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Center for Korean Youth Culture
[ Article ]
Forum for youth culture - Vol. 38, pp.71-90
ISSN: 1975-273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4
Received 28 Feb 2014 Revised 19 Mar 2014 Accepted 21 Mar 2014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4.04.38.71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adaption in school life, stud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JeonMyongSun* ; KimTeaKyun**
*Myongji University **SungsanHyo University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ositiv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adaption in school life, stud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questionare survey was conducted to 2,351 middle school students in all area, 2,351(males 1,176, females 1,175) was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YP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data on 7th graders of second year in 2012 were used.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youth involved in youth activities of the average of 1.5, 11hours for one year,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as low.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academic achievement was middle grade, achievement value was higher than learning time management on study habit and companionship was the best on adaption in school life. Third, it was showed that when we investigated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time, and satisfaction, women more than men were participated various activity, longer time and were showed high satisfaction. In addition, adaption in school life, stud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higher in women than in men. Fourth, youth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y habit, adaption in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more youth involve in many youth activities, the more study habit, adaption in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higher.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봄으로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의 학습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2'의 자료 중 2차년도 중1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전국의 중학교 1학년을 모집단으로 하여 총 2,351명(남 1,176명, 여 1,17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청소년활동은 평균 1.5개 정도이고, 1년간 평균 11시간정도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도는 중간, 학습습관에서는 성취가치가 학업시간관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는 교우관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 순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청소년활동의 참여유형, 시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청소년활동에 더 많이, 더 길게 참여하고, 만족도도 높았다. 또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학습습관을 분석할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학습활동, 학습규칙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활동이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업성취도였고,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youth activities, study habit, adaption in school life, academic achievement, 청소년활동,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도

Ⅰ. 서 론

청소년 시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정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면서, 현재적인 삶을 잘 살아내고 미래적인 삶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 청소년은 이 변화를 겪으며 자신의 가치체계를 형성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등 다양한 발달과업을 이루어나간다. 그러면서 현재의 사회에 적응해 나가고 미래의 자신의 역할을 구성해 나간다. 그 변화 중 두드러진 것으로 대인관계의 확장을 들 수 있다. 가정에 머무르던 것이 외부로 뻗어나가 또래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친구관계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로 이들에게 친구는 애정, 동정, 이해의 근원의 장이고, 실험의 장이며, 부모로부터 자율성과 독립을 얻기 위한 후원의 장이다(정옥분, 2009). 또래관계를 통해 많은 영향을 받는 시기이므로, 또래들과 하는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청소년들이 또래와의 관계맺음을 할 수 있는 곳이 학교이다. 청소년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는 현재를 사는 곳이며, 미래를 준비하는 곳이기도 하다. 학교는 청소년들을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지적인 기능을 부여하고, 타인과의 정서적이고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해 나가도록 하는 사회화 역할을 하며, 학업성취를 통해 능력을 배양해 가도록 돕는 중요한 환경이다. 그러므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환경인 학교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그들이 발달과업을 완성해 나가고 균형적인 성장을 돕는 활동을 제공하여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입시위주의 교육정책에 치우쳐 청소년들에게 과도한 경쟁체제를 제공하여 학교가 스트레스를 주는 장소(이미리, 2003; 최원기, 2004; Lee & Lason, 2000)가 되고 있다. 그로 인해 청소년들은 비행, 폭력, 우울, 공격성, 도벽, 학교부적응 같은 병리현상을 나타내고 있다(심은실·김영혜, 2011; 정미경, 2012). 학교가 다양한 청소년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교육적 환경이 못되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청소년들이 가진 에너지를 건전하게 발산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 각자가 자신의 장점을 발견하고 살리며 단점을 장점으로 바꾸어갈 수 있도록 도우며(최형임·이재성·문영경, 2011), 청소년의 현재적 삶을 즐겁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경험의 기회로서 활동의 제공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외의 장소에서 자발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김윤나·박옥식, 2009; 문성호·문호영, 2009).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청소년기본법이 제정된 후에 청소년육성의 차원에서 청소년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에서의 삶 자체가 활동의 공간이었을 때는 활동의 제공이 필요하지 않았지만, 학교와 사회라는 공간적 요소가 분리되면서 인위적인 체험이 필수적인 것으로 요청되었다(권일남·김태균·최진이·이상경, 2012). 그러면서 최근 학교교육의 보완차원으로 더욱 더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청소년들을 위한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청소년활동이 개발되어 진행되고 있다.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청소년활동이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작용을 도와 성장경험을 제공하는 점에서 청소년 발달에 영향을 줌을 보여주고 있고(Busseri and Rose-Krasnor, 2010), 청소년활동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파악(김순규·최혜정, 2011; 문성호·문호영, 2009; 송광성 외, 1994: 이종원 외, 2007; 정유경, 2009), 청소년활동의 만족도 연구(김창현, 2008; 문성호·문호영, 2010; 정철상, 2002; 윤은종, 2004; 진은설·임영식, 2011), 효과성 연구(김선숙·안재진, 2012; 김성자 외, 2008; 김윤나·박옥식, 2009; 김지혜, 2012, 박재숙, 2010; 박정배 송병국, 2011; 설민희, 2009; 유진이, 2007; 이성은, 2009; 장승옥·한선혁, 2004; Busseri and Rose-Krasnor, 2010; Larson et al., 2006; Shields et al., 2010)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사회성 발달 등 정서적인 부분의 효과성에 치중된 면이 많고, 청소년활동이 학습습관, 학업성취 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청소년활동이 학업 중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방해가 되는 것이 아닌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의 큰 비중이 되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학습과 관계를 중시하는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 청소년활동의 정당성을 담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이 학습습관, 학습태도, 학업성취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봄으로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 내고자 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활동에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는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


