 행동적 표현으로 인지 심리학에서는 행동의 변화는 학습되는 것이며, 학습 경험이 끝나고 일정기간이 흐르면 부분적으로 상실되어 지속적인 연습을 하지 않으면 학습된 행동의 망각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는 한 반응의 재학습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학습된 행동수행의 반복횟수와 그 수행 간격이 아동의 지연행동 증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미술은 상징작업으로 이미지가 강렬하여 인식이 오래 남고, 미술 매체의 사용은 활동상황을 미술작품으로 남기며 아동 개개인별 소지할 수 있어 일상생활 속에서도 학습상황을 상기시켜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만족지연행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아동에게 동기부여와 강화작용을 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아동이 만족지연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지연전략의 활용도를 높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치료적 접근 방법으로서 만족지연이론 및 그 변인분석으로의 구성요인과 집단미술치료의 접근방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통계상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중독성과 공격성을 감소시킨 전소영(2013)의 연구와 집단미술치료를 중학생에게 실시하여 스마트폰 중독성감소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킨 박성미(2014)의 연구, 스마트폰 게임 중독 아동에게 자기교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를 주었다는 이승래(2015)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집단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그 대상이 대부분 청소년에 국한되어 있으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변인,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집단미술치료연구도 미비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스마트폰 수준을 감소시켜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의 논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지를 통해 선별한 만 10세에서 만 12세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능력점수는 증가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감소하였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치료적 접근 방법으로서 만족지연이론과 변인분석으로의 구성요인과 집단미술치료의 접근방법이 스마트폰 중독과 만족지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 아동들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 등을 해소시키고 내적 카타르시스 경험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갖으며 미술활동에서 결과물을 생산해냄으로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고 본다(주리애, 2000). 이는 아동들이 미술활동 과정 안에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강화하고 즉각적인 욕구충족을 조절하여 만족지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아동에게 만족지연능력의 향상은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에 효과적이며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접근 방식은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위한 치료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만족지연이론과 변인을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한 집단미술치료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능력 증진을 통한 자기통제력 강화와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효율적인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조선대학교 미술심리치료학과 김서영 석사학위논문(2016년 8월)의 일부임


References
1. 김종운, (2012), 학교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2. 김창대 외, (2011), 상담 및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3. 주리애 공저, (2000),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서울, 학지사.
4. 권보람, (2015), 초등학교 교사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교육 요구도,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동균, (2013),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조가 및 교육적 활용방안 고찰, 제주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보연, (2012),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우, (2008),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내외통제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태용,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혜경, (2007),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경향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혜순, (2006), 유아의 만족지연능력 및 관련변인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11. 김혜순, 조복희, (2008), 유아의 만족지연능력 및 관련변인 판별분석: 만족지연실험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9(3), p339-356.
12. 김혜영, (2013), 스마트폰 사용자의 해석수준과 자기통제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효숙, (2015), 초등학교 저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진,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노영희, (2008), 게임중독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미술치료 연구, 서울교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류세인,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리학, (2008),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성미, (2014),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송호, (2014), 자기통제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고등학교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영순, (2015),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우철, (2015), 초등학생의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메신저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지선, (2012), 청소년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변명선,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변인의 영향: 주의사용자군 · 위험사용자군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손자경, (1994), 보상에 대한 주목과 욕구만족의 지연; 보상수혜자에 따른 차동적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손명원, (2014), 스마트폰 이용, 감성지능, 자기통제력 및 심리적분리가 정서적 소진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28. 이금섭, (2004), 부적응유아의 만족지연행동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29. 이민석, (2011),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승래, (2015), 자기교시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게임중독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지은,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중독실태에 대한 고찰,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진화, (2005),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컴퓨터 게임중독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경미, (2005),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혜진, (2002),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자기개념, 애착, 자기 통제력, 충동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전소영, (2013),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중독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2015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
37. 정영숙, (1994), 어머니에 대한 배려가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38. 정윤진, (2009), 유아를 위한 만족지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남순, (2013),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변인: 부모양육태도, 자존감, 사회성,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옥영, (2010),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자기통제력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한국정보화 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서울.
4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43. 홍선희, (2015),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SNS 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3, p39-101, Hillsdale, NJ, Erlbaum.
45. Brown, K., Covell, K., & Abramovitch, R., (1991), Time courage and control of emotion: Ag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Merill-Palmer Quarterly, 37(2), p273-287.
46. Berkowitz, M. W., (1982), Self-Control Development and Relation to Prosocial Behavior: A Response to Peterson, Merrill-Palmer Quarterly, 28(2), p223-235.
47. Flavell, J. H., (1977), Cognitive development, N. J., Prentice Hall.
48. Goldman, A, P., & Everett, F., (1985), Delay of Gratification and Time Concept in Reflective and Impulsive Children, Child Study Joumal, 15(3), p167-180.
49. Gorrfredson, M.,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Klein, G. S., (1972), The vital pleasures, In, R. R. Holt, & E. Peterfreund (Eds.), Psychoanalysis and contemporary science: An annual of integr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Vol. I), New York, Macmillan.
51. Mischel, W., (1961), Preference for delayed reinforc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63(1), p1-7.
52. Mischel, W., (1973), Towards a cognitive social learning re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80(4), p252-283.
53. Mischel, W., (1974), Processes in delay of gratifica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
54. Mischel, W., & Baker, N., (1975), Cognitive appraisals and transformations in delay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31(2), p254-261.
55. Mischel, W., (1981), Metacognition and the rules of delay, In, Flavell, J. H., & Ross, L. (Eds), Cognitive Social Development: Frontiers and possible futur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Mischel, W., Ebbesen, E. B., & Zeiss, A., (1972), Cognitiveand attentional mechanism in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21(2), p204-218.
57. Mischel, W., Shoda, Y., & Peake, P. K., (1988),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4), p687-696.
58. Mischel, W., Shoda, Y., & Rodriquez, M. L., (1989), Cognitive person variables in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older children at ris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2), p358-367.
59. Moore, B., Clyburn, A., & Underwood, B., (1976), The Role of Affect in Delay of gratification, Child development, 47(1), p273-276.
60. Olson, S.L., & Kashiwagi, K., (2000), Teacher rating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A Japanese/ U.S. comparis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p609-617.
61. Opper, & Michele A., (2003), The role of Delay of Gratification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social, cognitive, and coping competence, Doctoral dissertation, The City fo New Yok.
62. Schwartz, J. C., Schrager, J. B., Lyons, A. E., (1983), Delay of gratification by preschooler: Evidence for the volidity of the choice paradigm, Child Development, 54(3), p6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