Ⅱ. 이론적 배경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전인적이고 균형있는 성장을 위해 필요한 활동을 말한다. 청소년기본법 제3조 제3호에서 “청소년활동이란 청소년의 균형있는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활동과 이러한 활동을 소재로 하는 수련활동·교류활동·문화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말한다.”고 밝히고 있고, 학자들도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의지에 의해 발현되는 자율적 활동(김진호, 2008), 교육을 보완하여 청소년의 균형있는 성장을 돕는 것(이교봉, 2009), 사실적 정보를 교환하고 습득할 뿐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과 내면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다양한 성과를 경험하는 활동(조남억·이광호, 2009), 청소년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며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켜 자신의 변화 및 도움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가정과 사회 및 국가의 효율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힘을 키우는 것(권일남·김태균, 2010), 청소년기에 필요한 개인 및 사회적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일련의 체험활동(문성호·문호영, 2010)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활동진흥법 제35조에 기초하여 2006년부터 시행된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에서는 청소년활동의 영역을 자기계발활동, 모험개척활동, 교류활동, 건강 보건활동, 문화 예술활동, 과학정보활동, 봉사활동, 환경보존활동, 직업체험활동 등 9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직접적으로 학교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기존의 창의적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을 통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조정하여 청소년활동을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가지 활동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렇게 청소년활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영역과 유형이 분류되고 있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현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미래의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력을 증진시키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행동의 변화를 꾀하는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한국청소년개발원 편, 1994), 그런 면에서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형성에도 청소년활동의 영향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학교생활적응이란 학교생활에서 부딪치는 여러 가지 환경을 스스로의 원하는 바대로 변화시키거나 자신이 학교생활에 만족스럽게 수용되는 것이다. 그래서 학생의 행동이 학교에서 일어나는 환경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면서 만족감을 느끼며, 교사와 학생들과 조화있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학교수업에 적극적이고 학교규범에 잘 따라 독립된 개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가는 것이다(유진이, 2007; 이학래·김석규, 2003).

학습은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인데, 이는 학습자의 의식을 통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박형성, 2012), 어떤 장면에서 반응하게 되면서 새로운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행동이 변용되는 과정이다. 지속된 학습을 통해 학습태도와 학습습관이 길러진다. 학습태도는 학습에 대한 신념, 평가, 행동경향성을 의미하며 경험을 통해 형성되고 학습장면에서 다른 일반적인 태도와 학습되기도 한다(문지현·권동택, 2010). 학습태도는 학습자가 학습에 관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태도로 학습상황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다.

그래서 학습상황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효과를 내지만(임영택, 2001), 부정적인 경험들, 다시 말해 목표 달성 실패, 과제의 어려움 등을 통해 태도가 부정적으로 되어 있을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을 위한 경험 제공이 필요하다. 태도가 외부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습관이다. 변창진(1987)은 학습습관을 여러 학습활동 장면에서 학습자가 특정한 행동을 선호하며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로 그에게 내면화되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일관된 행동 반응양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김기석(1968)은 학습습관을 학습하는 동기, 태도, 기술, 습관, 환경을 포괄하는 의미로 개념화하고, 김억환 외(1992)는 학습습관은 학습활동을 반복함으로써 그것이 고정되어 의식하지 않아도 언제나 같은 형태로 반응하게 되는 학습태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박경숙과 이혜선(1976)은 학습습관은 학습할 때 취하는 일관된 행동양식이라 했다. 학습습관은 학습장면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태도로 경험을 통해 자리잡은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학습태도는 감정적 요소이고, 학습습관은 행동적 요소이다.

국내에서 학습습관과 관련하여 학습습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구병두(1989)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관한 석, 박사 논문 163편을 수집하여 학습습관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메타 분석한 결과, 학습습관은 지능 다음으로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밝혔고, 김억환 외(1992)의 연구에서도 학습습관 변인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의 목적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이다.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높이는 것이기도 하다(정제영 외, 2009).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태도와 학습습관을 잘 길러주어야 하는데, 그 또한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가능하므로, 학교 장면이나 그 외 학교밖의 현장에서 제공되는 청소년활동의 다양한 영역을 통해 길러줄 필요가 있다.

청소년활동이 학습과 관련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최형임·이재성·문영경(2012)에서 청소년의 교외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활동을 잘하고 학교규칙을 잘 지키며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좋아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이 청소년기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김정주 외, 2003; 김춘식, 2005; 송수지 외, 2012; 신도아, 2001). 또 다른 연구에서 청소년활동이 청소년 자신이 수행하는 과업이나 행동범위를 확대하여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Wentzel and Watkins, 2002, 이교봉, 2009에서 재인용)하고 있다. 동아리활동, 여가활동, 신체참여활동, 스포츠활동 등을 포함한 청소년활동에 참여한 학생이 학습활동을 포함한 학교생활적응을 잘 했으며(고관우·남진열, 2011; 김태균, 2013; 유광욱·원유병, 2009; 유진이, 2007; 이학래·김석규, 2003; 이홍구·박성준, 1999; 전재일·천수혜, 2008; 최충식·박문수, 2012; 한정규·허원석, 2013), 청소년활동이 중고등학생 모두의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김윤나·박옥식, 2009). 주현식(2001)은 청소년의 여가활동 중 취미활동과 오락활동이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청소년활동의 영역이 청소년들의 학습과 관련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활동의 참여여부, 참여유형, 참여시간, 참여만족도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학령기 전반에 걸친 아동・청소년의 성장·발달을 관찰하기 위한 패널을 구축하고자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2’의 자료 중 2차년도 중1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전국의 중학교 1학년을 모집단으로 하여 총2,351명 중 유효한 2,280명(남 1,152명 49.0%, 여 1,128명 48.0%)을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2. 측정도구

1) 독립변인

독립변인으로는 청소년체험활동의 참여여부와, 만족도로서 <표 1>과 같다.

청소년체험활동 문항

(1) 청소년체험활동 참여여부

청소년 체험활동으로는 건강·보건 활동, 과학·정보활동, 교류 활동, 모험 개척 활동, 문화·예술 활동, 봉사 활동, 직업 체험 활동, 환경 보존 활동, 자기(인성) 개발의 활동유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참여점수는 1점으로 총점수는 9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체험활동 유형 척도의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801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청소년체험활동 만족도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2’의 원 자료에서는 만족도 1점이 ‘매우 만족한다’로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체험활동 만족도의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873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2) 종속변인

(1) 학교생활적응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서 학교생활적응은 4개의 하위영역으로 총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 문항은<표 2>와 같다. 1점에서 4점까지의 4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안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 하위영역별 신뢰도 분석결과 .6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 하위영역 및 문항

(2) 학습습관

학습습관은 2개 하위영역으로 총 1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문항은 <표 3>과 같다. 1점에서 4점까지의 4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습관이 낮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습관 척도의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889, .857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습관

(3)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도는 학생의 지난 1학기 성적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점에서 8점까지의 8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교과목의 점수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설문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을 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각 측정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정규성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8.0 한글판을 사용하였다.


Ⅳ. 분석결과

1.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표 4>와 같다. 남자와 여자가 각각 1176명, 1175명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사의 일반적 특성

또한 주요변수를 살펴본 결과 <표 5>와 같다. 체험활동의 참여유형, 참여시간, 참여만족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참여유형은 평균 1.5개정도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 11시간정도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참여만족도의 경우 4점 만점에 3.8점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통계량

학업성취도의 경우 평균 4.89점으로 1학기 성적이 약 75점~79점의 점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습습관의 성취가치는 평균 2점, 학업시간 관리는 2.4점으로 성취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학습활동 2.234, 학교규칙 2.136, 교우관계 2.083, 교사관계 2.112 점으로 교우관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활동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성별에 따른 청소년체험활동, 학업성취도,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을 분석한 결과 <표 6>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성별에 따른 체험활동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참여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에 비해 여자청소년들이 다양한 청소년체험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습관을 분석한 결과 성취가치, 학업시간관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가치와 학업시간관리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활동, 학교규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 학교규칙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체험활동이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체험활동이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 7>과 같다.

경로분석

<그림 1>

경로분석*p<.05, **p<.01, ***p<.001

청소년체험활동이 학습습관(β=-.185), 학교생활적응(β=-.187), 학업성취도(β=-.192)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체험활동을 많이 참여할수록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2’의 자료 중 2차년도 중1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활동이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생활하는 학교의 환경인 학교생활적응과 지적발달을 돕는 학습습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청소년활동은 평균 1.5개 정도이고, 1년간 평균 11시간정도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이 보내는 학교에서 청소년활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성인의 삶을 잘 살기 위해 학력이 중요하고 입시를 잘 치러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학력지상주의, 입시위주 교육환경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때문에 학교 안에서 제공되는 청소년활동이 부족하다면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한데 1년간 평균 11시간의 참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청소년활동의 정보제공과 홍보가 부족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활동 참여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보아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요구와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활동이 청소년들에게 제공될 때 현재 청소년의 관심과 고민 등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청소년활동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시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청소년활동을 적절히 배치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소년활동을 제공하는 청소년시설에서 활동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업성취도는 중간, 학습습관에서는 성취가치가 학업시간관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는 교우관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좋은 학교생활과 공부가 청소년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학교생활적응에 교우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교사관계인 것으로 보아 학교생활적응은 학습이나 규칙 등 외적인 부분보다 정서적인 관계가 더 중요하여 관계를 잘 해 나가면 학교생활을 잘 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관계 향상을 위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청소년활동의 참여유형, 시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청소년활동에 더 많이, 더 길게 참여하고, 만족도도 높았다. 또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학습습관을 분석할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학습활동, 학습규칙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에 비해 청소년활동에 대해 관심도가 높고, 끈기있고 진지하게 활동에 참여할 뿐 만 아니라 학교생활에서도 성실하게 임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전재일·천수혜(2008)의 여자청소년보다 남자청소년이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는 다른 결과이다. 남자청소년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그들의 요구와 흥미에 대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학교생활이 그들의 삶에 중요한 의미가 되기 때문에 진지하게 학습에 참여하고 규칙을 잘 지켜나가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활동이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업성취도였고,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가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학래·김석규(2003), 최충식·박문수(2012)의 연구, 여가활동 참가 빈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긍정적이라는 이홍구·박성준(1999)의 연구,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라는 고관우·남진열(2011), 김태균(2013)의 연구, 자원봉사 활동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장덕희·이명옥·양점도(2011)의 연구, 여가활동이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주현식(2001)의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내용이다. 이는 여러 유형의 청소년활동에 다양하게 참여할수록 청소년의 학교생활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학교현장에서는 청소년활동이 인성의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으로 전환되어 가면서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청소년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아직도 사회 전반에 만연되어 있는 출세주의가 좋은 대학 선호 경향으로 이어지고, 그것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학업에 열중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상황에서 청소년활동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학업에 동기부여가 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학교의 공부는 자신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현재의 학교생활이 행복하고, 학교에서의 관계가 원만하여 잘 적응하여 나가고, 좋은 학습습관을 가져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학교 밖에서 청소년들이 봉사활동, 여가활동, 스포츠활동 등의 다양한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학교의 교육과정 안에 활동의 다양한 영역들을 삽입하고 교과를 활동으로 재편성하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 또한 학교 밖의 청소년활동을 제공하는 기관은 활동이 하나의 유형에 치우치지 않도록 청소년들의 관심과 흥미에 귀기울이고, 지도자들의 부단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영역과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아동·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한 지역에 치우치지 않고 전국단위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 적용이 용이하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힘으로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을 해 나가는 데 방해요소가 아니라 유익한 것이기 때문에 청소년의 청소년활동 참여를 독려해야 함에 당위성을 제공하였다.

References

  • 고관우, 남진열, (2011), 초기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 영역에 따른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4), p231-250.
  • 구병두, (1989),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대한 Meta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권일남, 김태균, (2010),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활동역량진단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8(4), p45-61.
  • 권일남, 김태균, 최진이, 이상경, (2012), 청소년활동론, 서울, 학지사.
  • 김기석, (1968), 학습습관 검사해설 및 시행요강, 서울, 코리안 테스팅 센터.
  • 김선숙, 안재진, (2012),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1), p339-363.
  • 김성자, 김순미, 이현림, (2008), 진로의사결정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p1-14.
  • 김순규, 최혜정, (2011), 2011 전라북도 청소년활동 실태 및 욕구조사, 전라북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 김억환, 구병두, 변호걸, 김부국, (1992), 학업성취와 관련된 자아개념 변인, 불안 변인, 학습습관 변인, 성취동기 변인, 인성 변인에 대한 종합 분석, 서울, 건국대 부설 교육 연구소.
  • 김윤나, 박옥식, (2009),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1(1), p79-99.
  • 김정주, 김용대, 성기원, (2003),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동아리활동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 김지혜, (2012), 청소년 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봉사활동 시간과 주관적 만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1), p41-62.
  • 김진호, (2008), 청소년활동프로그램 참여자의 몰입경험 결정요인 구조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5(4), p1-25.
  • 김창현, (2008), 청소년 수련활동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춘식, (2003), 남자중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균, (2013),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공동체의식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시설환경, 11(2), p75-82.
  • 문성호, 문호영, (2009),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2(2), p95-122.
  • 문성호, 문호영, (2010), 청소년활동의 참여실태, 만족도 및 영역별 효과성, 청소년복지연구, 12(2), p95-122.
  • 문지현, 권동택, (2010), 내러티브 학습 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학연구, 17(1), p25-46.
  • 박경숙, 이혜선, (1976),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태도·학습습관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박재숙, (2010),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4), p157-182.
  • 박정배, 송병국, (2011), 청소년활동몰입 관련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청소년학연구, 22(4), p187-213.
  • 박형성, (2012), 게임 제작을 통한 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에 대한 경로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p33-40.
  • 변창진, (1987), 학습습관의 측정 및 평가: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서울, 중앙교육평가원.
  • 설민희, (2009), 청소년의 문화활동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1, p140-172.
  • 송광성, 박성희, 정문성, 김경준, (1994), 청소년 수련활동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연구, 17, p114-129.
  • 송수지, 김정민, 남궁지영, (2012), 청소년 동아리활동경험이 자아개념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3(1), p121-147.
  • 신도아, (2001), 고등학교 영어 동아리 활동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심은실, 김영혜, (2011),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4(4), p97-119.
  • 유광욱, 원유병, (2009),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3), p61-72.
  • 유진이, (2007), 학교동아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학술대회, p129-144.
  • 윤은종, (2004), 청소년 수련활동의 효과분석: 활동만족도와 인식된 자기변화에 초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교봉, (2009),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0, p172-210.
  •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6(4), p193-209.
  • 이성은, (2009),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0(2), p313-335.
  • 이종원, 장근영, 김호순, (2007), 2007년 청소년활동 참가실태 조사연구, 국가청소년위원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이학래, 김석규, (2003),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가유무와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 23(23), p63-77.
  • 이홍구, 박성준, (1999),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레크리에이션교육학회지, 1(1), p41-50.
  • 임영택, (2001), 수행평가 예고제가 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덕희, 이명옥, 양점도, (2011), 청소년의 자원봉사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포항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9), p121-146.
  • 장승옥, 한선혁, (2004), 청소년 문화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칠곡군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학연구, 11(1), p193-216.
  • 전재일, 천수혜, (2008),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14(2), p163-187.
  • 정미경,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6(1), p271-290.
  • 정옥분, (2009),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 정유경, (2009),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서천군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 p214-236.
  • 정제영, 신인수, 이희숙, (2009), 학업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p241-260.
  • 정철상, (2002), 청소년 수련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
  • 조남억, 이광호, (2009),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7(2), p39-51.
  • 주현식, (2001),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스트레스해소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3(1), p81-97.
  • 진은설, 임영식, (2011),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 집단의 특성 그리고 활동 만족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3(3), p281-303.
  • 최원기, (2004), 청소년 자살의 사회구조적 원인 연구, 사회복지정책, 18(4), p5-30.
  • 최충식, 박문수, (2012),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사회적 지지 및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0(3), p1-15.
  • 최형임, 이재성, 문영경, (2012),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9(1), p23-45.
  •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1994), 청소년활동론, 서울, 교육과학사.
  • 한정규, 허원석, (2013),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2), p63-75.
  • Busseri, M. A., and Rose-Krasnor, L., (2010), Adderssing three issues in research on youth activities: An integrative approach for operationalizing and analyzing involve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0(3), p583-615.
  • Larson, R., Hansen, D. M., and Monteta, G., (2006), Differing profiles of developmental experiences across types of organized youth activiti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 p849-863. [https://doi.org/10.1037/0012-1649.42.5.849]
  • Lee, M., & Larson, R., (2000), The Korean examination hell: Long hours of studying, di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p249-271.
  • Shields, C., Spink, K., Chad, K., and Odnokon, P., (2010), The confidence to get go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on the self-efficacy-activity relationships among youth and adolescents, Psychology and Health, 25(1), p43-53. [https://doi.org/10.1080/08870440802439065]

<그림 1>

<그림 1>
경로분석*p<.05, **p<.01, ***p<.001

<표 1>

청소년체험활동 문항

문항
① 건강‧보건 활동(신체 단련 활동, 안전‧응급처치 활동)
② 과학‧정보 활동(모형 및 로봇 활동, 우주 천체 활동, 정보 캠프 활동)
③ 교류 활동(국제 교류 활동, 다문화 이해 활동, 세계 문화 비교 활동)
④ 모험 개척 활동(탐사‧등반, 야영 활동, 해양 활동, 극기 훈련)
⑤ 문화‧예술 활동(지역 문화, 세계 문화, 어울마당, 전통 예술 활동)
⑥ 봉사 활동(일손 돕기, 캠페인, 자선‧구호 활동)
⑦ 직업 체험 활동(진로 탐색 활동, 직업 현장 체험)
⑧ 환경 보존 활동(생태 활동, 숲 체험, 환경 살리기 활동)
⑨ 자기(인성) 개발(자기 표현 활동, 심성 수련 활동)

<표 2>

학교생활적응 하위영역 및 문항

문항 신뢰도
학습
활동
(4)
① 학교 수업 시간이 재미있다. .776
② 학교 숙제를 빠뜨리지 않고 한다.
③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잘 알고 있다.
④ 모르는 것이 있을 때 다른 사람(부모님이나 선생님 또는 친구들)에게 물어본다.
학교
규칙
(5)
⑥ 당번이나 1인 1역 등, 반에서 맡은 활동을 열심히 한다. .789
⑦ 복도와 계단을 다닐 때 뛰지 않고 조용히 다닌다.
⑧ 학교 물건을 내 것처럼 소중히 사용한다.
⑨ 화장실이나 급식실에서 차례를 잘 지킨다.
⑩ 휴지나 쓰레기를 버릴 때 꼭 휴지통에 버린다.
교우
관계
(4)
⑪ 우리 반 아이들과 잘 어울린다. .698
⑫ 친구와 다투었을 때 먼저 사과한다.
⑬ 내 짝이 교과서나 준비물을 안 가져왔을 때 함께 보거나 빌려 준다.
⑮ 놀이나 모둠활동을 할 때 친구들이 내 말을 잘 따라 준다.
교사
관계
(5)
⑯ 선생님을 만나면 반갑게 인사한다. .841
⑰ 선생님과 이야기하는 것이 편하다.
⑱ 학교 밖에서 선생님을 만나면 반갑다.
⑲ 우리 선생님께서는 나에게 친절하시다.
⑳ 내년에도 지금 선생님께서 담임선생님을 해 주셨으면 좋겠다.

<표 3>

학습습관

문항 신뢰도
성취
가치
① 학교 공부는 나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889
④ 나는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⑦ 나는 학교생활이 내가 성장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⑩ 학교생활이 나의 미래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다.
⑬ 학교 공부는 내가 미래의 직업을 선택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이다.
⑯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은 내가 살아가는 데 유용할 것이다.
⑱ 학교생활은 앞으로 내가 사회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학업
시간
관리
⑧ 나는 몇 시간 동안 얼마나 공부할 것인지 목표를 분명히 한 다음에 공부를 시작한다. .857
⑪ 나는 효율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시간 계획을 세운다.
⑭ 나는 효과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공부 시간을 확실히 정해둔다.
⑰ 나는 시험 전에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공부한다.

<표 4>

조사대상사의 일반적 특성

구분 빈도 퍼센트
남자 1176 50.0
여자 1175 50.0
합계 2351 100.0

<표 5>

기술통계량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체험활동 참여유형 2351 1.472 1.625
참여시간 2351 11.088 15.683
참여만족도 1554 3.806 2.879
학업성취도 2226 4.893 2.121
학습습관 성취가치 2258 2.092 0.594
학업시간관리 2258 2.460 0.667
학교생활적응 학습활동 2259 2.234 0.449
학교규칙 2259 2.136 0.537
교우관계 2259 2.083 0.399
교사관계 2259 2.112 0.629

<표 6>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구분 성별 N 평균 표준편차 t p
체험
활동
참여유형 남자 1176 1.389 1.580 -2.459 .014
여자 1175 1.554 1.665
참여시간 남자 1176 10.934 15.519 -.477 .633
여자 1175 11.243 15.850
참여만족도 남자 754 3.767 2.871 -.528 .598
여자 800 3.844 2.888
학업성취도 남자 1117 4.995 2.135 2.281 .023
여자 1109 4.790 2.103
학습
습관
성취가치 남자 1139 2.122 0.620 2.408 .016
여자 1119 2.062 0.566
학업시간관리 남자 1139 2.510 0.684 3.558 .000
여자 1119 2.410 0.646
학교
생활
적응
학습활동 남자 1140 2.276 0.491 4.500 .000
여자 1119 2.192 0.398
학교규칙 남자 1140 2.177 0.583 3.655 .000
여자 1119 2.094 0.484
교우관계 남자 1140 2.080 0.439 -.367 .713
여자 1119 2.086 0.352
교사관계 남자 1140 2.111 0.650 -.072 .943
여자 1119 2.113 0.608

<표 7>

경로분석

경로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S.E. C.R. P
학습습관 체험활동 -.057 -.185 .007 -7.800 ***
학교생활적응 체험활동 -.034 -.187 .005 -7.522 ***
학업성취도 체험활동 -.245 -.192 .026 -9.341 ***